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최고의 시세차익을 남겨줬던 부동산은 요즘 다들 거래가 안돼 ‘거품이 꺼지는 징조’라며 불안해하고 있다. 불황기 적지 않은 종자돈 1억원 정도를 활용해 그래도 안심하고 투자할 부동산 종목을 찾는다면 ‘안전형 부동산’에 묻어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부동산침체기에는 경쟁자가 줄어 오히려 소액 투자자에게는 기회의 시장이다.
1억원의 여유자금을 가진 중산층에 알맞은 최선의 소액 투자처는 소형 아파트나 오피스텔, 재개발 지분, 분양권과 같은 주거용 부동산들이다.
물론 주거시설은 그동안 가격이 많이 올라 단가가 비싸고 다양한 투자처는 찾기 쉽지 않다. 그러나 요즘 같은 침체기에 안테나를 높이 세우고 꾸준히 발품을 팔다보면 의외의 수익이 발생하는 투자처를 찾기 쉽다.
매매가격이 1억~1억5000만원 내외의 소형 아파트는 서울의 경우 노원구, 강북구, 구로구, 강서구 일대에 몰려 있다. 수도권의 경우 고양, 안산, 동두천시 일대에 값 싼 매물이 꾸준히 나오는 추세다. 수도권과 인접한 충청권과 강원권의 소형 물량도 풍부한 편이다. 특히 49∼60㎡ 대의 소형 아파트는 공급량이 줄어드는 대신 임대수요가 꾸준해 소액으로 임대 사업하기에 유망한 투자처다. 소형 아파트의 투자수익률은 6~8% 선이다.
실질금리 마이너스 시대인 요즘 상당한 투자 수익률이다. 전세를 안고 매입할 경우 두 채 이상 구입할 수 있어 장기 투자용으로도 적당하다. 독신층 1인 가구가 많아 임대수요가 넉넉하고 월세비율도 다른 주거시설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와 양도세 규정이 여전히 무겁다보니 저가주택인 소형 아파트부터 처분하려는 다주택자들의 급매물량은 꾸준한 편이다.
지방 중소형아파트도 임대사업용으로 공략할만하다. 지방에서는 집 한 채 만으로도 임대업이 가능해졌다. 그동안 임대사업 주택수(5가구)를 맞추려면 이제는 대출 없이 소액의 여윳돈으로 임대수익을 거둘 수 있게 됐다. 임대호수는 현행 5호 이상에서 1호 이상으로, 임대기간은 7년 이상으로 주택면적 기준은 현행 85㎡ 이하에서 149㎡ 이하로 확대돼 매입 임대주택 사업자 기준도 완화되었기 때문에 관심을 가져볼만 하다.
교통망이 개선되는 수도권지역이나 입지여건이 우수한 유망지역 중 거래가 빈번한 곳을 선별해 급매물 위주로 매수해야 한다. 역세권과 재건축과 뉴타운, 도심 재개발지역에서 공급되는 단지는 다른 분양권 몸값이 치솟아 환금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알짜 단지 분양권만을 골라야 안전하다.
되도록 역세권과 재건축과 뉴타운, 도심 재개발지역에서 공급되는 단지는 다른 분양권 몸값이 치솟아 환금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알짜 단지 분양권만을 골라야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