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데미K뱅크’ 작가 데미 킴

2023.06.26 10:32:59 호수 1433호

“세상에 내 것이 없다는 걸 안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갑자기 비가 내렸다. 해가 쨍쨍한 하늘에서 소나기가 쏟아졌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늘이 짙게 내려앉았다. 간간히 떨어지는 빗방울을 피해 집 안으로 들어가자 진한 주황색 옷을 차려 입은 데미 킴 작가가 손을 내밀며 다가왔다. 그의 작업실은 온통 환한 빛으로 가득했다.



<일요시사> 취재진을 반기는 데미 킴의 발걸음은 분주했다. 식탁에는 데미 킴이 오전에 외출해 사온 다과와 꽃 포장지로 곱게 꾸민 스푼·포크가 놓여 있었다. 기자 혼자 오는 줄 알았다며 손사래를 친 그는 곧이어 집 안 곳곳을 안내했다.

척추 장애

데미 킴의 집은  주거공간이면서 작업실이다. 집 안 어디를 가도 그의 작품을 볼 수 있었다. 오후가 되면서 해가 길게 늘어지자 햇빛을 가리기 위해 내린 블라인드도 작품으로 만들었다. ‘세상에 하나뿐인’ 블라인드를 가리키며 데미 킴은 더할 나위 없이 환하게 웃었다. 자신의 작품을 향한 자부심으로 똘똘 뭉친 예술가의 웃음이었다. 

데미 킴은 허리가 잔뜩 굽어 있는 상태다. 생후 8개월 유모가 데미 킴을 떨어뜨리면서 척추를 다쳤기 때문. 손을 대기만 해도 자지러져라 우는 데미 킴을 데리고 병원을 찾았을 때 의사는 해열제를 놨다. 38도까지 치솟던 열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소아마비로 이어졌다. 

평생 짊어지고 갈 장애를 얻게 됐지만 데미 킴은 누구보다 자유로웠다. 몸의 불편함, 주변의 시선에도 아랑곳하지 않았다. 데미 킴은 “다른 사람의 말은 나한테 전혀 중요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어릴 때부터 그림, 컬러, 요리, 공예 등 손으로 하는 일에 두각을 나타냈고 그 재능을 살려 평생을 매진했다. 


안 되면 말 그대로 되게 했다. 음악을 하고 싶었던 데미 킴은 지인을 통해 바이올린을 배우게 됐다. 바이올린은 활로 연주하는 악기다. 척추를 다쳐 몸의 움직임이 불편한 데미 킴으로선 활을 잡고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일 자체가 일종의 ‘도전’이었다.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싶어서 하루 1시간씩 매일 수영 레슨을 받았어요. 그렇게 매일 하다 보니 팔에 근육이 붙더라고요. 지인 중에 바이올리니스트가 있어서 나는 영어를 가르쳐주고, 지인은 내게 바이올린을 가르쳐줬죠.”

집 안에 가득한 그림
생명력 넘치는 작품

데미 킴은 몇몇 지인과 함께 음악회를 준비해 등대마을을 찾았다. 고아원에 살고 있는 30여명의 아이 앞에서 데미 킴은 바이올린을 켰다. 데미 킴은 “아이들은 스스럼없이 와서 내 굽은 등을 만져보곤 했다. 일반인 연주자의 연주보다 장애인이 연주하니까 아이들 입장서도 더 인상 깊었던 것 같다”고 회상했다.

데미 킴은 자신의 그림을 팔아 등대마을 아이들에게 중고 바이올린을 선물했다. 주변 지인을 만나 등대마을에 후원도 부탁했다. 데미 킴은 어릴 때부터 주변 사람을 돕는 일에 거리낌이 없었다고 했다. 

“나는 세상에 내 것이 없다는 걸 알아요.” 

데미 킴이 인터뷰서 수차례에 걸쳐 한 말이다. 돈이 있든 없든 세상을 떠날 때 싸들고 갈 수 없다는 자명한 사실을 진작부터 해탈하듯 알아버린 것 같았다. 

데미 킴이 주변 사람에게 주고 싶은 건 금전적인 게 아니었다. 자신의 재능을 꽃피울 수 있는 기회였다. 재능이 있지만 환경이 어려워 기회조차 갖지 못한 이들에게 동기 부여로 작용할만한 ‘무언가’를 주고 싶다는 생각이다. 

“빨주노초파남보, 7가지 색깔을 섞으면 무슨 색이 될 것 같아요? 검정색이 돼요. 그토록 개성 강한 색이 섞여도 결국 하나의 색으로 바뀐다는 거죠. 우리 어른이 개개인의 개성과 재능을 살릴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어야 해요.”

데미 킴은 금전적인 부분에 관해 언급했다. 그림을 통해 돈을 벌어야 한다는 생각이 확고했다. 누군가에게 기회를 주고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풍요로움이 바탕이 돼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지난 4월 데미 킴의 이름을 따 만든 ‘데미K뱅크’ 역시 그 연장선상이다. 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에게 무이자로 50만원을 빌려주고 1년 안에 갚도록 하는 일종의 ‘나눔은행’이다. 데미 킴은 이 은행 설립의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100호 크기의 작품 ‘부처님 품은 금두꺼비’를 그렸다.

호가는 100억원으로 삼각산 안양암의 상징물 ‘두꺼비바위’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2019년 ‘우담바라’ 베트남 기증  
2021년 조 바이든 수여한 봉사상

데미 킴의 이번 행보는 20여년 넘게 이어온 재능기부의 결정판이다. 2021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수여한 ‘문화예술 부문 봉사상’ 금상 수상자로 선정돼 화제가 된 바 있다. 앞서 2019년 3월에는 베트남 ICC(International Children’s Care)에 초청 받은 자리에서 작품 ‘우담바라’를 기증하고 아이들을 위해 집을 지어주기도 했다. 

우담바라는 특정한 대나무나 영력이 강한 곳에서 핀다는 전설의 꽃이다. 데미 킴은 서울 삼각지 인근서 우담바라를 처음 보고 완전히 매료됐다. 눈으로는 볼 수 없는 꽃을 현미경으로 처음 보고 그림의 소재로 삼아야겠다고 생각했다. 

데미 킴은 우담바라를 눈에 익히기 위해 해당 장소에 100번도 넘게 찾아가 매일같이 들여다봤다. 그 덕분에 지금은 우담바라를 보지 않고도 그릴 수 있는 수준이 됐다. 우담바라를 소재로 그린 작품만 15점에 이른다.

“우담바라에 대해 찾아봤는데 상서로운 일이 있을 때 피는 꽃이라고 하더라고요. 나라에 큰 이변이 생기고 좋은 일이 있을 때 그 꽃이 핀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우담바라를 보게 됐을 때 내 인생에 상서로운 일이 있을 거라 생각했죠. 베트남에 초청받았을 때 우담바라를 가져가 기증하고 아이들에게 집을 지어줬어요. 이 얼마나 상서로운 일이에요.”

자유로운 영혼

데미 킴은 꽃밭을 그리고 싶으면 실제 꽃을 심고 가꿔 그림에 담는다고 했다. 그래서일까? 데미 킴의 작품에는 생명력이 가득했다. 집 안 곳곳에 걸린 액자는 구성원을 감싸 안아주듯 포근하게 느껴졌다. 그는 인터뷰 말미에 “저를 잊지 않아줘서 고맙습니다”라고 말했다. 강렬한 주황색 옷에 브로치로 포인트를 준 데미 킴은 그 자체로 강렬한 태양처럼 보였다. 

<jsja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