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나라 3세 경영 후일담

2020.07.27 10:04:28 호수 1281호

이러나 저러나…어쨌든 ‘낫배드’

[일요시사 취재1팀] 김정수 기자 = 4년 연속 적자 회사. 깨끗한나라는 그랬다. 지난해 영업이익을 흑자로 전환시켰지만, 순이익은 마이너스에 머물렀다. 그런 깨끗한나라에 기대가 모인다. 올해 성적표를 보면 그렇다. 이제 막 경영권을 잡은 오너 3세에게도 호재다. 다만 ‘운이 좋았다’는 평가가 혼재한다.
 

▲ 깨끗한나라 청주 공장


깨끗한나라는 생활용품으로 친숙한 회사다. 휴지, 물티슈, 기저귀, 생리대 등 소비자 손길이 많이 가는 제품을 다룬다. 회사는 지난 1963년 설립됐다. 종합제지업체인 만큼 산업용지와 특수용지까지 다룬다. 최근에는 마스크 제조에도 나섰다.

친숙한 기업

명성과 달리 실적은 부진했다. 깨끗한나라는 4년 연속(2016∼2019) 적자였다. 연결 기준 매출액은 꾸준히 감소했다. 앞자리는 두 번 바뀌었다. 7060억원이었던 매출은 6599억원, 6263억원서 5941억원으로 엎어졌다.

속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영업이익은 183억원서 -252억원, -292억원으로 추락했다. 지난해 51억원으로 반등에 성공했지만, 순이익은 마이너스를 맴돌았다. 동기간 76억원서 -221억원, -336억원, -117억원이었다.

깨끗한나라 실적은 돌연 2017년부터 주저앉기 시작했다. ‘생리대 유해물질 논란’과 맞닥뜨렸기 때문이다. 후폭풍 규모는 상당했고, 지속기간도 길었다.


깨끗한나라 매출은 크게 ‘제지’와 ‘생활용품’서 비롯된다. 전체 매출서 98∼99%를 차지한다. 각각 비슷한 비율이다. 당시 논란이 됐던 생리대는 생활용품에 속했다. 깨끗한나라 사업보고서에는 상흔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2016년 깨끗한나라 전체 매출의 51%(3632억원)를 담당했던 생활용품은 46%(3086억원), 42%(2682억원)로 하락했다. 지난해에는 44%(2664억원)로 소폭 반등했지만 액수 자체는 꾸준히 줄었다. 이는 곧 실적 감소로 이어졌다.

현재 깨끗한나라는 생리대 건으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진행 중이다. 모두 9건의 소송은 1건으로 병합됐다. 원고는 5307명에 청구금액은 144억2400만원이다.

깨끗한나라는 줄곧 악화일로를 걸을 것만 같았지만 올해는 다를 수도 있다. 지난해 흑자로 전환된 영업이익은 오히려 큰 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매년 마이너스를 보인 순이익은 처음으로 흑자를 보일 공산이 커 보인다.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1509억원이었다.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61억원서 186억원으로, 순이익은 -95억원서 135억원으로 수직상승했다. 괄목할 만한 성과였다.

분위기는 2분기서도 계속될 듯하다. 깨끗한나라는 지난달 15일 잠정 실적을 내놨다.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2.1% 상승한 1504억원이었다. 영업이익은 -46억원에서 174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실적이 급작스럽게 변경된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사측은 1분기 사업보고서를 통해 4가지를 꼽았다. ▲선택과 집중을 통한 손익 중심 경영 ▲원가절감 활동 ▲원자재 가격 하락 ▲신규 상품 출시 등이었다.

깨끗한나라는 경쟁력이 저하된 사업을 과감히 도려냈다. 컵원지류가 대표적으로 이미 지난해 7월부터 생산이 중단됐다.

4년 부진 끝에…올해 플러스 전환 눈길
생리대 유해물질 논란으로 내리막 시작

비용 절감에도 초점을 맞췄다.


깨끗한나라는 지난 2017년 8월 유동상 소각보일러를 249억원에 신설했다. 시운전은 지난해 마쳤고, 현재 가동 중이다. 유동상 소각보일러란 소각로에 유동 물질을 투입, 600∼800도에 달하는 고온에 폐기물을 순간적으로 태워버리는 장치다. 생산 공정서 발생한 폐기물을 재활용한다.

이전에는 석탄, 액화천연가스 등 고비용 화석에너지를 사용했다.

기존 사업은 보강했다. 제지사업에서는 원가 경쟁력을 보유한 제품을 지속 개발했다. 생활용품부문에서는 신제품 출시와 함께 해외시장 공략에 나섰다.

신사업에도 손을 뻗었다. 깨끗한나라는 마스크(KF94)와 손소독제 생산에 나섰다. 각각 지난 2월과 4월에 신규 출시됐다. 코로나19 여파로 개인위생에 몰리는 수요가 적지 않은 상황서 사업적 대응에 나선 셈이다.

일각에선 다른 관측을 내놓는다. 깨끗한나라 실적을 끌어올린 요소는 따로 있다는 지적이다. 시선은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향한다.
 

깨끗한나라는 사업구조 개편에 나섰지만, 제지와 생활용품이 여전히 회사 매출을 좌우한다. 지난 1분기 전체 매출서 제지 등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9%씩, 모두 98%였다. 결국 두 곳서 상당한 이익이 발생했다고 풀이되는데, 그 요인이 원자재 가격 하락에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1년 사이에 매출원가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지난 1분기 매출원가는 1125억원이었고, 직전년도 원가는 1377억원이었다. 매출원가서만 250억원가량을 ‘절약’한 셈이다.

영업이익은 매출액서 매출원가와 판관비를 제외한 값이다. 매출액과 판관비는 비슷했다. 반면 올해는 영업이익을, 지난해에는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결국 매출원가서 성적이 뒤바뀌었다는 해석이다.

매출원가율(전체 매출액서 매출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더라도 그렇다. 매출원가율은 91.26%서 74.58%로 크게 줄었다.


깨끗한나라의 주요 원재료, 부재료는 1년 사이 큰 변동을 겪었다. 펄프(판지표면, 화장지용), 고지(판지심면용), 케미칼(화장지, 판지용) 가격은 지난해 884원, 248원, 294원이었다. 올해는 612원, 188원, 269원으로 모두 하락했다.

당장 성적표가 괜찮은 만큼, 오너 3세에게는 호재로 작용했다. 깨끗한나라 3세 경영은 올해 시작됐다. 주인공은 최병민 회장의 장녀 최현수 부사장이다. 그는 지난 3월 주주총회서 사장으로 승진했다.

1979년생인 최 대표는 일찌감치 경영 수업을 받았다. 미국 보스톤대학교 졸업 이후 2006년 깨끗한나라에 입사했다. 그는 마케팅팀과 생활용품 사업부 등을 거쳐 지난해 1월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선임됐다. 최 대표는 사장으로 승진하기 전부터 기저귀와 아기용 물티슈 등을 개발해 경영 능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후계 경쟁력

우선 후계 경쟁력은 선점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회사 실적에 파란불이 들어온 까닭이다. 다만 변수는 존재한다. 깨끗한나라 최대주주는 최병민 회장의 막내아들이자 최 대표의 동생인 1991년생 최정규씨다. 최 대표 지분은 7.7%, 정규씨 지분은 16.03%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