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 떨리는 ‘파킨슨병’

2022.04.19 09:54:52 호수 1371호

급격한 고령화 사회의 그늘

파킨슨병은 도파민 신경세포의 소실 때문에 발생하는 신경계 만성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세계 파킨슨의 날(4월11일)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파킨슨병’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9만6764명에서 2020년 11만1312명으로 1만4548명(15.0%)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3만8644명에서 2020년 4만6369명으로 20.0%(7725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5만8120명에서 2020년 6만4943명으로 11.7%(6823명) 증가했다.

치매는?

2020년 기준 파킨슨병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1만1312명) 중 70대가 37.9%(4만2172명)로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이 36.5%(4만603명), 60대가 18.7%(2만819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70대가 39.6%로 가장 높았고, 여성의 경우에는 80세 이상  40.7%, 70대 36.7%, 60대 16.8%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파킨슨병 환자 중에 동반상병으로 ‘치매’ 진료(약국 제외)를 받은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은 4만6369명 중에 5267명(11.4%)으로 나타났으며 80대 이상이 2639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6만4943명 중에 15.2%인 9900명이었으며 80세 이상이 6187명, 70대가 3184명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파킨슨병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217명으로 2016년 191명 대비 13.6% 증가했으며, 남성은 2016년 152명에서 2020년 180명으로 18.4%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230명에서 2020년 254명으로 1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파킨슨병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이 2290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80세 이상이 2322명으로 가장 많고, 70대 1174명, 60대 310명 순이며, 여성도 80세 이상이 2273명으로 가장 많고, 70대 1266명, 60대 325명 순으로 나타났다.  

파킨슨병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하나로, 중뇌의 흑색질이라 불리는 부위의 도파민이 부족해 운동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나, 파킨슨병의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40세 미만의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파킨슨의 경우에는 유전적인 요소가 많이 관련돼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드물게 가족성으로 발병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가족력이 없이 발생한다. 환경적 영향이나 독성물질이 원인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 아직 모든 환자의 질병 발생의 원인을 설명할 만큼 확실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다.

이처럼 뚜렷한 발병 원인을 모를 때 ‘특발성’이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대부분의 파킨슨병 환자들이 이러한 ‘특발성 파킨슨병’에 해당된다.

파킨슨병의 특징적인 주요 임상증상에는 떨림, 운동완서(느려짐), 근육의 경직, 보행 장애, 자세 이상 및 자세 불안정이 있다. 파킨슨병 환자 중 약 70%에서 나타나는 임상 양상은 떨림 중 주로 안정 시 떨림으로, 가만히 앉아 있거나 특히 걸을 때 잘 보이는 떨림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2016~2020년 5년간 환자 15% 증가
70대 가장 많아…80세 이상·60대 순

가장 대표적인 파킨슨병 임상증상은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운동의 진폭이 작아지는 상태인 운동완서이며, 움직일 때 뻣뻣해 유연성이 떨어지는 것을 느끼는 근육의 경직이 있다. 몸이 앞으로 굽는 자세 이상 및 병이 진행하면서 걷기 시작할 때 발이 안 떨어지거나, 종종걸음, 보행 동결이 나타나서 앞으로 넘어지거나 자세 불안정으로 균형을 잡지 못하여 자주 넘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파킨슨병은 이러한 운동증상이 기본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실제로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많이 주고 병의 초기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환자 및 보호자를 힘들게 하는 비운동증상이 거의 대부분 나타난다.

비운동성 증상은 크게 자율신경계 이상, 정신신경 이상 증상, 수면 장애, 후각기능 이상, 통증 등이 있다.

정신신경 이상의 증상으로는 우울, 불안감, 무감동, 정신병증, 인지기능 장애, 충동조절 장애 등이 있다. 자율신경계 이상으로는 침 흘리기, 기립성 저혈압, 소변 장애, 성기능 장애, 위장관 운동 장애, 땀 분비 기능 이상 등의 증상이 있다. 수면 장애로는 불면증, 렘수면행동 장애, 과도한 주간 졸림이 있다. 이외에 통증, 피곤함, 후각 장애 등의 증상이 있다.


파킨슨병은 뇌의 퇴행성 질환의 하나로 ‘나이의 증가’가 가장 중요한 위험 요소로 지금까지 확실한 예방 인자는 없다. 다만 몇몇 대규모 연구에서 커피나 카페인 등의 복용이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있다.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뇌의 퇴행성 질환으로 적절한 약물 치료뿐 아니라 규칙적 운동 등의 환자의 근력을 유지하고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되는 환자의 노력이 동반돼야 한다.

진단받게 되면 먼저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파킨슨병의 약물치료의 목적은 완치가 아닌 일상생활을 잘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따라서 약물 치료를 할 때는 환자의 나이, 직업, 사회 활동 정도, 파킨슨병 질병의 중증도, 환자가 불편해하는 증상, 약 복용 기간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해 현재의 치료 및 장기적인 치료계획을 세워야 하는 개개인의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

특발성

그러나 환자 및 보호자들이 파킨슨약의 부작용 및 합병증 등을 걱정해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게 된다면 환자의 사회 활동에 제한뿐 아니라 증상이 지속적으로 악화돼 보행 장애 등이 발생해 낙상이나 골절의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무조건 약물 치료 시작 시기를 늦추거나 약을 거부 하기보다는 환자의 상태 및 환자의 치료 목표에 대해 파킨슨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해 약의 종류 및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webmaster@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