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대통령의 뒷모습 ㉕좌빨 종북이냐 극우 꼴통이냐

  • 김영권 작가
2023.03.22 13:21:03 호수 1419호

김영권의 <대통령의 뒷모습>은 실화 기반의 시사 에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을 다뤘다. 서울 해방촌 무지개 하숙집에 사는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당시의 기억이 생생히 떠오른다. 작가는 무명작가·사이비 교주·모창가수·탈북민 등 우리 사회 낯선 일원의 입을 통해 과거 정권을 비판하고, 그 안에 현 정권의 모습까지 투영한다.



얘기가 좀 길어졌지만, 한국의 진보파와 보수파는 진짜 진보나 보수가 아니라, 분단된 남북한의 비극적 상황이 조종하는 피에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인형극 장막 위의 손이 제멋대로 놀리는 꼭두각시…. 

자기 자신이 사이비가 아니라 진짜 진보나 보수라고 말하려면 우선 꼭두각시 마냥 세뇌되지 않은 인간의 마음을 지녀야겠지. 어떤 이념(이데올로기)의 좀비 혹은 강시가 되길 거부하는 제정신 차리기.

스스로는 가장 옳은 길을 간다고 생각(착각)하겠지만 사실상 두 쪽 다 비이성적인 감정의 노예로서 아집과 편견에 사로잡혔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꼭두각시

그러니 좀비 강시처럼 패거리를 지어 서로 좌빨 종북이니 극우 꼴통이니 비난하나마, 결국엔 진실보다는 이기적인 지배 욕망과 사리사욕의 구렁텅이 속에 빠져들고 마는 거겠지 뭐.


건전한 진보와 보수라면 자신이 지닌 견해가 반쪽임을 인식하고 온전함을 찾으려 다른 반쪽과 열정적으로 싸우면서도 가느다란 소통의 실마리라도 만들기 위해 애쓰겠지. 어디까지나 상대가 자기와 같은 인간 존재임을 잊지 않고 말야…. 

모든 존재하는 것은 나름 의미가 없잖다는 잠언이 있지. 하지만 그건 우리가 창발적으로 장단점을 잘 활용할 경우의 얘기고, 꼬투리나 잡고 앉아 싸울 땐 우리 자신이 회충의 먹이가 돼 곯아 버리겠지.

음, 여기서 이솝 얘기를 한번 해보고 싶군. 보수파는 현실을 인정하고 지금 있는 대로 악도 수용한 채 그 속에서 미꾸리처럼 헤엄치며 어쨌든 살아나가면 된다고 생각한다. 물론 시간을 두고 원래 악을 서서히 성찰해 소멸하길 바라기도 한다.

하지만 수구 꼴통파들이 현재나 미래보다 과거의 영광 시절로 되돌아가길 망상하기 때문에 흙탕물은 좀체 맑아지기가 어렵다. 못된 미꾸라지와 망둥이가 연못을 망치는 격이다. 

진보파는 연꽃이 피어 나름 아름다운 연못을 혁파해 새로운 청정 삶터로 만들어 보자고 주장한다. 진흙 속에서 연꽃이 핀들 향기롭기보다 오히려 고통 어린 피비린내가 난다는 것이다.

그러니 부정부패로 오염된 연못 바닥 자체를 뒤집어엎은 뒤 청소하고 새 물이 들어올 수 있도록 파이프 라인까지 가설하자는 얘기다.

미래의 삶을 향한 비전은 좋지만 현실을 무시한 이상론은 기존 생태계를 교란시켜 자칫 멸족적 파국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그들은 자기가 가장 옳다는 몽상에 빠져 살아서 그런지 자기네가 내지른 똥과 땟국물(월권과 부정 따위)에 대해서는 스스로 퍽 관대하다.

그래서야 상대방을 설득시킬 수 없지 않겠는가? 너는 하는데 나는 왜 못하냐며 서로 더 깊이 오물 속으로 들어가는 건 좋은데, 일반 국민들까지 물귀신처럼 끌어넣으려 발광해 버리기 때문에 문제인 것이다.

아아, 이솝 우화는 읽고 나면 한 점 교훈이나마 떠오르건만… 우리 사회의 보수와 진보의 싸움에선 건질 게 없기 때문에 백년하청인지 모른다.

올챙이가 개구리로 환골탈태해 개골개굴 외치며 스스로 연못을 정화할 능력이 있을 때에만 한국판 우화 속의 망둥이와 미꾸라지 모리배들은 어디론가 다른 후진 연못으로 사라질는지….


티없이 푸른 하늘이다. 햇빛은 따스하게 비치고 새들이 해맑은 소리로 지저귄다. 

쫙쫙 갈라진 진보와 보수 진영 
흙탕물 풍기는 연못의 미꾸라지

어떤 사람이 쭉 뻗은 길을 걸어간다. 그는 색다른 모자를 쓰고 있다. 한쪽은 빨간색이고 다른 한쪽은 파란색이다. 

길 오른쪽 논에서 씨를 뿌리던 사람들은 그 모자가 빨간색이라 말하고 왼쪽에서 일하던 사람들은 파란색이라고 입을 모아 주장한다.

행인은 허허 웃으며 지나간다. 양쪽 논의 사람들은 입에서 침을 튀기며 설전을 벌인다. 급기야 한 동네 사람들끼리 서로 욕설까지 퍼부으면서 일손을 놓은 채 내가 옳으니 네가 나쁘니 왈가왈부 싸움을 벌인다.

한 나절이 지나도록….

땅거미가 내릴 무렵, 시내에서 볼일을 마친 행인이 다시 돌아온다. 똑같은 사람이 똑같은 모자를 쓰고 있다. 그런데 이번엔 길 오른쪽에서 쳐다보던 사람들이 파란 모자라고 주장했으며, 왼쪽에서 바라보던 사람들은 붉은 모자라고 떼를 쓰며 마구 삿대질마저 해댔다. 

“저건 빨간 모자다! 내 목숨을 걸겠다!”

“무슨 개소리냐! 네 할아비한테 물어 봐라. 파란색이 분명한데 어거지 쓰지 마라!”


행인이 멀리 가 버린 뒤에도 싸움은 멈추지 않았고 다음날 다음날 다음날에도 논쟁은 이어졌다…

혹시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하늘을 날아가던 참새는 그 태극기 색깔 모자를 내려다보며 대체 뭐라고 짹짹거렸을까?

무지개 식당이 자리잡은 해방촌은 이름만큼 썩 자유롭고 멋진 파라다이스 지역은 아닌 것 같다. 우선 서울역 앞의 아스팔트 바닥을 기준점으로 삼아 맨 꼭대기에 있다.

달동네. 자가용이 드물던 예전엔 꾸불구불한 시멘트 골목길을 오르느라면 겨울에도 땀방울이 맺히던 달동네였단다.

더구나 부자들이 사는 후암동의 으리으리한 집채 옆을 지나칠 때면 왠지 어깨가 더 무거워져 걷기가 힘겨웠다는 얘기다.

또한 얼마 멀잖은 곳 이태원의 이국적 요사스런 색등[色燈]은 그들의 심정을 솔찮이 어지럽혔으리라. 인근한 갈월동 미군 부대의 철조망은 아마 그들의 마음과 정신조차 억죄지 않았을까 싶다.  

각시탈

괜한 소린 아니다. ‘해방촌’은 요즘 대한민국 사람들이 잘 모를 좀 슬픈 유래를 지니고 있단다. 일본의 압제로부터 이른바 해방이 된 후 곧장 미군이 들어와 통치했고, 이어 남북한 동족 전쟁이 일어났다.

남산 기슭에 무허가 판자촌이 생겨난 건 그때부터였다. 일제 강점기 때부터 그런 빈민촌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는 성싶다.

해방을 기념해 지은 마을이라기보다, 전쟁 중 피난민들이 살기 위해 남산 기슭을 파 움막을 만들었고(이것도 좀 의문스럽다)…

휴전 이후 북에서 내려온 난민들이 개미떼 마냥 모여들어 한 빈민 마을을 형성했다는 얘기다. 아마 달동네 중에서 민족적 비극과 비애를 가장 진하게 간직하고 있는 곳인지 모른다.

사실상 서울역부터 시작해 동자동 후암동 갈월동 남영동 이태원을 쭉 따라 내려가다 보면 미군부대의 철조망 속에 갇혀 훼손된 민족사가 읽혀진다. 그래서 그런지 해방촌에서 바라보는 달은 어딘지 반쯤 갈라진 피 흐르는 각시탈처럼 보이기도 한다.


<다음호에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