해마다 느는 ‘자궁근종’

2021.12.20 09:59:33 호수 1354호

볼록한 아랫배
살 찐 줄 알았더니…

자궁근종은 자궁을 대부분 이루고 있는 평활근에 생기는 종양이다. 자궁 내에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장막하, 점막하, 근층내 근종으로 나뉘며, 여성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자궁근종’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전체 진료환자는 2016년 34만3000명에서 2020년 51만5000명으로 17만2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0.7%로 나타났다.

흔하게 발생

입원환자는 2016년 5만2000명에서 2020년 5만7000명으로 9.1%(5000명) 증가했고, 외래환자는 2016년 33만7000명에서 2020년 50만8000명으로 50.9%(17만1000명) 증가했다.

2020년 기준 자궁근종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51만5000명) 중 40대가 37.5%(19만3000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32.1%(16만5000명), 30대가 16.0%(8만2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입원 환자는 40대 51.5%, 50대 21.1%, 30대 20.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래 환자는 4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7.3%로 가장 높았고, 50대 및 40대 각각 32.2%, 16.0%를 차지했다.

정재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대다수 종양과 마찬가지로 연령과 비례해 종양 발생이 증가하기 때문에 폐경 전인 40대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50대에서는 폐경이 진행되면서 호르몬이 고갈돼 생리과다 등의 증상이 발생하지 않고 근종 크기의 증가 가능성도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인구 1000명당 자궁근종 질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20.1명으로 2016년 13.6명 대비 47.8% 증가했으며, 입원 환자는 2016년 2.1명에서 2020년 2.2명으로 증가하였고, 외래 환자는 2016년 13.3명에서 2020년 19.9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00명당 자궁근종 질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47.4명으로 가장 많았다. 진료형태별로 구분해보면, 입원환자는 40대 7.2명으로 가장 많고, 30대 3.3명, 50대 2.8명 순이며, 외래환자는 40대가 46.6명으로 가장 많고, 50대 38.4명, 30대 23.7명 순으로 나타났다.  

자궁근종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1625억원에서 2020년 2971억원으로 2016년 대비 82.8%(1346억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6.3%로 나타났다. 특히, 외래환자는 2016년 대비 증가율이 243.0%으로 가장 높았다.

2020년 기준 자궁근종 질환 건강보험 총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48.7%(1447억원)로 가장 많았고, 50대 24.0%(714억원), 30대 18.5%(548억원) 순이었다. 진료형태별로 구분해보면, 입원 진료비는 40대가 52.6%(1023억원)로 가장 많았고, 외래 진료비는 40대가 41.3%(424억원)로 가장 많았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6년 47만4000  원에서 2020년 57만7000원으로 21.8% 증가했으며, 진료형태별로 구분해보면, 입원은 254만6000원에서 2020년 342만1000원으로 34.4% 증가했고, 외래는 2016년 8만9000원에서 2020년 20만2000원으로 127.3% 증가했다.

2020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7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29세 이하 67만9000원, 30대 66만7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진료형태별로 구분해보면, 입원은 60세 이상이 353만6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349만9000원, 40대가 349만3000원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외래는 30대가 23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29세 이하가 23만원, 40대가 22만3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자궁 이루고 있는 근육 세포 비정상적 증식
작년 52만명 진료…폐경 전 40대 여성 최다

자궁을 이루고 있는 근육 세포의 비정상적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궁근종의 정확한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여러 원인 인자가 거론되고 있지만, 그 원인이 모두 밝혀진 것은 아니다.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증상이 동반된 경우에도 자궁근종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발현되는 증상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생리 과다, 생리통, 골반통, 빈뇨 및 복부에서 촉지되는 종괴 등이 주요 증상이라고 볼 수 있다.  

자궁근종의 치료는 환자의 나이, 발현되는 임상 증상 및 가임력 보존 필요성의 유무에 따라 약물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가 정해지게 된다.


약물 치료는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과 관련된 약제가 주사 또는 복용 제제로 투여되게 되는데, 이러한 치료는 자궁근종을 완전히 제거하는 데 그 목적이 있지 않고, 약물이 투여되는 시간 동안 크기를 줄이거나 임상 양상을 완화시키는 데 있다.

약물 치료의 경우 약물 투여 이후 자궁근종이 다시 커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약물치료 중 폐경 여성이 겪는 안면홍조, 무력감, 불면 및 골다공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하는 바, 치료 전 약물치료의 장단점을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에게 상담 받아야 한다.

수술적 치료는 크게 자궁근종 절제술과 전자궁 적출술 방법이 있다. 자궁근종 절제술이란 자궁근종만을 제거하여 자궁 자체는 보존하는 수술이다. 향후 임신을 계획하는 경우 진행되는 수술 방법으로 자궁을 보존할 수는 있지만 향후 자궁근종이 다시 재발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자궁근종의 발생을 미연에 예방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알려진 것은 없다. 자궁근종은 예방하기 보다는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예방보다 발견

폐경이 되면 자궁근종이 소실된다는 잘못된 의학 지식 때문에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를 많이 접하게 된다. 자궁근종을 방치해 그 크기가 계속 커질 경우 자궁 앞으로는 방광, 뒤로는 직장을 눌러 대소변 보기가 어려워지거나 소변을 너무 자주 보는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크기가 큰 자궁근종은 방광과 직장에 유착되는 경우가 많은데, 유착박리는 수술 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하므로 방치하지 말고 적절한 시점에서 수술을 받아야 한다.

<webmaster@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