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경제팀] 김설아 기자 = 재계 숨은 실세로 평가받는 ‘왕여사’들이 화제다. 왕여사는 창업주의 미망인으로, 가업을 물려받은 아들 뒤에서 기업을 움직이는 막후 조력자로 통한다. 가장 강력한 무기중 하나는 ‘노장의 힘’. 평소에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한방씩 해내며 기업의 구심점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산전수전에 공중전까지 경험한 왕여사님의 활약상을 짚어봤다.
국내 내로라하는 기업들은 대부분 창업주들이 작고하거나,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고 2세 경영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 과정에서 창업주 부인이자 회장의 어머니인 이른바 ‘왕여사님’의 역할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왕여사는 기업의 숨은 실세로 통한다. 그들은 드러나지 않는 이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이지 않는
초고령의 힘
유업계 라이벌인 매일유업과 남양유업이 대표적 예다. 두 기업 창업주는 나이가 비슷하고 이북 출신이라는 점 등 공통점이 많아 곧잘 비교되곤 한다.
고 김복용 매일유업 창업주의 미망인인 김인순 명예회장은 79세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왕성한 경영활동을 보이고 있다. 김 명예회장은 지난 3월 회사의 상근 등기이사로 재선임 됐다. 이사 재직기간만 8년차. 그는 아들이자 매일유업 최대주주인 김정완 회장을 도와 경영 전반을 챙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명예회장은 지난 2005년 타계한 창업주와 경영 현장을 누비며 매일유업 치즈사업을 이끌어 온 것으로 전해진다. 2004년 적자를 감수하면서 250억원을 투입해 전라북도 고창에 자연치즈 공장을 세웠다. 당시 시장성을 놓고 많은 임원이 고개를 갸우뚱 했으나 ‘한국 낙농산업 육성을 위한 내 마지막 사업’이라며 밀어붙인 것은 업계의 유명한 일화다.
독실한 불교신자로 사회 활동에도 적극적이다. 1996년 ‘진암장학재단’을 설립해 어려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 등 소외계층을 돕고 있다. 지난 2011년에는 조계종 사회복지재단에 매일유업 계열사 ‘제로투세븐’이 생산하는 영·유아 의류 4억원어치를 기증해 사회공헌활동 공로상을 받았다.
고 홍두영 남양유업 창업주의 미망인이자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의 어머니인 지송죽 이사도 85세의 고령이지만 아직 건재하다. 지 이사는 지난해 주총에서 이사로 재선임 되면서 1986년부터 무려 28년간 비상근 사내이사를 맡아왔다. 직위나 담당 업무 항목은 비어 있지만 지 이사는 그동안 그룹 경영에 간접적으로 참여해온 것으로 전해진다.
지 이사의 경영참여는 회사의 성장과 궤를 같이한다. 지난 1967년 출시된 유아용 제조 분유 ‘남양분유’가 소위 대박을 터뜨렸고, 1978년 유업계 최초로 기업을 공개하고 주식을 상장한 시점부터다. 기업 몸집이 커지면서 가족 모두 팔을 걷어붙였다. 두 아들이 경영에 합류했고, 지 이사도 한때 남양유업 감사로 근무했다.
오너 경영 뒤 ‘창업주 미망인’ 영향력 높아
김인순·지송죽·이일향 등 사내이사 재선임
남양유업 계열사에도 이름을 등재했다. 최근 도마에 오른 빌딩상가 임대 업체 남양개발에 서 오랜 기간 등기임원을 맡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지 이사는 아들 홍 회장과 함께 2010년 초까지 등기임원에 이름을 올리고 회사 경영을 맡아온 것으로 전해졌다.
수산기업인 사조산업도 눈에 띈다. 이일향 명예회장은 고 주인용 사조그룹 창업주의 부인이자 주진우 사조그룹 회장의 어머니로 지난 3월 말 비상근 등기이사로 재선임 됐다.
1930년생인 이 명예회장의 나이는 올해 84세. 그는 그동안 비상근 감사로 사조산업의 경영에 간접적으로 관여해왔지만 2002년부터 비상근 등기이사로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그가 사조산업 이사로 보낸 기간만 약 12년에 달한다.
이 명예회장은 한국 문단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쳐온 것으로도 유명하다. 1979년 백수 정완영 선생으로부터 시조를 배우기 시작해 1983년 등단했다. 이후 시조 창작에도 전념해 중앙시조대상 신인상, 윤동주문학상, 노산문학상, 한국가톨릭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한국 문학 발전에 지대한 공을 세웠다.
그룹 탄생부터
성장까지 기여
보다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왕여사도 있다. 손복남 CJ고문이 그 주인공. 손 고문은 이맹희 전 제일비료 회장의 부인이자 이재현 회장과 이미경 부회장의 어머니로, 대외적인 직책을 맡고 있진 않지만 그룹에 적잖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손 고문 역시 오늘날 CJ그룹이 있기까지 산파 노릇을 해온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1993년 CJ그룹 모태인 제일제당이 삼성그룹에서 분리될 때, 손 고문은 자신이 보유한 옛 안국화재 지분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지분과 맞바꿨다. 그로부터 5년 후, 맏아들인 이 회장에게 자신의 주식을 몰아주며 안정적인 후계구도를 완성했다. 이는 CJ그룹의 기틀을 세우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이다.
손복남 그룹 자금 업무 총괄 지휘
경영 노하우…산전수전 다 아는 노장
손 고문의 막후 정치는 이후에도 계속됐다. 삼성그룹에서 전문경영인으로 일하고 있던 동생인 손경식 회장을 불러 그룹을 맡김으로써 CJ가 삼성과 분리 후 연착륙할 수 있도록 했다. 딸인 이 부회장이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막내 이재환씨가 광고대행사를 맡게 한 것도 손 고문의 의중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에도 손 고문은 서울 남대문 본사에서 정기적으로 업무를 보고, 그룹의 공식 행사가 있을 때도 얼굴을 비추는 등 이 회장의 후견인 역할을 톡톡히 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이맹희 회장이 이건희 회장과 벌인 재산분할소송에도 손 고문이 개입했던 것으로 안다”며 “최근에는 이 회장 구속으로 잠시 거리를 뒀던 그룹 인사권에까지 다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소리가 들린다”고 말했다.
남편 사망 후
‘여 총수’로
남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회사를 떠맡은 경우도 있다. 국내 ‘여성 CEO 1호’라 불리는 장영신 애경그룹 회장이 대표적이다. 장 회장은 1970년, 막내 아들인 채승석 애경개발 사장을 낳은 지 사흘만에 남편 고 채몽인 창업주를 심장마비로 떠나보냈다.
이후 남편 타계 1주기가 끝나자마자 경영수업을 받았고, 이듬해 8월 경영 최전선에 나섰다. 당시 경영 참여에 대해 주위 반대가 심했지만 장 회장은 40여년이 흐른 현재 장남 채형석 부회장과 함께 그룹을 잘 이끌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양귀애 대한전선 명예회장도 남편을 여의고 경영 전면에 나섰다. 양태진 국제그룹 창업주의 막내딸인 양 명예회장은 서울대 음대를 졸업하던 해인 1969년 설원량 전 대한전선 회장과 결혼했다.
결혼 후 35년 동안 남편을 내조하며 가정주부로 지냈던 그는 2004년 남편이 뇌출혈로 급작스레 세상을 떠나면서 대한전선의 1대주주가 됐다. 이후 회사 경영은 전문경영인인 임종욱 부회장에게 맡기고 본인은 명예회장으로 회사 경영에 참여해 왔으나, 무분별한 투자로 경영난을 겪으면서 대한전선은 2009년 이후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이렇듯 재계에는 ‘뒤에서 앞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왕여사들이 많다. 전문가들은 창업초기 오너 경영 강점을 2∼3세에게 잘 넘어가도록 교두보 역할을 하는 데 있어서, 왕여사들의 최대 강점이 드러난다고 입을 모은다.
한 관계자는 “창업주는 경영 능력이 뛰어나지만 2·3세들은 경영 능력에 대한 유전자가 없어 급변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며 “왕여사들은 창업 초기부터 산전수전 다 겪어봤던 노장의 힘과 노하우로 아들들에게 경영 조언을 하고, 기업 리스크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