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 소리’ 나는 웹툰 원고료 해부

2020.12.14 11:38:04 호수 1301호

잘만 하면 17억 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최근 초등학생 장래희망 직업으로 웹툰작가 선호도가 크게 높아졌다. 웹툰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나 영화가 대박이 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웹툰작가가 ‘배고픈’ 직업이라는 말도 옛말이 됐다. 
 

▲ ▲ 야옹이 작가 ⓒtvN <유퀴즈온더블럭>


OCN의 신작 드라마 <경이로운 소문>이 화제다. 동명의 포털 다음 웹툰을 원작으로 한 이 드라마는 괴력, 사이코메트리, 치유 등 경이로운 능력을 갖춘 카운터들이 영원불멸의 삶을 위해 지구로 내려온 후 사후세계의 악한 영혼들을 잡는 과정을 그렸다.

상위 20명

첫 방송 시청률 2.7%로 출발했으며, 지난 6일 방송된 4회 방송분에서 6.7%를 기록하며 단 2주 만에 두 배 이상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OCN의 주 타깃인 남녀 2549 시청률은 전국 평균 5.3%, 최고 5.7%로 지상파를 포함한 전 채널 동시간대 1위까지 기록하고 있다.

이전에도 있었지만 최근 웹툰 원작의 드라마가 많이 나오고 있다. <경이로운 소문>을 비롯해 <며느라기> <여신강림> 등이 있다. 또 넷플릭스 오리지널 <좋아하면 울리는 2> <지금 우리 학교는>과 중국 OTT 아이치이의 국내 첫 오리지널인 <간 떨어지는 동거>도 내년 상반기 방영을 기다리고 있다. 

웹툰은 원소스 멀티유즈(OSMU)로 드라마뿐 아니라 영화, 게임 그리고 뮤지컬까지 다양하게 활용된다. 이로 인해 인기 웹툰이 흥행 보증수표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다.


한번 히트를 한 웹툰 작가의 경우 차기작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드라마나 영화 업계에서 관심을 보이는 경우도 발생한다.

KT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가 주도하는 국내 웹툰 시장은 2013년 1500억원에 불과했으나 2017년 7240억원, 올해는 1조원이 될 전망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라는 대형 플랫폼이 웹툰시장에 주목해 본격적인 콘텐츠 사업을 시작하며 본격적인 황금시대를 열었다.

웹툰 시장이 점점 커지면서 웹툰 작가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2일 tvN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야옹이 작가가 출연해 자신의 웹툰인 여신강림 캐릭터의 탄생 비화와 콘텐츠의 인기 비결, 그리고 웹툰 작가로서 겪는 마감 스트레스, 직업 만족도 등에 관해 털어놨다. 공개 3주 만에 화요일 웹툰 1위를 차지한 ‘여신강림’은 현재 9개 언어로 번역돼 100여개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누적 조회 수만 40억뷰에 달해 동명의 tvN 드라마로도 방영되고 있다.  

드라마·영화 등 소스로 활용
원고료 외 다른 수입도 배분

또 다른 인기 작가 기안84는 2008년 웹툰 <노병가>로 데뷔해 <패션왕> <복학왕> <회춘> 등을 연재했다. 연재 작품들이 인기를 끌면서 MBC <나 혼자 산다> 등 TV 프로그램에도 출연해 대중에 이름을 알렸다.

이처럼 인기 작가들이 예능프로그램에 출연하자, 시청자들 사이에선 이들의 수입에 대한 궁금증이 일고 있다. 

기안84는 한 방송에 출연해 “방송 수입은 웹툰 수입의 10분의 1”이라며 “2년간 연재하면서 30평 아파트 전세를 얻고 어머니께 차를 사드렸다”고 말한 바 있다. 

네이버 웹툰에 따르면 상위 20위 작가의 평균 수익은 17억5000만원에 달했고, 전체 연재 작가의 62%인 221명이 연 1억원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신인 작가의 평균 수익도 1억6000만원을 기록했다.
 

▲ ⓒ다음

이는 네이버 웹툰 플랫폼을 통해 지급되는 수익만 집계한 것이다. 네이버 웹툰은 원고료 외에도 광고, 유료보기, 지적재산권(IP) 사업 등을 통해 올린 수익을 작가와 배분하고 있다.

최근 기안84를 비롯해 이말년, 주호민 등 인기 웹툰작가들은 TV 예능프로그램 등을 통해 자주 얼굴을 비치며 ‘스타’ 대접을 받고 있어 광고 출연 등 부수적인 수입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준구 네이버 웹툰 대표는 “일류 작가의 경우 연간 50억원의 수익을 올릴 수 있을 만큼 창작자 생태계가 건재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물론 포털사이트와 정식 연재 계약을 하기까지 경쟁하려면 수백대 일의 경쟁률을 뚫어야 하는 만큼 모든 웹툰 작가들이 억대 연봉을 받는 것은 아니다. 현재 활동 중인 웹툰 작가와 지망생을 모두 고려하면 억대 연봉을 받는 이들은 극히 일부다.

최대 50억?

김 대표는 “연간 원고료와 인센티브 등 기타 부수입을 포함해 5000만원 이상 벌어들이는 작가가 전체의 84%고, 경우에 따라서는 50억원을 넘는 사례도 있다”며 “인기 신인 작가만 따지면 평균 1억6000만원, ‘톱20’ 작가는 평균 17억5000만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 관계자는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웹툰은 스마트폰에 익숙한 Z세대에게 최적화된 콘텐츠”라며 “대규모 인력과 비용이 드는 영화·드라마와 달리 작가 1명이 방대한 세계관을 표현할 수 있고, 그 덕에 다양한 장르의 포트폴리오 구축이 쉽다”고 설명했다.


<9do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비인기 웹툰 작가 수입은?


디지털 창작노동자들(웹툰·웹소설·일러스트 작가 등)이 먹고 자는 시간 외에 온종일 작품에 매달려야 하는 등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는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창작자들이 플랫폼으로부터 사실상 지휘·감독을 받으며, 높은 수수료를 내고 있는 상황도 구체적으로 파악됐다.

전국여성노동조합은 지난달 ’디지털콘텐츠창작 노동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실태조사 대상은 만 15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 디지털콘텐츠 창작 노동자다.

응답자는 331명(부분응답을 제외한 분석대상 285명)이고, 전국여성노조가 주체인 만큼 응답자의 95%가 여성이었다.

웹툰·일러스트·웹소설·웹툰 시나리오 및 스토리 작가 등 플랫폼을 기반으로 창작 활동을 하는 노동자들이 설문에 참여했다.

창작자 12명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도 함께 진행됐다.

노동계 차원에서 디지털 창작 노동자의 실태가 상세하게 조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설문 결과를 보면, 작가들의 수입은 생계를 이어가기 어려운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응답자들이 플랫폼 창작을 통해 얻은 수입은 2411만원인데, 중위값은 1700만원이었다.

응답자 절반은 플랫폼 창작으로 1700만원 이하의 소득을 얻는다는 얘기다.

웹툰작가의 경우 평균 3020만원(중위값 2040만원)으로 일러스트·웹소설 작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창작자들은 작품을 연재하기 전 수입을 얻을 수 없는 ‘비축 기간’도 상당 기간 거치고 있었다. 창작자의 계약 전 작품 비축 및 준비 기간은 1년 중 평균 5.7개월로 나타났다.

1년 중 약 절반 정도를 작품 비축 및 준비 기간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낮은 수입의 영향으로 부업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대다수 작가들은 “(창작이)주업이고, 창작노동에만 종사한다(75.8%)”고 했지만 “창작이 주업이나, 다른 일도 하고 있다”는 답도 17.5%였다. <구>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