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최현목 기자 = 세월이 무상하다. 친문(친 문재인) 중에서도 실세인 PK 친문이 최근 위기에 봉착했다. 문재인정권 출범 이후 성장을 거듭해왔던 상황서 뜻하지 않은 악재다. <일요시사>는 PK 친문의 ‘흥망성쇠’를 살펴봤다.
‘친문’의 시작은 ‘친노(친 노무현)’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곁에는 항상 친노가 함께했다. 그의 지지자 또는 측근 그룹이다. 강금실 전 법무부장관, 김경수 경남도지사,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한명숙 전 국무총리 등이 바로 그들이다. 문재인 대통령 역시 대표적인 친노로 불렸다.
실세 그룹
친노가 언론에 등장한 시점은 지난 2002년 무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선 후보였던 노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선거를 앞두고 곤두박질치자, 민주당 내부에서는 정몽준 후보로 교체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왔다. 이때부터 민주당은 ‘친노’ ‘비노’ 진영으로 나뉘었다.
친노는 정치적 파도 속에서 굴곡진 삶을 살았다. 정몽준 후보와 단일화에 성공한 노무현 후보가 대선서 승리하면서 친노는 전성기를 구가했다. 그러다 2007년 치러진 제17대 대선서 패하면서 ‘폐족’을 자처하는 등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이후 2009년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구심점을 잃은 친노는 와해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친노가 부활한 것은 2010년 지방선거 이후다. 정치권은 당시 지방선거가 친노의 부활을 가늠하는 시험대라고 전망했다. 정치적 재개를 모색하던 친노 인사들이 대거 선거에 출사표를 던졌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안희정·이광재 등 친노 인사들이 각각 충남도지사와 강원도지사에 당선되면서 친노는 부활의 신호탄을 쏘는 데 성공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2년 대선주자로 올라서며 친노는 완벽한 부활에 성공한다. 정치권 입문 전 ‘노무현의 친구’로 알려졌던 문 대통령은 2011년 자서전 <문재인의 운명>을 통해 ‘노무현 변호사를 만나고, 지금에 이르게 된 것도 마치 정해진 것처럼 느껴진다. 운명 같은 것이 나를 지금의 자리로 이끌어온 것 같다’고 회상했다.
낙선한 문 대통령은 새정치민주연합의 당 대표로 선출됐다. 이때를 전후로 ‘친문’이라는 단어가 언론에 자주 등장하기 시작했다. 친문은 친노를 뿌리로 두고, 문 대통령을 구심점으로 모인 인사들을 통칭했다.
이후 친문은 민주당의 주류로 올라섰다. 지난 2016년 열린 20대 총선서 민주당이 승리하면서부터다. 당시 20대 총선을 앞두고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를 중심으로 한 비문(비 문재인)은 친문 패권주의를 거부한다는 명분으로 탈당해 국민의당을 만들었다. 당내 비문이 다수 국민의당으로 넘어가면서 친문은 자연스레 당의 핵심 주류로 올라섰다.
2017년 5월 문 대통령이 한국의 19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노무현정권을 세웠던 1등 공신들이 문재인정권 출범에도 일조했다. 부산·울산·경남(PK) 출신 친문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들의 위상은 정권 출범과 함께 상승했다.
노·문 두 대통령 보필하며 승승장구
댓글 조작·감찰 무마 사건 직격탄
PK 친문은 청와대 1기 참모진과 내각에 입성했다. 조국 전 법무부장관과 윤건영 전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 김영춘 의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PK 친문 중에서도 핵심으로 분류된다.
민주당 내에서는 다양한 친문 그룹이 존재한다. ▲수도권 그룹 ▲PK 그룹 ▲참여정부 청와대 출신 그룹 ▲문재인표 영입 그룹이 그것이다. 그 중에서도 PK 친문은 민주당의 핵심 주류로 꼽힌다.
이들은 노무현·문재인 대통령과 동향이라는 특수성으로 묶인 그룹이다. 이런 무한책임을 바탕으로 현 정권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을 위한 위해 움직인다. 두 대통령 모두 경남서 태어났으며, 부산을 중심으로 정치적 입지를 다져왔다.
현 정권 들어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PK 친문은 최근 연달아 정치적 암초에 부딪히며 흔들리고 있다. 시작은 김경수 경남도지사의 ‘댓글 조작’ 의혹이다. 김 지사는 드루킹 일당과 공모해 2016년 11월 무렵부터 민주당 대선후보의 당선 등을 위해 댓글조작 프로그램 ‘킹크랩’을 이용한 불법 여론조작을 벌인 혐의로 기소됐다. 1심서 실형을 선고받은 그는 현재 항소심 선고를 기다리고 있다.
김 지사는 PK 친문 중에서도 핵심으로 통한다. 경남 고성 출신인 그는 노무현정권 당시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으로 일했다. 노 전 대통령이 퇴임한 후에는 봉하마을로 함께 내려갔다. 김 지사가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으로 불리는 이유다. 또 다른 별명은 ‘문재인의 복심’이다. 2017년 대선 때 문재인 후보 대변인, 수행팀장을 지낸 그는 대선 승리 후 국정기획자문위원을 역임한 바 있다.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 ‘감찰 무마’ 의혹은 흔들리던 PK 친문의 위상에 직격타를 날렸다. 부산 출신이자 PK친문인 조국 전 법무부장관은 지난달 17일 불구속 기소됐다. 유 전 부시장에 대한 청와대 특별감찰 중단을 결정한 혐의다.
조 전 장관의 공소장을 보면, 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은 김 지사(당시 국회의원)의 윤건영 당시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의 청탁성 연락을 받고 박형철 전 반부패비서관에게 ‘유재수를 봐주는 건 어떻겠느냐’ ‘사표만 받자’ 등의 제안을 했다고 한다.
12일 후 검찰은 감찰무마 의혹과 관련해 백 전 비서관과 박 전 비서관을 추가로 불구속 기소했다. 이에 검찰이 조 전 장관의 공소장에 등장한 인사들 중 어느 선까지 기소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윗선은?
PK 친문의 핵심 인사들이 연달아 재판에 넘겨지는 사태에 민주당 지도부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4·15총선을 앞두고 있어 고심은 더욱 크게 느껴진다. 결국 민주당 지도부는 특단의 조치를 꺼내들었다. 김두관 의원의 ‘PK 차출’이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김 의원에게 PK 출마를 거듭 요청했다. 경남도지사를 지낸 이력을 갖고 있는 김 의원을 통해 흔들리는 PK 민심을 잡기 위함으로 읽힌다. 김 의원은 고심 끝에 이를 받아들였다. 총선 시계가 빨라짐에 따라 민주당 지도부의 보폭도 점차 빨라지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