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이전부터 국내 문예계 등단제도에 지속적으로 문제점이 제기됐지만, 여전히 상황은 바뀌지 않고 있다. 예비 작가가 문예지를 통해 등단하기 위해서는 작품 제출과 함께 비용도 부담해야 한다. 문예계의 열악한 상황을 드러낸 셈이다. 문예지 작가 등단 과정과 비용에 대해 파헤쳐 봤다.
독서인구가 점점 줄고 있다. 역설적으로 작가 지망생들은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름이 알려진 작가나 언론사가 주최하는 글쓰기 특강에는 수많은 수강생이 참여한다.
인기
지난해 7월 웹소설 연재 플랫폼 문피아가 운영한 문피아 아카데미에 작가 지망생 2000명이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웹소설 시장만큼이나 순수문학 작가를 꿈꾸는 이들의 시장도 작지 않다. 소설, 에세이 등 순수 문학 장르 작가를 양성하는 특강이나 소모임에도 회원들이 즐비하다. 직장인, 주부 할 것 없이 작가로서의 활동하기 위해 글을 쓰고 고친다.
등단이란 아마추어 작가가 신춘문예 등을 통해 순수문학 작가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문예지의 공모전에 출품한 작품이 당선돼 작가로서 활동하게 되는 것이다. 자신의 이름을 걸고 내딛는 작가로서의 첫걸음이라고 말할 수 있다.
등단이 된 이후 꾸준히 활동하면 기성작가라고 불리게 된다. 최근에는 늦은 나이에도 등단했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공모전 사이트에서는 신문사, 문예지 할 것 없이 신인 작가를 뽑고 있다. 특히 문예지는 등단의 중요성을 알리면서 신인 작가들의 작품을 원한다는 글을 게시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문예지는 역사와 전통을 소개하며 신인 작가들을 모집한다는 글을 올린다.
문예지 한 곳은 ‘등단비를 터무니없이 많이 받는 곳은 사업 목적인 곳이니 주의하고 약간의 행사비나 상패는 본인 부담’이라는 글을 게시하기도 했다.
문예지 등단비는 천차만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소 10만원에서 최대 50만원까지 금액을 부르기도 한다.
이를 관행으로 보는 시각과 적폐라고 보는 두 가지 시선이 공존한다. 이전부터 이어져 온 관행으로써 문예지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반면 ‘돈으로 작가 타이틀을 사는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글을 쓰고 싶어하는 예비 작가들은 적지 않은 금액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등단한 작가가 부담하는 이 비용은 어떤 곳에 쓰일까.
외부 심사위원 초청비 명목
최소 10권…책 구매 요구도
업계 관계자들은 대부분 문예지가 경제적으로 탄탄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신인 작가들에게 상금을 주고 싶어도 주지 못하는 상황이라 안타까운 현실을 고백했다.
A 문예지 관계자는 “신인작가들이 작품을 출품하게 되면 외부에서 심사위원을 초청하기 때문에 비용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심사위원 6명을 초빙한다고 가정하면 5만원씩 해서 최소 30만원이 나온다”고 말했다. 이어 “문예지 입장에서도 재정이 넉넉하지 않은데, 돈을 들이면서까지 신인 작가를 발굴하기란 어렵다. 등단한 작가들이 부담하는 최소한의 금액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언급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문예지에서 출판한 책값이라고 설명했다. 웹상에서 알려진 등단 비용은 신인 작가들이 산 책값이라고 했다.
작가들이 등단하게 되면 등단된 작품 최소 3점에서 5점까지가 책에 실리고 작가의 인터뷰와 프로필까지 함께 담긴다. 이후 문예지 측은 작가에게 책 구매를 유도한다. 책값은 최소 1만원에서 1만5000원으로 책정된다.
책 구매를 하지 않아도 되냐는 물음에 업계 관계자 B씨는 “책을 제작하는 비용이 들기 때문에 책을 사지 않는 것은 좀 곤란하다. 신인 작가에 관한 내용이 많이 담겨있어 구매를 많이 한다. 최소 10권은 구매를 한다고 보면 된다. 그마저도 사지 않으면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등단이 취소되는 경우도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몇몇 작가 지망생은 등단비를 내야하는 부담에 등단을 포기하기도 했다. 등단된 후에도 문예지 구매 권유가 지속해서 이어지진 않을까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다른 이유를 말했다. 등단하고 나면 다른 곳으로 떠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계약금 같은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C 관계자는 “작가가 등단하고 나서부터가 문제다. 돈을 들이고 등단을 시켜줬는데 작가 활동을 하지 않거나 다른 곳으로 떠나버리면 문예지 입장에서도 굉장히 곤란한 상황에 빠진다”며 “문예지와 신인 작가 사이에 기브앤드테이크(Give and Take)가 이뤄지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등단을 하고 나서부터 꾸준한 활동을 하게 되면 각종 프로그램도 많이 참여하게 되고 작가들에게 있어 좋은 기회가 많이 주어진다”고 말했다.
과거 한국 문학 제도에 대해 천명관 작가는 모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출판사와 언론사, 그리고 대학이 카르텔을 형성해 시스템을 만들고 작가들을 지배하고 있다. 작가는 더 이상 문단의 주인이 아니다. 선생님들이 주인”이라고 밝혔다.
카르텔?
이어 “매 시즌 문학상을 놓고 겨루는 이 리그에선 장편보단 단편이, 스토리보단 문장이, 서사보단 묘사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당연히 대중의 취향과는 괴리가 있다. 문단이 주목하기 시작하면 주요 문예지와 문학상 후보에도 이름을 올린다. 대학 강사도 병행하다가 주요 문학상을 타면서 마흔 전후에 대학교수로 부임해 존경하는 문단원로로 늙어가지만 대표작은 찾기 힘들어진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