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창업 트렌드> 죽어도 같이 죽고 살아도 같이 살자

2024.05.27 13:23:45 호수 1481호

국내 1위 숯불바비큐치킨 전문점 ‘훌랄라참숯치킨’(회장 김병갑)이 월드비전(회장 조명환)과 함께 ‘2024 생계지원사업 건강한 닭 선물하기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캠페인은 지난 4월15일부터 다음 달 30일까지 진행되는데, 훌랄라참숯치킨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참여함으로써 월드비전 해외사업장이 있는 전 세계 32개국 60만명의 어린이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선한 영향력을 확산시켜 나간다는 것이 목표다.



캠페인 방식은 일반 후원자가 아프리카, 아시아, 중·남미 등의 저개발 국가 아동들에게 1마리 ‘닭’을 선물하면 ‘훌랄라참숯치킨’이 1마리를 더 후원하는 방식이다. 후원자 모두에게는 원두커피가 선물로 제공된다. 

월드비전 측은 닭 선정 기준과 한 마리 후원 비용에 대해 백신 접종을 마친 싱싱한 달걀을 낳을 수 있는 건강한 닭 구입비, 산 넘고 물 건너 아이들의 집까지 배달하는 운송비, 일정 기간 동안의 사료비, 닭을 건강하게 키울 수 있도록 교육하는 비용 등 약 8~20달러가 소요된다고 밝혔다.  

선한 영향력

김병갑 훌랄라 회장은 “닭을 키우면서 얻는 달걀은 아이들의 든든한 영양식을 제공하고, 닭은 번식력이 높아 아이들의 교육비, 의료비 등 각 가정의 주요 소득원 및 생계수단이 된다”며 “닭 지원 및 교육을 통해 소득이 생기면 소득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도 교육하고, 스스로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능력도 함양시키기 때문에 많은 후원자분들이 훌랄라와 함께 선한 영향력을 확산시켜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훌랄라참숯치킨이 지난해 실시한 ‘2023 건강한 닭 선물하기 캠페인’을 통해서는 후원금 1500만원을 월드비전에 전달해 전 세계의 많은 아동 가정에 도움이 됐다고 한다. 


탄자니아 은다바시 지역의 노엘 가정은 3마리의 닭을 받았고, 그중 1마리는 가정 형편이 어려운 이웃에게 나눠줬다고 하는데, 노엘은 “훌랄라 후원자님께서 나눠주신 것처럼 후원자님의 마음을 본받아 저희도 그 사랑을 이웃과 나누고 싶었다”며 “현재 닭은 우리 가족 영양을 채워주고, 수입원이 되어 우리의 필요를 채워주고 있다”고 감사의 인사를 전해왔다. 

역시 아동의 영양 상태가 좋지 않다고 알려진 방글라데시 카하롤 지역의 이바 어린이도 “건강한 토종닭 2마리를 받아, 달걀과 닭고기로 만든 맛있고 영양가 많은 음식을 먹을 수 있어서 너무 기쁘다”며 “소중한 닭을 잘 키워서 가정에 큰 도움이 되고 싶다”고 닭을 선물 받은 소감을 전했다.

한편, 훌랄라참숯치킨은 2013년부터 해외 저개발국가에 매년 1기의 우물을 후원해 왔으며 지난 2019년 누적 후원금 1억원 이상인 월드비전 밥피어스아너클럽에 가입해 나눔의 가치를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생계지원사업 건강한 닭 선물하기
32개국 60만명 어린이에게 꿈과 희망

훌랄라그룹은 외식문화기업을 표방하며, 이에 걸맞은 사회공헌활동을 적극 펼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중소기업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20년 넘게 매년 국내외 사회적 약자에 기부를 하고 있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기업의 표본이라고 해도 무방하다는 것이 외식업계의 평가다. 

김병갑 회장은 “기업의 기부는 조건 없이 계속돼야 한다”며 “기업이 좀 어렵다고 해서 기부를 멈추어서는 안 된다”는 평소 기부철학을 피력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기업이 어려우면 사회적 약자는 더 힘들기 때문에 어려운 사업 환경 핑계를 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해서 훌랄라그룹은 최근 몇 년간 계속돼 온 극심한 불황에도 기부를 줄이지 않았다고 한다. 

오히려 해가 갈수록 기부의 횟수는 증가하고 기부의 정도는 더 강해져 왔다. 김 회장은 “이제 기부가 일상생활에 몸에 밴 것처럼 자연스러운 경영활동이 돼 버린 것 같다”고 말한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순남 부사장 등 경영진도 적극적으로 김 회장의 기부행위를 지지하고 있다고 한다. 

이같이 최근 프랜차이즈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많은 브랜드가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공헌활동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프랜차이즈 업계의 이미지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중이다. 

이들 기업은 사회적 약자와 지역사회에 공헌한다는 브랜드 철학을 가지고 있다. 또, 자영업의 건전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이 본사의 방침이다.


내부 구성원과 가맹점, 협력업체가 합심해 지역사회 공헌활동을 꾸준히 전개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착한 기업이라는 명성을 쌓아가고 있다. 구매가 기부가 되는 코즈 마케팅(cause marketing)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가맹점도 동참함으로써 가맹점 창업에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기업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창업에 자부심

단순히 보여주기 식의 이벤트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지역사회와 동반성장하겠다는 기업이념을 실천하는 진정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이처럼 국내외에 걸쳐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기부와 지역사회와 인류에 대한 공헌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확산시켜나가는 프랜차이즈 기업의 ‘착한 경영’이 브랜드 이미지도 더욱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webmaster@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