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트하우스> 김순옥의 망가진 세계

2021.01.08 11:54:26 호수 1305호

개연성 파괴하는 ‘룰 브레이커’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시즌3 제작을 예고한 SBS 드라마 <펜트하우스>의 시즌1이 지난 5일, 24화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2화부터 시청률 10%(닐슨코리아)를 넘긴 이 드라마는 고공행진을 이어가다 28.8% 수치로 마무리했다. 엄청난 인기를 끌었지만, ‘막장 드라마’라는 꼬리표가 붙는다. 시청자들마저 개연성을 의식하지 않는, 이른바 ‘순옥드(김순옥 작가 드라마)’의 망가진 세계관을 짚어봤다. 
 

▲ SBS 드라마 펜트하우스 ⓒSBS


SBS 드라마 <펜트하우스>와 관련해 재밌는 글들이 많다. 그 중 ‘<펜트하우스> 시청 유의사항’이라는 제목의 글은, 김순옥 작가 드라마(이하 순옥드)의 특성을 예리하게 짚어낸다.

막장 꼬리표

“순옥드는 산으로 가지 않는다. 산으로 시작해서 안드로메다로 간다” “순옥드에 의문을 품는 사람은 <펜트하우스>를 볼 자세가 안 돼있는 것” “부검할 때까지 죽은 게 아니다” 등이다. 

이 외에도 “순옥드는 순간의 미학. 스토리를 곱씹을 필요가 없다”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듯 순옥드를 보면 순옥을 따라야 할 뿐” “김순옥 작가가 사과를 오렌지라 하면 그건 오렌지”라고 하는 이도 있다. 

온라인상의 의견을 정리하면 순옥드는 자신이 만들어놓은 설정을 파괴하는 것이 비일비재하며, 실제로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 자체가 무의미한 비현실적인 세계다. 일반적으로 세밀한 디테일이 현실과 조금만 달라도 몰입이 쉽게 깨지기 때문에 최선을 다해 고증하는 데 반해, 순옥드는 빈번하게 개연성을 무시한다. 


아무리 술에 취했다고 하지만 사람을 죽인 기억이 수개월 만에 떠오른 오윤희(유진 분)의 모습이나, 혈혈단신으로 호송차량에 사고를 일으켜 오윤희를 빼내는 로건 리(박은석 분) 행동이 대표적인 예다. 사건이 발생한 이유는 설명이 없을 뿐 아니라 사건이 전개되는 과정에서도 석연치 않은 부분이 그득하다. 

비단 이 같은 현상은 <펜트하우스>에서만 벌어진 게 아니다.

키와 목소리를 비롯해 전반적인 외형이 똑같아도 점 하나 찍었다는 이유만으로 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인식조차 못 하는 SBS <아내의 유혹>과 고종 황제가 세운 대한제국이 2019년까지 유지되며 황제가 존재하는 한반도를 배경으로 그렸지만, 구체적인 역사를 단 하나도 밝히지 않은 SBS <황후의 품격> 등 김순옥 작가의 작품은 이해되지 않는 구석이 너무 많다. 

그럼에도 순옥드는 많은 시청자로부터 사랑을 받는다. 워낙 빠른 속도로 다음 사건을 만들어 긴장감을 유지해, 개연성이 떨어진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낄 틈조차 주지 않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위기에서 구출되자마자 다른 인물끼리의 갈등이 만들어지고, 그 갈등이 풀어질 때쯤 새로운 사건이 발생하는 구조다. 이런 식의 긴박한 전개가 가능한 이유는 현실적인 가능성을 완전히 무시해서다. 김 작가가 ‘룰 브레이커’라고 불리는 이유다.

지울 수 없는 ‘막장 드라마’ 꼬리표
재밌지만…콘텐츠 발전에는 악영향

대다수 드라마 작가는 자신이 세운 설정을 최대한 현실적으로 그려내기 위해 작품 내에 존재하는 약속을 지킨다. 실제 생길 법한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여러 상황을 만들다 보니 이야기 전개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다. 

아직도 수작으로 불리는 SBS 드라마 <싸인>(2011)의 장항준 감독과 김은희 작가는 법의학자와 긴밀히 소통하며 현실성을 높였다. 일주일에 2회차 대본을 써내는 무리한 일정 속에서도 조언을 받는 데만 꼬박 하루를 쓸 정도로 현실과 가까운 드라마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한다.  이 외에도 수많은 작가가 오랜 시간 취재와 학습을 통해 대본의 질을 높인다. 

순옥드에서는 이런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누구나 다녀 본 적 있는 학교생활에서도 현실성은 제로에 가깝다. 

작품 내적으로 보편적인 인간성을 거세한 것도 문제점이다. <펜트하우스>에서 시청자가 마음을 두고 응원할만한 인물은 심수련과 로건 리 뿐이다. 하지만 이들조차 지나친 복수심에 휘둘리고 있어 전적으로 마음을 두기 어렵다.

▲ 펜트하우스 스틸컷 ⓒSBS

이 외 인물들은 최소 소시오패스에 해당할 정도로 지나치게 이기적일 뿐 아니라 범죄에 대한 일말의 죄책감도 없다. 

매우 복잡한 세상사에 지나치게 단순한 선을 긋듯 선과 악으로만 구분한다. 대부분 캐릭터가 평면적이다. 아이나 어른 할 것 없이 작은 일에도 악을 지르고 눈을 까뒤집으며, 극도의 감정을 소모하는 것으로 작품 내 허점을 감춘다. 자극적인 상황을 반복해 만드는 것에 불과하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로 시청자들을 매료하지만 이런 이유로 김 작가를 뛰어난 작가로 부르기엔 어려움이 있다. 되려 업계 관행을 깨는 작가라는 평가가 나온다.

수년 전 김 작가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아내의 유혹>을 집필할 때 너무 많은 악플에 시달렸다고 토로했다. 당시 그 스트레스로 병원에 입원했는데, 환자들이 아픈 것도 모르고 <아내의 유혹>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고 자신의 드라마에 자부심을 느꼈다고 전했다. 

그 이후 김 작가는 꾸준히 ‘막장 드라마’로 불리는 대본을 집필 중이다. 막장의 요소는 드라마를 거듭할수록 견고해지고 있다. 

하지만 김 작가의 발언은 핑계에 불과해 보인다. 흡인력을 갖추기 위해 드라마의 기본적인 요소를 깨는 것은 과연 온당한 일일까. 현실성을 무시하지 않는 좋은 대본을 집필하는 것이 작가의 미덕 아닐까. 

나쁜 영향력

<펜트하우스>에 익숙해진 시청자는 드라마의 틀을 지키는 다른 드라마를 보고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인간적인 고뇌를 담은 드라마를 제작하는 누군가의 노력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 <펜트하우스>의 경이적인 시청률이 SBS 실적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전체 콘텐츠 질적인 측면에서는 퇴행시키고 있다. ‘본방사수’를 하지 않고는 도저히 견딜 수 없는 <펜트하우스>. 이를 즐기는 시청자들이 드라마에 열광하는 와중에도 순옥드가 가진 문제점은 잊지 않길 바랄 따름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