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를 만나다> 세계적 화제 '지옥' 연상호 감독

2021.11.26 16:31:31 호수 1351호

“인간에게 예정된 죽음을 비틀어봤죠”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웹툰 <지옥>을 본 사람이라면, 연상호 감독의 넷플릭스 신작 <지옥>이 글로벌한 사랑을 받을 것을 미리 예견했을 수 있다. 워낙 촘촘한 짜임새에 이제껏 본 적 없는 세계관, 치명적인 반전 등 좋은 작품의 덕목이라 할만한 대목이 무수한 덕분이다. 현재 <지옥>은 전 세계 TV 프로그램 부문 1위를 기록하는 콘텐츠로 우뚝 섰다. 워낙 거대한 담론이 담겨있고, 장르적 성향이 매우 짙은 것을 고려하면 더 놀라운 성적이다. 



인간에게 있어 삶과 죽음은 숙명이다. 선택할 수 없는 채로 태어나 선택할 수 없는 채로 죽음을 맞이한다. 살고 싶어 발버둥을 쳐도 결국 죽는다. 언제 어떻게 어디에서 생을 마감할지 모를 뿐이다. 

죽음 앞에서

연상호 감독은 누구나 겪는 혹은 겪을 죽음을 비틀었다. 정체 모를 미지의 존재가 죽을 날을 알려주는 세계를 만들었다. 언제 죽을지 모르는 불확실성의 세상에서, 죽을 날을 알게 되자 더 많은 불확실성이 증폭되는 세상을 만들었다. 넷플릭스 드라마 <지옥>에서다. 

<지옥>의 장르는 코스믹 호러다. 실체를 알 수 없는 미지의 존재는 미스터리로 남겨두고, 이를 맞닥뜨리는 인간 군상에 집중하는 장르다. <지옥> 역시 죽음의 사자들을 파헤치지 않는다. 되레 미지의 사자를 본 사람들의 삶을 해부한다. 

혹자는 공포가 인간을 더 선하게 한다는 신념을 갖게 되고, 누군가는 죽음의 사자 역시 재난에 불과할 뿐 인간은 자신에게 주어진 죽음을 자율적으로 맞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어떤 이들은 죽음의 고지를 받은 자들과 스스로를 분리하기 위해, 죄를 고하라고 다그친다.


누군가는 타인의 잘못을 파헤치고 살며, 선을 강조한다는 목적으로 폭력을 사용한다. 

“불확실성에 대한 강한 공포를 느끼는 인간이 만든 이데올로기가 흥미로웠어요. 아마 누구나 특정한 공포를 마주하게 되면, 다양한 방식으로 불안을 줄이려 할 거예요. 저도 그렇고, 누구나 그럴 거예요. 정진수(유아인 분)가 말하는 선과 민혜진(김현주 분)이 말하는 진실이 제 안에 다 있어요. 두 메시지에 모두 설득되는 저라서, 더 제 안의 마음에 몰입하고 집중하려 했습니다.”

이른바 ‘연니버스’라 불리는 연 감독의 세계관은 사실 하나의 패턴에 가깝다. 초자연적인 현상을 보여주면서, 그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조명한다. 좀비떼가 일어났던 영화 <부산행>, 서민이 초능력을 보이는 <염력>, ‘방법’으로 사람의 목숨을 좌우하는 tvN 드라마 <방법>, <부산행> 이후의 디스토피아를 그린 <반도>까지, 연 감독의 렌즈는 초자연적인 현상이 아닌 겁에 질린 사람들의 얼굴에 맞춰졌다. 

비슷한 패턴을 가졌지만, 모든 작품마다 색감이 다르다. 초자연적인 현상이긴 하나 설정이 달라 같은 광기를 보여주더라도 느낌은 다르다. <지옥> 역시 마찬가지다. 특히 <지옥>에서는 종교 관련 인물들과 서민, 진실을 좇는 사람들의 입장 차이 등이 분명히 드러나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는 세상임에도, 마치 우리네 인생을 보는 듯하다.

“하루 자고 일어나니 전 세계 1위” 
“불확실성 속 이데올로기 흥미로웠죠”

“인간에게 죽음은 예정된 것이라고 하면, 거기에서 실체를 알 수 없는 고지와 시연이 나옵니다. 인간의 운명에서 작은 차이를 주는 것만으로도 사회가 움직이는 폭이 달라질 거라고 생각했어요. 현실과 그다지 멀지 않은 이야기라는 생각도 했고요. 아주 작은 차이지만 색다른 설정이었던 것 같고, 거기서 나오는 반응도 색다르게 보였던 것 아닐까 싶네요.”

이 작품은 종교관이 뚜렷한 관객에겐 매우 불편한 문제작이 될 수 있다. 기독교 세계관이 적절히 배합된 가운데, 신에 대한 불편한 시선이 존재한다. 아울러 기독교가 아닌 신생 종교에 대해서도 적대적이다. 다만 특정 종교나 사건이 연상되지는 않는다. 

“저도 교회를 다니는 사람이긴 한데요. 모든 종교는 큰 틀에서 동일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해요. 여기에 있는 것들이 있을 법은 하지만, 특정한 사건이나 단체가 연상되길 바라지는 않았어요. 새 진리회도 종교이긴 하나, 매우 건조한 색감의 단체로 비치길 바랐어요.”

창작자에게 있어 작품은 자식과도 같고, 그 안의 캐릭터 역시 창작자가 혼을 다해 만든 피조물이자 마음속 생명체다. 애지중지 키운 캐릭터를 작품 내에서 죽인다는 것은 창작자에겐 용기가 필요하기도 하다. <지옥> 초반부를 이끌어가는 정진수는 드라마 3부에서 장렬히 생을 마감한다. 그리고 그의 신념이 사회의 의식을 바꾼다. 

“캐릭터는 입체적으로 보여야 한다고 생각해요. 단지 보이는 것만이 캐릭터라고 생각하지는 않았어요. 정진수 의장이 죽음으로써 4화부터 더 큰 존재감을 갖는다고 생각해요. 4~6화에 그 존재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사회 전체에 사상이 주입되기 때문에 정진수 캐릭터는 계속 살아 숨쉬고 있다고 생각해요.”


연 감독 작품의 또 다른 공통점은 후반부에 아이가 등장한다는 것. 디스토피아에서 최후로 살아남는 존재는 어린아이라는 건 새로운 희망을 의미한다. <지옥>의 아이는 마치 예수를 연상시킬 정도로 극적인 느낌이 강하다. 

“애니메이션은 저예산 작품으로 많이 만들어졌고, 따라서 그 작품이 도달하는 관객층은 코어한 예술감을 가진 관객이었죠. 그래서 굳이 희망적인 메시지를 넣지 않아도 됐는데, 실사 영화나 드라마를 할 때는 더 많은 대중에 전달이 될 테고, 그 관객들에게 작은 희망이라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연 감독은 바쁘다. 누구보다도 왕성히 활동 중이다. 차기작은 넷플릭스 영화 <정이>다. 강수연, 김현주, 류경수 배우가 나온다. <지옥>이 구체적인 장편소설이면, <정이>는 시와 같은 단편소설이란다. 

휴머니즘

“이번에 생각지도 못하게 큰 사랑을 받아서, 책임도 커지는 것 같네요. 스스로 재능있는 창작자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있는 그대로 제가 할 수 있는 좋은 이야기를 잘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intellybeast@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