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사회팀] 서울시청역 지하 출입구 벽면에 ‘인권을 보호합시다’라는 큼직한 낙서가 나타났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등에 올라타 글을 쓰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다행히 진짜이 아닌, 사실적인 조각품이었다. 제작자는 이 모습을 통해 인권의 현주소를 역설적으로 표현했다. 그러나 이를 바라보는 곱지 않은 시선 때문에 조각품이 훼손됐다. 설치 하루만에 발생한 일이다.
지난 9일 오전, 1호선 서울시청역 지하 출입구에 낯선 ‘낙서’가 등장했다. 출근길 바쁜 발걸음을 옮기던 시민들의 눈길은 순간 한 곳에 머물렀다. 그곳에는 단순히 낙서만 있는 게 아니었다. 5번 출입구 통로 앞에는 바닥에 엎드린 사람이 있었고, 그의 등에 올라타 낙서를 하는 사람의 모습이 연출됐다. 녹색 붓을 들고 위에 서 있는 남자가 쓴 글은 ‘인권을 보호합시다’라는 구호였다.
‘인권 보호합시다’
이를 본 시민들의 반응은 물음표 그 자체였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황당한 표정을 지었다. 가까이 다가가 들여다보며 진짜 사람인지 확인해보거나, 멀리서 사진을 찍었다. 그러나 글을 쓰는 사람이 움직이지 않는 모습을 확인하면서 비로소 ‘작품’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인권을 보호합시다’라는 큰 글씨 밑에 “인권보호는 말로 하는 게 아닙니다. 나부터 행동으로 실천합시다”라는 문구를 보고서는 작품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이해하는 듯 보였다.
조각품 설치 다음 날인 10일 오후 서울시청역 5번 출입구로 향했다. 그런데 뜻밖에 광경을 목격했다. 한 노인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와 조각품을 향해 손가락질을 하며 육두문자를 날리고 있던 것. A씨는 조각품의 옷깃을 붙잡고는 “이게 뭐하는 짓이냐”며 “당장 이걸 치워야 한다”고 고함을 쳤다.
시청역을 오가던 시민들은 그 소리에 놀라 자리에 멈췄다. 그리고 금세 수십여 명의 사람들이 A씨 주변을 애워쌌다.
A씨는 흥분상태를 가라앉히지 못하고 다소 격양된 목소리로 시민들을 향해 소리쳤다. “이게 인권이야?” “이거 다 필요없는 짓이야!” “박원순 시장이 이상한 짓을 하고 있어!”
이러한 소란을 확인한 역무원과 공익근무요원이 현장에 급히 달려와 A씨를 말렸지만 그는 역 관계자들에게까지 고함을 치며 얼굴을 붉혔다. 결국 서울시청 역장까지 나타났다. 그러나 사태는 더욱 악화됐다. A씨는 역 관계자들의 몸을 밀치며 오히려 더 크게 화를 냈다. 그리고 조각품을 발로 수차례 걷어차고 손으로 당겨 작품을 쓰러뜨렸다. 이로 인해 조각품 상의가 찢어지는 일이 발생했다. 역 관계자는 경찰에 신고했지만 이 과정에서 노인과 육체적인 마찰이 있었다.
이 모습을 지켜본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A씨의 행위에 힘을 실어줬다. “저런 흉측한 걸 왜 여기다 설치해놔!” “아주 잘 됐다”
반면 청년들은 씁쓸한 미소를 지으며 자리를 떴다. 몇 몇 사람들은 노인들을 설득하려고 시도했지만 쉽지 않아 보였다.
결국 경찰이 출동했지만 A씨의 태도는 변함이 없었다. 그의 흥분상태는 계속됐다. 상황이 악화되자 서울시 인권담당 공무원들까지 현장에 나타났다. 이들은 조각품에 대해 설명했다. 조각품의 표면적인 부분만 보지 말고 그 의미를 이해해달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A씨뿐만이 아니라 지켜보던 노인들 간 몸싸움이 벌어지며 상황은 악화됐다. 대다수의 노인들은 조각품을 보고 ‘흉물’이라며 제작자와 서울시장을 비난했다.
‘인권의 날’기념 조각품 설치 두고…
노인-청년 신구 세대 간 갈등 표출
이렇게 수십여 분이 흐른 뒤에야 상황은 종료됐다.
처음부터 이 상황을 지켜본 대학생 정씨는 “어르신의 행동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며 “조각품에 내재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설치된 공공기물을 파손한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반면 직장인 최씨는 “취지가 아무리 좋다고 해도 저런 모습(조각품)은 별로 보고 싶지 않다”며 “과격하긴 했지만 저 분(A씨)이 이해된다”고 말했다.
서울시 인권보호팀 관계자는 “세계인권선언 65주년을 기념하고자 설치된 조각품인데 이런 일이 발생하게 돼 안타깝다”며 “처음 보면 놀랄 수도 있지만 이 캠페인의 취지를 이해해줬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훼손된 조각품의 보수는 이제석 광고연구소 관계자들이 맡았다. 그리고 이러한 사건의 재발 방지를 위해 앰네스티(인권단체) 관계자들이 현장에 나와 가판대를 설치해 놓고 작품을 안내했다.
사실 이번 작품은 지난 10일 세계인권선언 65주년을 기념해 서울시와 앰네스티(인권단체)가 공동으로 기획한 것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두 사람은 실제 사람이 아닌 조각품으로, 인권문화행사의 일환으로 제작된 것이었다.
서울시가 인권의 날을 기리며 ‘이제석 광고연구소’ 이제석 대표에게 행사의 취지를 설명하면서 작품을 요청했고, 조각품 기획과 제작에 이제석 광고연구소가 참여했다. 세계적인 광고천재로 알려진 이제석 대표가 의미 있는 작품을 제작한 것이다.
조각품 제작 당시 이제석 대표는 작품의 의도에 대해 “일상 속에서 서로 인권을 존중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인권 존중’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주고자 한 것.
그러나 제작 당시부터 말이 많았다. 특히 기성세대의 반대가 극심했다. 이들의 격한 반응은 시공 때부터 시작됐다. 시공 중 서울시청 역장이 멱살을 잡히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어쩌면 이번 사건은 예견된 일인지도 모른다.
이 대표는 “이번 사건 자체가 우리 인권의 현주소라고 생각한다”며 “한국사회의 고질적인 권위주의가 나타난 상징적인 사건이다”라고 강조했다.
잘 정돈된 서울시청역에 날것의 느낌인 조각물을 설치한 건 나름 ‘파괴적 설치’였다. 이 대표는 제작에 직접 참여하며 많은 일들을 겪었다.
일례로, 시공을 반대했던 사람들은 이 대표가 작업복에 목장갑을 꼈을 때와 정장을 입었을 때 그를 대하는 태도가 확연히 달랐다. 겉모습에 따라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던 것. 그는 제작 과정에서부터 한국 인권의 현주소를 뼈저리게 느꼈다. 보통 ‘인권침해’라 하면 외국의 경우 인종 문제가 대두된다. 반면 한국은 뿌리 깊은 권위주의가 문제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오해와 권위주의
조효제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는 “한국사회에서 인권을 말하면 종북 혹은 빨갱이로 몰아가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것은 매우 편협한 사고다”라며 “극단적인 정쟁, 반대 사상으로 보는 경향이 짙다”고 말했다. 이어 조 교수는 “만약 인권 조각품이 아니라 동성애자 1인 시위였다면 어땠을지 한 번 생각해봐야 한다”며 “인권에 대한 막연한 반감으로서 배경으로는 우경화도 한몫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단순한 해프닝으로 치부하기에 이번 사건은 결코 가볍지 않았다. 인권을 바라보는 한국사회 민낯이 여실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조각품 훼손이 오늘날 우리 인권의 실태다.
이광호 기자 <khlee@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세계인권선언이란?
제2차 세계대전 전야의 인권 무시, 인권의 존중과 평화 확보 사이의 깊은 관계를 고려하여 기본적 인권 존중을 중요한 원칙으로 하는 국제연합헌장의 취지에 따라 보호해야할 인권을 구체적으로 규정할 목적으로 1948년 6월 국제연합인권위원회에 의해 선언문이 완성됐고, 그해 12월10일 파리에서 개최된 제3차 국제 연합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됐다. 이에 따라 매년 12월10일은 ‘인권의 날’이다.
세계인권선언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상세히 명시하면서 인권과 기본적 자유가 모든 사람과 모든 장소에서 똑같이 적용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인정한 선언이다. <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