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시사 정치팀] 박 일 기자 = 김상욱 국민의힘 의원이 8일, 전격 탈당을 선언했다.
김 의원은 이날, 서울 동작구 소재의 현충원 참배 직후 기자회견을 열고 “앞으로 극우 보수나 수구 보수가 아닌, 참 민주 보수의 길을 걷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기능성이 사라진 극단적 상황에 놓인 국민의힘을 아픈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도 했다.
“오늘 탈당을 결정했다”는 김 의원은 “이후 더 많은 고견을 듣고 더 깊이 생각해 오직 국민께 도움되는 결정이 무엇인지를 기준으로 정당 입당 또는 그 밖의 정치 행보에 대한 의사를 결정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민의힘 선배·동료 의원님들과 당원 지지자분들께 송구함을 올린다”며 “국민의힘이 정통 보수 정당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길 간절히 바라왔고, 그 충정으로 외롭고 힘들지만 충언을 계속했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 “오늘의 보수 가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그리고 공정·합리·개방·포용·자유를 기준 삼아 정치적 판단을 내려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이날 김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나 제3지대인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와의 만남도 희망했다. 그는 “기회가 된다면 이재명·이준석 후보님들과 만나 현안 해결과 나라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말했다.
앞서 김 의원은 전날, 언론 공지를 통해 “당에 4대 요구에 대해 거취를 걸고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내일 오전 10시,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한 후 거취에 대한 부분을 말씀드리려고 한다”고 밝혔던 바 있다.
김 의원이 요구했던 4대 요구안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즉각적인 제명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진정한 대국민 사과 및 재발 방지 약속 ▲경선에 참여하지 않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추후 야합은 없다는 약속 ▲계엄 사태로 촉발된 시급한 민생 해결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의 조속한 합의 및 대책 제시였다.
하지만, 당 내부에선 이 같은 요구에 대해 어떤 입장도 내놓지 않았고 결국 국민의힘과의 결별하면서 김 의원은 무소속 신분으로 의정활동을 하게 됐다.
일각에선 그가 민주당이나 제3지대로 보금자리를 옮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이날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취재진에게 “저쪽 당(국민의힘)이 도저히 회복할 수 없는 극우의 길을 가다 보니 탈당을 결정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면서 “입당 의사를 밝힌다면 긍정적으로 검토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par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