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포스트 박정원' 미리 보기

2022.04.28 13:43:21 호수 1372호

사촌이냐 다시 형제냐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두산그룹의 승계 구도가 어떻게 바뀔지 재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형제경영’에 이어 ‘사촌경영’이 뿌리내릴 것처럼 보였지만, 최근 기류 변화가 감지된 상태. 최악의 경우 불협화음이 표출될지 모를 일이다.



두산그룹은 얼마 전까지 오너 3세 형제들이 번갈아 그룹 총수를 맡는 ‘형제경영’ 체제를 고수해왔다. 실제로 박용곤 회장에 이어 그룹 총수 자리는 박용오→박용성→박용현→박용만 등 형제 사이에서 주고받았다. 

다음은?

전임 세대의 형제경영 체제는 후대에 이르러 ‘사촌경영’으로 탈바꿈하는 듯 보였다. 현재 두산그룹은 오너 4세들의 자식들이 계열회사를 관장하고 있다. 총수 자리는 마지막 3세 경영이었던 박용만 전 회장으로부터 박용곤 전 회장의 장남인 박정원 현 회장이 넘겨받았다.

지금껏 이어진 구도를 보면 박정원 회장에 이은 차기 총수는 박용성 중앙대학교 이사장의 장남인 박진원 두산메카텍 부회장이 넘겨받는 수순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 가풍이 종식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박용곤 전 회장 일가에서 총수직을 이어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 같은 시각은 박용곤 전 회장의 자식들이 지주사 지분을 확대한 이후 조금씩 부각됐다. 2019년 박정원 회장과 동생인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 박혜원 오리콤 부회장은 박용곤 전 회장의 ㈜두산 지분을 상속받았다.


2018년 말 박정원 회장의 두산 지분은 7.33%, 박지원 회장은 4.89%였지만, 해당 과정을 거치며 박정원 회장과 박지원 회장의 지분율은 각각 7.41, 4.94%로 소폭 올랐다. 

핵심 자회사인 두산중공업을 이끌고 있는 박지원 회장이 박진원 부회장보다 비중이 큰 계열사를 맡았다는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연세대를 졸업하고 뉴욕대에서 MBA 과정을 마친 박지원 부회장은 두산중공업 기획조정실장을 거쳐 2007년 사장 타이틀을 다는 등 20년 넘게 두산중공업에 몸담았다. 박지원 회장은 형인 박정원 회장이 그룹 총수로 추대된 2016년 두산중공업 회장으로 부임했다.

가풍 그대로? vs 변화 시작?
예측불가 깜짝 경우의 수

최근 두산중공업이 완연한 회복세를 나타낸다는 점은 박지원 부회장에게 긍정적인 요소다. 두산중공업은 2014년부터 7년간 실적 부진에 시달리며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 연속 적자가 지속되면서 순손실 금액만 3조5000억원이 넘었다.

이후 두산그룹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혹독한 체질 개선에 돌입했고, 그 결과 두산중공업은 지난 2월23개월 만에 산업은행 채권단 관리에서 졸업했다. 

반면 박진원 부회장이 맡고 있는 두산메카텍은 두산중공업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비중이 떨어진다. 박용성 전 두산그룹 회장의 장남인 박진원 부회장은 연세대와 뉴욕대 MBA를 마쳤고, 1994년 두산음료에 입사했다. 이후 두산 전략기획본부, 두산인프라코어 기획조정실 등을 거쳤고, 그룹의 벤처 투자계열사 네오플럭스 부회장을 맡기도 했다.

2018년부터는 두산메카텍 부회장으로써 경영을 지휘하고 있다.

최근 박용만 전 회장 일가가 특수관계인 관계를 정리한 것도 박지원 회장의 차기 총수 추대 가능성을 주목하게 만든다. 지난달 24일 박용만 전 회장과 그의 아들인 박서원 전 오리콤 부사장, 박재원 전 두산중공업 상무는 경영권이 있는 지분 전량을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로 매각했다. 이로써 박정원 회장과의 특별관계가 해소됐고, 오너 일가가 보유한 ㈜두산 지분은 7.84% 감소했다.

누구?


만약 경영권 다툼이 발발하면 섣부른 예측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지난해 말 기준 박정원 회장과 박지원 회장의 ㈜두산 지분율은 12.35%이고, 박용성 전 회장 일가의 ㈜두산 지분율은 10.1% 수준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