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장애 바로알기

2021.03.29 09:45:58 호수 1316호

입 벌릴 때 ‘딱’ 소리 나세요?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의 염증이나 탈구로 인해 통증과 잡음이 생기고, 입을 벌리는 데 장애가 있는 질환을 말한다. 음식을 씹거나 말을 할 때 턱 주변에 발생하는 미세한 통증에서부터, 입을 크게 벌릴 때 ‘딱’하는 소리가 나거나 심한 통증으로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는 증상과 관련이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의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턱관절장애’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5년간 총 진료인원은 2015년 35만3000명에서 2019년 41만4000명으로 17.1%(6만1000명)가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4.0%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15년 14만1000명에서 2019년 16만8000명으로 19.0%(2만7000명) 증가해 여성 증가율 15.9%보다 높았다.

여성↑

2019년 기준 턱관절장애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 보다 1.5배 높았다. 전체 41만4000명 중 20대가 27.7%(11만4000명)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6만6000명(16.0%), 10대 이하가 5만7000명(13.9%)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대 29.5%, 10대 이하 15.8%, 30대 15.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20대 26.4%로 가장 높았고, 30대 및 40대가 각각 16.5%, 14.5%를 차지했다.
김문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는 “턱관절장애는 턱관절과 주위 저작근 등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기질적 요인도 있으나 정서적(또는 정신적) 기여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턱관절장애는 스트레스, 불안 또는 우울증 등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성 호르몬(에스트로젠)이 턱관절장애의 병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최근 5년 동안 턱관절장애 질환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2015년 700명에서 2019년 805명으로 15.0% 증가했으며, 남성은 17.1%, 여성은 13.7% 증가했다. 여성 10만명당 진료인원은 961명으로 남성보다 1.5배 높았다. 2019년 턱관절장애 질환 인구 10만명당 연령별 성별 진료인원은 20대에서 여성 1992명, 남성 1347명으로 가장 높아 정점을 이루고,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김 교수는 “턱관절장애 의심 환자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여러 진단 기법을 이용할 수 있고 진단, 분류에 따라 이에 알맞은 치료법 등을 시행해야 한다. 치료법에는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뿐만 아니라 물리치료, 관절세척술 등이 있다” 라고 밝혔다.

음식 씹거나 말할 때 미세한 통증
식생활 등 올바른 생활 습관 중요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가입자의 턱관절장애 질환 총진료비는 2015년 311억1000만원에서 2019년 458억3000만원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9년 총진료비 중 여성이 65%인 296억5000만원을 차지했다.
2019년 기준 성별 턱관절장애 질환 건강보험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총진료비를 살펴보면, 20대가 28.3%(129억8000만원)로 가장 많았고, 30대 16.0%(73억4000만원), 40대 13.1%(60억1000만원) 순이었으며 특히, 여성이 전 연령층에서 남성보다 총진료비가 많았으며 여성의 총진료비가 많게 나타나는 등 진료인원 구성비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간 성별로 살펴보면, 2015년 8만8000원에서 2019년 11만1000원으로 25.8% 증가했으며, 남성과 여성의 증가율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11만5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남성은 70대에서 10만5000원으로 가장 높고, 여성은 60대에서 12만8000원으로 1인당 진료비가 가장 높았다.
턱관절 또는 측두관절은 아래턱뼈와 머리뼈(측두골) 사이 양쪽 귀 앞쪽에 위치하며, 이러한 양측 턱관절을 매개로 아래턱을 움직여 입을 벌리기, 저작(음식물 씹기), 연하(삼키기), 말하기 등 복합적인 운동에 관여한다.
이러한 턱관절이나 관련 근육 및 주위 구조물 등에 이상이 생겨 통증 및 기능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턱관절장애 또는 측두관절 장애라 한다. 과거에는 이가 잘 안 맞는 부정교합을 턱관절장애의 주된 원인으로 봤으나, 이제는 관절원판 변위 등과 같은 해부학적 변위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 및 정신적 요인 등 다중 요소가 관여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완

예방을 위해서는 식생활을 비롯한 올바른 생활 습관을 갖도록 한다. 단단하고 질긴 음식(마른오징어 등)을 오래 씹는 것을 삼가고, 음식을 한쪽으로만 씹지 말고 양쪽으로 골고루 씹도록 한다. 입을 크게 벌리지 않도록 주의하고(하품시에도 주의), 스트레스 해소와 긴장 완화를 위한 이완운동을 실시한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