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예술가의 파괴’ 김정인·임창곤·호상근

2024.10.03 00:00:00 호수 1499호

대리석 속 벌거벗은 얼굴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용산구에 있는 라흰갤러리서 김정인·임창곤·호상근 작가의 3인전 ‘대리석 속에 떠오르는 벌거벗은 얼굴들’ 전시를 준비했다. 이번 전시는 모종의 체계와 형식, 그리고 시선으로부터의 ‘비켜섬’을 통해 날마다 새로운 것을 건설하고 세계와 대면하게 된다는 내용의 시에서 기획의 실마리를 잡았다. 



김정인·임창곤·호상근 작가의 3인전 ‘대리석 속에 떠오르는 벌거벗은 얼굴들’ 전시는 프랑스의 현대시인 본느프와의 <미완성의 절정이다>서 착안했다. 특히 시에 나오는 ‘대리석 속에 떠오르는 벌거벗은 얼굴을 파괴할 것’이라는 구절서 영감을 얻었다. 

비켜섬

해당 구절은 예술가가 영감과 상상, 추구하는바 등을 허물고 삼킨 후에 그 위에 새로운 것을 건설하도록 권하고 있다. 이처럼 이번 전시는 형성과 해산의 도정을 형식으로 삼는 세 작가의 작업을 조명하는 취지서 기획됐다.

김정인과 임창곤, 호상근의 작업서 그들이 부수고 제압해 새롭게 창조한 것은 기억의 조각이나 회화의 형식 또는 일상의 이면에 내재한 이질적 순간이다. 전시는 특정 지점을 향한 운집으로부터 비켜서는 이들의 작업을 살펴본다.

그들이 어떤 방법을 통해 난맥의 가능성에, 미미하거나 잘 감지되지 않는 것들의 생성과 산출에 관심을 표명하는지 관찰한다.


김정인은 경험과 기억의 단편을 픽셀(그리드)로 형상화하고 희뿌연 형상과 픽셀의 연막이 모호하게 산개된 화면으로 보는 사람을 교란하게 만듦으로써 이해의 시간을 지연시킨다. 무계획적인 붓질과 대상을 뭉개고 섞는 기법, 느린 호흡으로 쌓이는 유화의 성질도 화면 앞에 서 있는 우리의 예상을 배반하며 이해를 저지하는 요소다. 

프랑스 시인의 시구절서 착안
이질적인 순간의 생성과 산출

김정인이 이 같은 교란을 시도하는 근원적인 이유는 이 세계에 드리워진 모든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힘의 그물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해서다. 동시에 관람객이 주체적으로 사유하고 생산하려는 의지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일깨운다. 

임창곤은 신체의 내부와 우리 몸속에서 벌어지는 일에 관한 비가시적인 감각을 ‘결정체, sequoiadendron’와 ‘떨어져 나온 몸조각’ 연작으로 선보인다. 이 작업서 그는 피와 진액, 암석과 마그마, 장기와 고목의 뿌리를 상상하며 형상을 물감에 섞는 행위를 통해 주름과 같은 물성을 파급한다. 

그러면서 나무에 구멍을 뚫거나 망치로 내리치고 물감으로 움직임과 흔적을 거듭 남기면서 발굴한 주름이 물리적 실체가 되도록 만든다. 이렇게 완성된 형체는 몸 안의 통로를 촉각화, 공간화, 시각화해 비가시적인 신체 내부를 감각적인 실체로 탐구하도록 이끈다. 임창곤은 형체를 부여한 몸 안의 실체와 소통한다.

호상근은 잃어버리거나 버려지고 세월에 매몰된 물건 등 낯선 영역서 도외시된 것이 무엇을 출력하는지에 주의를 기울인다. 그의 작업에 등장하는 길거리와 눈, 물, 나뭇가지에 불시착한 대상은 굳어짐 없이 현재하기에 여념이 없다. 또 불현듯 다른 맥락으로 전환하거나 다른 상황으로 이질화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대면

대상을 향한 호상근의 애착과 복합적인 감정은 관람객 한 사람, 한 사람과 사적으로 깊게 연대를 맺는다. 이는 작가가 타인과의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견문과 삶의 조각을 간직하려는 의지로 하루의 궤적을 정밀하게 탐사했기 때문이다. 

호상근의 그림에 편재하는 낯선 세계의 공기와 그가 본 현상, 상대방에게 들은 이야기는 화면에 한데 모이는 과정서 단선적인 해석으로 정련되기보다는 매번 다층적인 모습으로 우리 앞에 드러나고 있다.

<jsja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