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25주년 특집> 지난 25년 미디어 변천사

2021.05.24 14:31:08 호수 1324호

내가 뉴스 고르다 뉴스가 나를 찾다

[일요시사 취재1팀] 차철우 기자 = 눈을 뜨고 자기 전까지 스마트폰을 손에 끼고 산다. 라디오 같이 귀로 듣는 행위는 내가 직접 찾아 눈으로 보는 행위로 바뀌었고, 선택의 폭은 넓어졌다. 1996년부터 2021년까지의 미디어 발달을 5년 단위로 정리했다. 



디지털 시대라는 말은 오래전부터 사용됐다. 지난 1996년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미디어는 급속도로 성장했다. 20세기 마지막 시점에는 미디어 발전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두루넷, 하나통신 같은 인터넷의 보급으로 사람들은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얻게 됐다. 

디지털화

▲1996~2000= TV 보급의 확대로 각 가정 당 1.42대를 보유함으로써 개인의 선택권을 존중할 수 있는 시청 환경이 마련되기 시작했다. 미디어 기기 보급 역시 활성화되며 좀 더 개인화됐다.

네이버와 같은 검색 서비스의 등장으로 사람들은 각자 필요한 부분을 찾기 시작했다. 워크맨, CD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 개인적으로 사용 가능한 미디어 기기 보유가 늘었다. 

개인용 컴퓨터의 소유 역시 증가해 채팅, 자료 이용 등이 활성화된 시기다. 포털 사이트 다음은 대한민국 최초 무료 웹 메일 서비스 한메일을 내놓았다.


신문사도 과거 잉크를 활용했던 시스템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사업에 뛰어들었다. <오마이뉴스>는 언론사 최초로 탄생한 인터넷 언론사다. 또한 인공위성 무궁화 2호를 발사해 디지털 위성 시험방송을 시작으로 다채널 시대의 지표를 열었다. 

블로그·포털

▲2001~2005= 2000년대에 들어서는 본격적인 뉴미디어 시대가 도래했다. 블로그, 포털의 등장으로 정보 교환의 양이 증가했고, 사람들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일상적인 사진 등을 통해 생각을 표출한 시기다.

개인이 중요시되자, 미디어 사업을 진행하는 곳에서는 산업간 경쟁이 촉발됐다.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과 게임, 음반, 방송 등 첨단문화 콘텐츠산업을 육성하는 데 집중하기 시작했다.

네트워크 기반 기술이 급격하게 성장, 발전하면서 개인 단말기 중심의 영향력은 점차 하락하는 모양새를 보였다. 다매체 시대는 수용자들의 시간과 더불어 제한된 예산을 놓고, 기존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간의 경쟁이 가속화를 나타냈다.

뉴스를 표현하거나 전달하는 방식 역시 달라졌다. 실시간으로 속보를 전했고, 패러디나 전혀 다른 방식의 글을 표출하는 이들이 증가한 것.

네이버, 다음과 같은 포털사이트는 커뮤니티를 형성했고, 최신 뉴스, 일기예보, 스포츠 정보 등 일반인의 관심을 끌어 화제를 양산한 시기다. 

스마트폰

▲2006~2010= 이 시기에는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양방향 소통이 더욱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기존의 컴퓨터로만 했던 작업들은 스마트폰으로 처리가 가능해졌다. 전화, 문자 중심이었던 핸드폰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발달하며 카카오톡, 트위터 등을 활용해 실시 커뮤니케이션의 속도는 더욱 증가했다. 

또 애플리케이션으로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가 가능해지자, 사람들은 이를 적극 활용했고, 전 세계 사람들 대부분이 사용할 만큼 막대한 영향력을 끼쳤다. 이 밖에도 사람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은행업무 등을 간편하게 처리하기 시작했고, 관심 분야를 선택할 수 있었다.


저무는 잉크 시대…다가올 제4의 물결
두루넷부터 5G까지 인터넷 계속 진화

미디어는 영상을 중심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유튜브를 통해 누구나 쉽게 영상을 올리거나 볼 수 있는 본격적인 영상시대를 맞이하게 된 시기다.  

IPTV의 등장으로 비디오를 빌리지 않고, 다시 보기 등으로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더욱 넓어졌다. TV를 시청하던 시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선택적으로 미디어를 골라 볼 수 있게 됐다.

종편의 등장

▲2011~2015= TV조선, 채널A와 같은 종편 채널이 등장한 시기다. 2008년 이명박정부는 미디어법을 통과시켜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이 방송에 진출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2011년 종편이 탄생하게 됐다. 시청자들은 자신의 이념에 따라 원하는 미디어를 소비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스마트폰은 더욱 보급이 확대됐고,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미디어로 자리매김했다. 스마트TV 등을 비롯해 다양한 기기들의 출시와 4G망 등 네트워크 기술 발전이 다시 급변한 시기다. 

미디어 이용환경 변화에 따라 이용습관도 변화됐다. 국민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소유함으로서 앉은 자리에서 서로 다른 환경을 경험하는 게 가능해졌다. 

알고리즘


▲2016~2021= 4차 산업 붐이 일며, 미디어에도 많은 변화가 일었다. 데이터를 활용한 알고리즘 시대가 활성화 됐다. 

이에 따라 미디어를 이용하고, 소비하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도입됐다. 시청 습관 등을 기록해 관심 있는 분야를 소비하는 게 용이해졌다.

넷플릭스, 티빙 같은 OTT(개방된 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사업 규모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태다.

그동안 방송국, 제작사 등에서 만들어 소비했던 미디어들을 플랫폼사에서 제작하기 시작했다. 개인 방송 등 1인 미디어가 활성화됐고, 영상을 자체적으로 제작하는 이들도 늘었다. 이를 소비하는 이용자 역시 폭발적으로 급증한 시기다.

코로나19로 비대면을 활용한 미디어도 발달하기 시작했다. 줌 등을 활용한 온라인 강의, 온라인 콘서트 등으로 자리에 앉아서 콘텐츠를 소비하는 이들이 많다. 

미래는?

4차 산업 혁명 시기에 미디어 업계는 지속적인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현재는 인공지능을 통한 다양한 미디어 개발이 한창이다.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는 사회적인 심리를 융합해 사회에 맞는 초지능 미디어 서비스가 탄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