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천우의 시사펀치> 이 나라, 망하지 않은 게 신기하다

2017.03.06 10:22:46 호수 1104호

대학서 영문학을 전공하던 시절에 있었던 일이다. 아마도 ‘영미시’ 과목 시간인 듯한데, 담당 교수께서 미국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Robert Frost)의 시 ‘The Road Not Taken(선택하지 않은 길)’을 분석해 발표하라는 과제를 냈다.



공교롭게도 과에서 처음 발표자로 지정돼 정말 열심히 준비했다. 그리고 발표 당일 열과 성을 다해 근 30분에 걸쳐 발표를 마치자 급우들이 수고했다며 박수를 아끼지 않았다.

바로 그 순간 교수께서 작심하고 한마디 하셨다. 요약하자면 ‘이제 걸음마 단계에 있는 학생이 어떻게 대시인의 작품을 함부로 재단하느냐’였다. 필자가 발표를 마무리할 즈음 강력하게 주장했던 시의 주제에 대한 지적이었다.

아울러 미국서 오랜 기간 공부하셨던 그분의 입을 통해 그동안 우리가 배웠던 교육, 즉 주제 찾기에 혈안이 되었던 잘못된 습성에 대해 강하게 질타하셨다. 그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물론 모든 학생이 일순간 침묵에 빠져들었다.

그 조그마한 사건이 계기가 돼 이후 나의 사고에 일대 변화가 찾아왔다. 나의 사고를 제한하는, 주제넘게 주제 찾기에 몰두하는 방식을 버리고 다양성을 염두에 두고 사고하는 습관을 들이기 시작했다.

그런데 후일 이러한 일이 또 다시 발생했다. 정치판을 접고 소설가로 변신한 바로 직후의 일이었다. TV를 시청하던 중 김대중 전 대통령이 아들 문제로 대국민 사과하는 장면을 보며 크게 한숨을 내쉬었다. 그리고 공개적으로 고백했다. ‘김 전 대통령도 인간이었다’고 말이다.


창피한 고백이지만, 필자는 그 순간까지 김 전 대통령을 인간으로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필자가 정치판에 있었던 13년이란 기간 동안 김 전 대통령은 인간 이전에 그저 타도해야 할 대상에 불과했다.

물론 김 전 대통령과 대치 상태를 이루는 패거리에 속해있고 그 문화에 함몰돼 있었기 때문인데, 결국 나의 사고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지극히 편협하게 변화한 결과였다.

이후 한동안 치를 떨 정도로 나에 대한 회의감에 빠져들었다. 언급한 것처럼, 대학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세상을 폭넓게 바라보자고 스스로에게 굳게 다짐했건만, 그 다짐은 철저하게 공염불이 돼버렸다.

그를 자각하고 일체의 패거리서 벗어나면서 서서히 욕심을 내려놓기 시작했다. 더불어 내 머릿속에 박혀 있던 더러운 생각들을 지워갔다. 그러자 주변, 즉 가정의 분위기는 다운돼 갔지만 내 마음은 홀가분하게 변해갔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지금 <일요시사>의 이 지면을 통해 필자의 시선에 왜곡돼 보이는 현상들을 과격하다 할 정도로 질타하고 아울러 그 대안을 제시하곤 했다. 그런데 내가 생각해도 창피할 정도로 그 끝이 보이지 않는다.

이런 글은 이제 그만 썼으면 좋겠는데, 귀한 밥 먹고 남들 질타하는 이야기 말고 아름다운 이야기로 지면을 채웠으면 좋겠는데 이 사회가 나의 조그마한 소망마저 짓밟고 있다. 나오느니 한숨뿐이다.

이제 조만간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이 헌재서 결판날 모양이다. 그런데 현 시국을 살피면 탄핵이 인용되어도 또 기각되어도 문제다. 참으로 기가 막힌 형국이다. 그저 유구무언, 이 나라가 망하지 않고 있다는 게 신기할 뿐이다.
 

※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