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주년' 코스피200 살벌한 흥망사

2014.06.20 19:29:35 호수 0호

하루하루 피말리는 ‘쩐의 전쟁’

[일요시사=경제2팀] 박효선 기자 = 1994년 6월에 태어난 코스피200. 올해 스무살이 됐다. 20년 동안 코스피200은 한국경제의 상처를 안고 함께 성장했다. 앞만 보고 달려온 만큼 부작용도 많았다. 어떤 기업은 몸집을 불렸고, 어떤 기업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코스피200을 통해 한국경제를 되짚어 봤다.



코스피200은 한국경제의 자화상이다. 코스피200에 상장된 기업들은 20년 동안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그 안에서 많은 변동이 있었다. 종목마다 오르고 떨어지는 폭도 제각각이었다. 2008년 이후 경기불황이 지속되면서 삼성, 현대그룹 등의 계열사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한국경제 자화상

주가지수는 주식시장의 기온이다. 주식시장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로 경제지표의 역할을 한다. 증권시장 규모와 오르고 내리는 상황은 한 국가의 경제 상태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주가지수 중에서도 코스피200지수는 사실상 우리나라 경제 지표의 역할을 한다. 코스피 종목 중 200개를 뽑아낸 코스피200지수에는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들이 상장돼 있기 때문이다.

코스피200은 상장종목수의 20%밖에 되지 않지만 전 종목 시가총액의 70%를 차지한다. 따라서 종합 주가지수의 움직임과 거의 일치한다.

이러한 코스피200지수는 1994년에 도입됐다. 이후 코스피200은 20년 동안 한국경제의 기쁨과 슬픔을 안고 함께 성장해왔다. 코스피200에는 1997년 IMF 외환위기부터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까지 한국경제의 흥망성쇠가 담겨있다.


도입 당시만 해도 코스피200은 국내 굴지의 대기업 200개가 상장돼 있는 만큼 변화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런데 예상은 빗나갔다. 기업들의 수명은 생각보다 짧았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1000대 기업의 평균 수명은 27.2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코트라(KOTRA)가 발표한 우리나라 상장기업 평균 수명은 20년이었다.

한국거래소가 1994년 6월15일 ‘코스피200’ 종목을 처음으로 발표한 이후 현재까지 3분의 1의 기업만 살아남은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해 분투했던 만큼 코스피200은 20년 동안 온갖 굴곡을 겪었다. 상위 10위권 안에서도 커다란 변동이 일어났다.

코스피200지수가 도입됐던 당시 1990년대 시가총액 1위는 한국전력공사가 늘 차지했다. 90년대는 공기업의 강세로 한국전력, 한국이동통신 등이 코스피200 상위권을 유지했다.
 

그러다 1997년 외환위기를 맞으면서 코스피200도 주저앉았다. 종목의 시총이 뚝 떨어진 것이다. 97년 97조8850억원이었던 코스피200 종목 시총은 98년 48조7256억원으로 반토막 났다.

90년대 한국의 대표 기업이었던 대우그룹 계열 5개사(대우, 대우중공업, 대우전자, 대우통신, 쌍용자동차)는 99년 코스피200종목에서 퇴출됐다. 그렇게 김우중 전 회장의 대우그룹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1990년대 한전 등 공기업 전성시대
2000년대 들어 삼성·현대 쏠림현상

2000년대 들어서면서 코스피200 판도는 점차 바뀌기 시작했다. 우선 경쟁력이 약했던 공기업들은 위축됐다. 따라서 90년대 시총 1위를 차지했던 한국전력은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지난 2012년에는 10위권 밖에서 멀어지기도 했다.

대신 벤처붐이 일면서 삼성전자, 네이버, SK하이닉스 등의 IT 관련 기업들이 강세를 보였다. 이때부터 삼성전자는 시가총액 1위 자리 굳히기에 들어갔다.

그러다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를 맞이하면서 코스피200은 또다시 위축됐다. 미국의 투자은행인 리먼 브러더스 파산 이전 2008년 6월 코스피200 시총은 759조9501억원이었지만 2009년에는 641조3597억원으로 15.6% 감소했다. 시총 감소폭은 외환위기 때에 비해 적지만 충격 여파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소수의 국내 대기업만 살아남고 많은 기업들은 쓰러졌다.


리먼 사태 이후 기업의 양극화 현상은 뚜렷해졌다. 2010년 이후부터는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투톱’체제를 이루며 달리고 있다. 현재 삼성과 현대그룹 계열사가 코스피에서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은 40%에 가까운 것으로 추산된다. 코스피200지수에 편입된 삼성그룹 상장사는 16개, 현대그룹은 20개 종목으로 집계됐다.

특히 삼성그룹이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은 30%에 육박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전날 보통주 기준으로 코스피200지수를 구성하는 전체 종목 중 삼성그룹 상장사의 시총 비중은 29.7%로 나타났다. 특히 대장주인 삼성전자의 시총 비중만 20.72%에 달했다.
 

지난 2009년 6월 코스피200지수에서 삼성그룹 상장사의 시총이 차지하는 비중은 21.8%였다. 5년 사이에 삼성그룹의 시총 비중이 8%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당시 코스피200지수에 편입된 삼성그룹 상장사 종목 수는 13개였다. 이후 삼성카드(2009년 6월12일), 삼성생명(2010년 9월10일), 호텔신라(2013년 9월2일)가 추가로 편입되면서 16개가 됐다.

이러한 삼성, 현대, LG그룹 등 주요 대기업 계열사의 영향력이 막강해지면서 문제점이 나오고 있다. 코스피200지수에서 이들 기업 계열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과도해지면서 주가 지수 등락률이 소수 기업에 좌우되는 구조가 돼버린 것이다.

대장주에 치중

이러한 문제와 관련해 그동안 거래소에서도 코스피 200지수 내 삼성전자 비중에 상한선을 두는 방법 등 여러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아직까지 거래소는 코스피200지수의 산출방식을 변경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다.

코스피200지수가 발전하기 위해 총수익지수(Total Return Index)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고봉찬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는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인덱스 콘퍼런스 2014’ 주제 발표를 통해 “현재 코스피200은 시가총액 기반의 가격지수로 배당 수익이 고려되지 않아 시장 수요와 다소 괴리가 있다”며 “주요 해외지수의 경우 대부분 총수익지수를 발표하고 있어 지수를 벤치마크로 하는 정확한 성과평가 및 활용도 제고 등을 위해 총수익지수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dklo216@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코스피200 재도전사


코스피200에서 쫓겨났다가 재입성하는 기업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자동차 부품업체 만도를 꼽을 수 있다. 과거 1997년 만도기계는 부도발생 및 은행거래정지로 코스피200지수에서 퇴장 당했다. 2000년에 결국 상장 폐지됐다. 그러다 2012년 15년 만에 코스피200지수로 돌아와 부활했다. 악재를 딛고 철저한 준비를 통해 코스피200 종목에 입성한 것이다.

소주 제조업체인 진로도 2003년 상장 폐지됐다가 6년여 만에 증시에 재입성했다. 상장 폐지 후 5년이 지났기 때문에 규정에 따라 재상장이 아닌 신규상장 절차에 따라 기업공개부터 진행했다. 이후 코스피 시장에 상장하면서 진로는 코스피200에 편입됐다. 현재 코스피200 시가총액 5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기아차도 1997년 사라졌다가 2000년 다시 돌아왔다. <효>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