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서울 시내버스 노동조합이 28일로 예고했던 파업을 막판에 전격 유보하면서 우려됐던 출근길 교통대란은 일단 모면하게 됐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이날 오전 2시께 용산구 노조 사무실서 지부위원장 총회를 개최해 파업 실행 여부를 최종 결정했다. 총 63명의 재적 인원 중 60명이 참여한 투표에서 49명(78%)이 파업 연기에 찬성표를 던져 파업이 일단 보류됐다. 파업 찬성은 11명에 불과했고 기권은 3명이었다.
이로써 이날 오전 4시 첫차부터 중단될 예정이었던 서울 시내버스 운행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게 됐다. 서울시는 오전 6시 재난 문자를 통해 “시내버스 파업 유보 결정으로 모든 시내버스가 정상 운행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전날(27일) 오후 3시부터서울지방노동위원회서 약 9시간에 걸친 마라톤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이날 오전 12시10분께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는 기본급 8.2% 인상과 정년 연장,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 등을 요구하고 있으나 사측은 임금체계 전면 개편을 우선 조건으로 내세우며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당초 노조는 협상 실패 시 즉시 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었지만 내부 논의를 거쳐 입장을 바꿨다.
노조 측은 “파업을 진행해도 사측과 서울시의 임금체계 개편 요구가 변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며 “실효성 없는 파업보다는 협상 테이블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론지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송과 노동부 진정을 통해 권리구제가 확인된 후 사측과 서울시가 더 이상 억지 주장을 못하게 한 후 교섭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향후 총파업 가능성은 여전히 남겨뒀다. 노조 측은 “끝까지 서울시·사측과 협상하겠지만, 합의에 실패할 경우 더 이상 유보 없이 전면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날 노조의 파업 유보 결정으로 서울시는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시는 파업에 대비해 준비했던 지하철 운행시간 연장, 25개 자치구 무료 셔틀버스 운영, 택시 합승 단속 완화 등의 비상수송대책을 모두 해제했다.
시 관계자는 “파업 유보 결정으로 인해 출근길 시민 혼란이 최소화된 점에 대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서울시는 혹시 있을지 모를 노조의 돌발적인 행동에 대비해 시민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입장문을 통해 “노조의 파업 유보 결정에 대해 진심으로 환영하고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버스조합은 노조의 파업 유보 결정을 존중하는 것과 함께 노조와 조속히 임단협 교섭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버스조합은 향후 노동조합과의 교섭에서 ‘임금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정중히 요청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 시내버스 노조 등이 파업을 유보한 것과 달리 부산과 창원 시내버스 노조는 이날 노사 협상 결렬 이후 예고됐던 파업에 돌입했다.
부산 시내버스는 오전 4시20분 첫차부터 147개 노선의 2517대 시내버스가 운행을 중단해 차질을 빚고 있으며, 준공영제인 창원 시내버스 9개사는 오전 5시 첫차부터 669대 운행을 멈췄다.
<jungwon933@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