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은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시작해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끝났다. 독일과 일본은 패전국으로 승전국인 연합국의 통치를 받아야 했다. 그런데 일본은 미국의 단독통치를 받았고, 독일은 미국과 소련의 분할통치를 받다가 서독과 동독으로 갈라졌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폴란드는 독일로부터 남한 면적보다 넓은 땅을 돌려받았고,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한반도를 되찾았다. 그후 폴란드는 독립국가 면모를 유지했고, 한국은 미국과 소련의 군사협정에 의해 남한과 북한으로 갈라졌다.
그러니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소 패권 싸움에 의해 패전국인 독일과 일본이 미국과 소련의 분할통치를 받다가 둘로 갈라져야 했는데 역사는 독일만 갈라놓고 일본은 갈라놓지 못했다.
만약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도 일본 공격에 적극 가담했다면 일본은 미국과 소련의 통치를 받다가 독일처럼 둘로 갈라졌을 것이고, 동아시아서 미·소 패권 싸움터는 일본이 돼 한국은 남북으로 갈라지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이유야 어떻든 전쟁이 끝나고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면 전쟁을 일으킨 침략 국가는 피해 국가에 사죄하고 피해 국가는 침략 국가를 용서해야 양국이 건설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런 사죄와 용서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과 폴란드, 일본과 한국이 필연적으로 풀어야 할 숙제였다.
독일은 전후 25년이 되던 1970년 총리가 폴란드를 방문해 유대인 위령탑 앞에서 무릎을 꿇고 반성하며 사죄했다. 그 후 독일은 전 세계의 지지를 받아 동서통일을 이뤘고, 경제부흥과 함께 유럽연합(EU)을 주도하는 국가가 됐다.
물론 1965년 폴란드 가톨릭 주교회가 “양 국민 간의 끔찍한 과거 때문에 괴로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과거를 잊으려고 노력합시다. 우리는 여러분을 용서합니다”라는 용서의 서신을 독일 가톨릭 주교회에 보낸 게 발단이 됐지만, 그래도 국가 차원에서는 독일(서독)이 먼저 사죄했다.
일본은 전후 78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죄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우리나라가 얼마 전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제3자 변제 해법을 발표하면서 대승적 차원에서 통 크게 일본에 먼저 용서 사인을 보냈다.
우리나라가 남북통일을 위해 전 세계의 지지가 절실한 상황도 아니고, 일본 종교계나 사회단체의 사죄 움직임도 없던 상황에서 보낸 용서 사인이라 안타깝긴 하다. 그러나 경제안보와 군사안보의 한미일 협조가 필요한 상황에서 먼저 용서 사인을 보낸 건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한일 간의 갈등 문제는 “사죄 카드건 용서 카드건 어느 쪽에서 먼저 카드를 꺼내느냐가 중요하지, ‘선(先) 사죄 후(後) 용서’나 ‘선(先) 용서 후(後) 사죄’는 중요하지 않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그래서 이번에 우리나라가 용서 카드를 먼저 꺼낸 건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더 크다는 것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생각한다.
거기다 독일의 사죄 후 폴란드는 국가 차원에서 즉각 독일을 용서하고 화합을 도모했는데 일본은 우리나라가 보낸 용서 사인에 즉각 사죄 사인을 보내지 않은 것도 전 세계가 한일관계서 우리나라를 더 높이 평가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고 생각한다.
그나마 한일 정부 간의 서로 약속이 있었겠지만 일본이 화해 무드로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는 게 다행이라 할 수 있다. 한일 정상 셔틀외교, G7 초청 그리고 한미일정상회담에 적극적인 모습이 그렇다.
이제는 독일의 사죄로 독일과 폴란드 비정치적 분야의 지도자 간 미래지향적인 교류가 시작됐듯이, 우리나라가 먼저 용서 사인을 보낸 이상, 한일 양국도 종교인·지성인·학자 등이 화해와 공존을 위해 서로 발전적인 대화를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특히 한일 간의 사죄와 용서 문제가 정치적으로 이용돼서는 안 된다. 사실 한일 양국 모두 정치적으로만 사죄와 용서가 없었지,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는 이미 어느 정도 사죄와 용서가 끝난 거나 마찬가지다.
중요한 건 우리나라가 향후 진정한 사죄를 받으면 되는 것이고, 일본과 협력을 통해 한미일 공조체제를 구축해 경제안보와 군사안보를 굳건히 하면 되는 것이다.
독일이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켜 패전국이 된 후 나라가 둘로 갈라졌지만 통일을 위해 전 세계에 지지를 호소하면서 폴란드에 먼저 사죄했듯이, 만약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둘로 갈라졌다면 일본도 통일을 위해 전 세계에 지지를 호소하면서 우리나라에 먼저 사죄했을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나라가 이번에 용서 카드를 먼저 꺼냄으로써 분단국가(독일, 한국)가 먼저 사죄하거나 용서하는 ‘선 사죄 선 용서’가 분단국가의 화해 원칙이 된 것 같아 씁쓸하다. 그러나 “사죄 카드건 용서 카드건 먼저 카드를 꺼낸 나라가 더 유익하고 더 발전한다”는 화해 원칙을 앞으로 우리나라가 증명하면 된다.
독일이 폴란드에 먼저 사죄한 후 통일을 이뤄 강대국이 됐듯이, 우리나라도 일본에 먼저 용서 사인을 보냈으니, 곧 한미일 공조체제를 통해 경제안보와 군사안보를 굳건히 해 강대국이 되리라 믿는다. 분단국가의 ‘선 사죄 선 용서’ 화해 원칙이 긍정적으로 작동하기를 기대해본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