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그레 '김호연 유령법인' 실체 추적

2014.07.04 14:29:21 호수 0호

비밀 들통…애국자라더니 미국서 ‘허걱’

[일요시사=경제2팀] 박효선 기자 = ‘인생2모작’을 위해 정계에 뛰어들며 돌연 회장직을 던지고 떠났던 김호연 전 빙그레 회장. 올 초 빙그레로 돌아왔다. 그런데 김호연 전 회장의 경영 복귀에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국회의원 시절 해외에서 부동산을 취득하고도 이를 숨긴 사실이 발각됐기 때문이다.



KBS <시사기획 창> 보도팀이 국내 재벌과 부호들의 수상한 해외 부동산을 집중 취재했다. 그 중에서도 김호연 전 빙그레 회장 일가가 논란의 중심에 서있다. 김 전 회장 일가가 페이퍼컴퍼니 7곳과 관계를 맺어온 것으로 드러났다.

빙그레-에버그린
수상한 관계

방송에 따르면 김호연 전 회장은 18대 국회의원을 지내던 당시 딸 정화씨의 명의로 시가 20억원 상당의 하와이 콘도를 보유했다. 김 회장 측은 이 콘도를 지난해 ‘클리어워터(CLEARWATER GROVE)’라는 회사에 매각했다. 그런데 이 ‘클리어워터’라는 회사의 주소가 김 회장 가족의 미국 주소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전 회장의 부인과 딸 명의로 되어 있는 ‘클리어워터’는 장모씨가 이사로 재직하며 관리하고 있었다. <시사기획 창> 보도팀은 장씨를 통해 김 전 회장 가족이 서류상 회사들을 만들어 여러 건의 미국 부동산을 거래한 사실을 발견했다. 이에 따라 김 전 회장 가족이 장씨를 통해 조세회피처 등에 서류상 회사를 만들어 미국 부동산을 거래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와이·시카고 등에 수상한 회사들 존재
모두 페이퍼컴퍼니…현지 부동산 사고팔아


그 중에서도 에버그린(EVERGREEN GLOBAL)이라는 회사는 빙그레와 관련돼 있었다. 1995년 설립된 에버그린은 20여년 동안 빙그레에 식품 원료를 수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빙그레가 자사의 대표적인 상품 ‘바나나 우유’에 들어가는 바닐라향, 딸기향, 초코향 등의 원료를 에버그린으로부터 수입해온 것이다. 알려진 수출입 규모는 연간 40억∼50억원에 달했다.

게다가 김 전 회장의 딸 정화씨가 이 회사를 운영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에 있는 딸 회사가 서울에 있는 아버지 회사와 거래를 해온 셈이다. 그러나 빙그레는 이 같은 사실을 금융감독원에 단 한 차례도 공시하지 않았다.
 

빙그레는 에버그린의 수출입 규모에 대해서는 시인하면서도 크게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빙그레 관계자는 “보도됐던 대로 공시 요건이 되지 않아 공시하지 못했다”면서도 “당시 우리도 국적상황을 잘 몰랐다”고 답했다.

하지만 회계법인에 따르면 상장사는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를 감사보고서에 명확하게 기재해야 한다. 상장사가 이를 위반하게 되면 금융당국으로부터 제재를 받게 된다. 기업의 재무 상황 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대주주나 임원 등의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한 조치 중 하나다.

국회의원 시절
해외재산 누락

이밖에도 장씨와 관련된 서류상의 회사 6곳이 무더기로 발견됐다. 버넌(VERNON HOLDINGS), 데이 크리크(DAY CREEK), 하이랜드(HIGHLAND GROVE), 하이우드(HIGHWOOD HOLDINGS), 배넉번(BANNOCKBURN HOLDINGS), 샤이엔(SHYENNE INCORPORATION) 등이다.

특히 샤이엔이라는 회사는 조세회피처로 유명한 미국 플로리다 영국령 케이먼제도에 설립됐다. 이 업체 역시 페이퍼컴퍼니로 파악됐다. 샤이엔사는 지난 1997년 시카고 외곽에 있는 저택을 사들였다. 이 곳에서 김호연 전 회장 가족이 실제 거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식으로 김 전 회장 일가는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부동산을 거래하고 소유했다. 그러나 김 전 회장은 지난 2010년 국회의원 시절 이 같은 내용을 숨겼다. 

김 회장 측이 공직자 재산신고를 한 곳은 36곳. 모두 국내에서 가지고 있는 부동산 뿐이었다. 김 전 회장 일가가 보유한 하와이에 있는 콘도를 비롯한 해외 재산은 모두 빠져있었다. 공직자윤리법을 어긴 것이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르면 4급 이상의 고위공직자는 배우자 및 직계존속 등이 소유하는 재산, 비영리법인에 출연한 재산, 외국에 있는 재산을 공개해야 한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50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어야 한다.


그러나 빙그레는 모르쇠로 일관했다. 빙그레 관계자는 “그때 김호연 전 회장은 개인적인 정치활동을 하기 위해 퇴사한 상태였기에 회사 측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없었다”라며 “회장직을 내려놓은 상태였기 때문에 회사차원에서는 정치사안(보유재산)까지 알 수 없는 상황이었다”라고 해명했다.

부인·딸 회사 수상한 거래
빙그레에 식품 원료들 수출
‘부당’일감 몰아주기 의혹

김 전 회장의 이력은 화려하다. 그는 한화그룹 창업자인 고 김종희 회장의 차남이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동생이다.

김 전 회장은 1986년 빙그레 상무이사를 거쳐 한양유통 대표이사에 취임해 최고 경영자의 길을 걸었다. 1992년부터 2008년까지는 빙그레 대표이사 회장을 맡아 적자 기업이었던 빙그레를 흑자 기업으로 올려놓았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1년에는 은탑산업훈장, 2004년에는 한국의 경영자상, 2005년에는 제2회 한국 리더십 대상, 2008년에는 한국마케팅 최고경영자(CEO)대상 등을 수상했다.

그는 백범 김구 선생의 손녀사위이기도 하다. 1993년 김 전 회장은 사재 200억원을 털어 김구재단을 설립했다. 이후 지난해부터 김 전 회장은 김구재단 이사장을 맡았다. 미국 하와이에서 독후감 대회를 여는 등 백범 정신 알리기에 나섰다.

성공한 CEO라는 타이틀을 얻고 남부러울 게 없어보였던 김 전 회장은 2008년 돌연 회장직을 던지고 정치인의 길을 선택했다.

2008년 한나라당 공천을 받고 천안을에서 제18대 국회의원에 도전했지만 당시 현역이었던 박상돈 전 의원에 밀려 국회 입성에 실패했다. 그는 다음을 기약하며 지역구를 지켰다.

2010년 김 전 회장은 천안을에 다시 출마해 국회의원 당선에 성공해 4년간 의정활동을 펼쳤다.

2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2012년 19대 총선에서는 낙선했지만 그는 대선 후보였던 박근혜 대통령을 보좌했다. 김 전 회장은 박 대통령의 서강대 4년 차이 선후배 사이로 서강대 총동문회 회장을 5대째 역임해 대표적인 ‘친박’ 인사로 분류된다.


그는 박 대통령의 장충초등학교 후배이기도 하다. ‘국민행복캠프’ 총괄 부본부장, 중앙선대위 종합상황실 부실장 등을 맡아 박 대통령의 숨은 조력자로 활약했다. 

그렇게 6년간 김 전 회장은 경영권을 내놓고 회사를 떠나 최대주주 자리만 지켰다. 당시 빙그레 지휘봉을 경기고와 서강대 동기동창 친구 겸 전문경영인(CEO)인 이건영 사장에게 맡겼다.

하지만 정계에서 그의 역할은 여기까지였다. 대선이 끝나고 재단법인 김구재단의 이사장만 맡았을 뿐 정치적인 활동에는 일체 나서지 않았다. 동시에 재계는 그의 복귀를 점쳤다. 지난해부터 정계에서 마땅한 역할이 없어졌다는 점이 회사로 복귀하도록 만들었을 것이라는 게 재계의 시각이다.

경영복귀 앞두고
웃음기 사라져

실제로 지난3월 김 전 회장은 빙그레 등기이사로 복귀했다. 빙그레는 경기도 남양주시 도농공장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김 전 회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이를 두고 업계는 빙그레가 오너경영 체제로 전환하는 신호탄이라고 해석했다. 

빙그레로 돌아오면서 김 전 회장은 잇따라 자사주를 매입했다. 공시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은 지난달11일부터 18일까지 여섯 차례에 걸쳐 보통주 2만 6042주를 매입했다. 이러한 지분 매입으로 김 전 회장의 지분율은 34.61%에서 34.88%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김 전 회장이 빙그레 회장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하지만 빙그레 측은 아직 정해진 게 없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자사 매입에 대해서도 개인적인 이유로 매입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이유는 알 수 없다고 일축했다. 빙그레 관계자는 “특별한 계기로 자사주를 매입했다기 보다는 대주주로서 책임경영을 한다는 의미에서 매입하셨을 것”이라며 “당장 대표이사나 회장직을 맡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김 전 회장의 경영 복귀설에도 업계의 시선은 그다지 나쁘지 않았다. 김 전 회장이 여의도에서 정치 외유하는 동안 이건영 사장의 회사 경영 실력이 그다지 신통치 않았기 때문이다. 빙그레 일각에서는 김 전 회장이 구원투수가 되길 바라는 마음이 컸다.

하지만 이런 시점에 해외 부동산 매입 사실이 드러나면서 김 전 회장의 경영복귀에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김 전 회장의 행보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dklo216@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