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파만파 동양 사태 후폭풍

2013.10.15 15:23:00 호수 0호

또 터질락 말락 '부채 폭탄'

[일요시사=경제1팀] 웅진그룹, STX그룹에 이어 동양그룹마저 유동성 위기로 좌초했다. 불안한 투자자들은 동양증권을 중심으로 주식시장에서 돈을 빼내고 있고 기업자금 조달사정도 어려워지고 있다. 동양 사태 후폭풍이 한국경제를 강타한 가운데 이제 시선은 제2의 동양그룹이 누가 될 것인지에 쏠리고 있다.






동양 사태가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불안감에 떨고 있는 투자자들은 예탁금을 인출하기 위해 증권사 앞에 길게 늘어섰다. 지난 9월30일 기준으로 한국증권금융에 예치된 고객 예탁금은 16조2652억원으로 작년 7월30일 이후 14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제2의 동양그룹'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동양 사태 파장

기업분석 사이트 재벌닷컴의 분석 결과 자산 순위 30대 재벌그룹의 지난해 말 부채 총액은 574조9000억원 규모로 지난 2007년 말 313조8000억보다 83.2%(261조1000억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계 1, 2위인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을 제외한 28개 그룹만 따지면 부채비율은 상승했으며 재무안정성이 악화된 그룹은 14곳에 이른다.

이 가운데 부채가 자기자본의 1.5배가 넘는 부채비율 150% 이상 그룹은 동양(1231.7%), 한진(437.3%), 현대(404.1%), 금호아시아나(265.0%), 동부(259.4%), STX(256.9%), 효성(188.5%), 두산(189.7%), 동국제강(171.3%), 코오롱(160.4%) 등 10곳에 달한다.


이중 동부와 두산, 한진, 현대, 코오롱그룹의 재무부담 가중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가장 크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동부는 비금융주력 계열사의 실적 부진으로 재무 부담이 커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주력 6개사(동부제철, 동부건설, 동부팜한농, 동부메탈, 동부하이텍, 동부씨엔아이)의 올해 6월 말 기준 합산 차입금은 5조5000억원에 이른다. 이중 1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의 비중은 56.1%. 동부건설만 해도 부채비율이 500%에 달한다. 내년 상반기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차입금은 5198억원이다.

한기평은 "동부그룹의 비금융부문 주요 계열사들은 실적 저하와 저조한 수익성, 과도한 금융비용 부담, 영업현금창출 규모를 웃도는 투자에 따른 차입규모 증가 등의 요인이 악순환하면서 과중한 재무 부담을 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룹 전반에 걸쳐 신용도가 내려가는 가운데 장기 차입금의 원천인 회사채가 대부분 1~2년물에 집중돼 계열전반의 차입구조 개선에 별로 도움이 안 되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두산그룹의 경우에는 최근 10여년간 12건에 이르는 인수·합병(M&A)을 통해 외형적인 성장은 이뤘지만 M&A에 들어간 차입금, 이자 등의 재무 부담이 커졌다. 주력 계열사인 두산중공업의 부채비율이 지난해 말 366%에서 6월 말 371%로 상승했다. 회사별로 보면 두산엔진이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으며 두산인프라코어, 두산중공업, 두산건설 모두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한기평은 두산그룹에 대해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가 경기민감도가 높은 중공업에 집중된 구조임을 고려할 때 차입금 감축을 통한 그룹 차원의 재무구조 개선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주채권은행과 재무구조 개선 약정을 맺고 있는 한진그룹 또한 주요 계열사의 실적 부진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주력 계열사인 대한항공과 한진해운은 영업실적이 크게 감소해 재무건전성이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했던 당시보다 더 악화됐다.

동부·두산·한진·현대·코오롱 '빨간불'
주요 계열사들 실적 부진…시장 불안 가중

CEO스코어에 따르면 한진그룹 3개 계열사(한진해운, 한진, 대한항공)의 사채를 포함한 차입금은 18조8375억원으로 총자산 36조7914억원의 51.2%에 달한다. 한진해운이 차입금의존도 77.5%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한진(41.4%), 대한항공(39.4%)이 뒤를 이었다.

한기평은 "(한진그룹은) 주력인 항공·해운의 업황 침체로 영업실적이 떨어지는 가운데 항공기, 선박 투자 규모가 늘어나면서 그룹 전반의 재무 부담이 크게 가중된 상태"라고 말했다.

해운업 불황은 현대그룹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현대그룹은 주력 계열사인 현대상선의 부채비율이 895%에 달한다. 10월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상환을 위해 금융당국의 회사채 차환발행 지원까지 신청했다. 올해 안에 갚아야 할 차입금과 사채는 2조4215억원을 웃돈다.

수익도 참담하다. 현대상선은 지난해 7조7138억원이라는 매출액을 기록했지만 영업손실은 5197억원에 달했다. 당기순손실도 2011년 5343억원에서 지난해 9886억원으로 손실폭이 크게 증가했다. 또 다른 주력 계열사 현대증권은 지난해 회계년도(2012년 4월∼2013년 3월)에 순손실만 681억원을 기록했다.


현대그룹 대북 사업을 전담하는 현대아산의 악재는 끝날 줄을 모른다. 그룹 핵심 사업이었던 금강산 관광에 이어 개성공단 개발 사업까지 멈췄기 때문이다. 2008년 금강산 관광 중단 이후 지금까지 본 피해금액은 1조4000억원 가량이다.

코오롱그룹도 그룹 양대 축인 코오롱인더스트리와 코오롱글로벌 때문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현재 진행 중인 듀폰과의 소송에서 질 경우 2분기 매출액(1조3279억원)에 육박하는 1조원을 물어줘야 한다. 최근 미국 법원은 1심에서 듀폰 손을 들어줬다.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만기가 도래한 회사채를 상환하기 위해 하나캐피탈 지분 매각(300억원), IT사업부 양도(677억원), 자사주 매각(169억원), 회사채 발행(600억원), 김천에너지 주식 매각 등을 진행해 왔다. 내년 만기인 회사채도 1350억원에 달한다.

각각의 기업들은 "우리는 동양과는 다르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문제가 없다는 것. 동부그룹은 "연말 내로 4500억원 정도가 들어온다"며 유동성 위기 우려를 일축했고 한진그룹은 항공기·선박 등 대형 매물을 사와 영업을 하다 보니 부채가 많아 보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코오롱그룹도 부담은 없다는 입장이며 현대그룹은 가용한 현금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운·항공·건설 등 일부 부문의 업황 부진으로 경영환경이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동양그룹처럼 마땅한 주력 사업이 없는 회사를 중심으로 출자전환 구조가 짜여 있거나 금융권 차입 대신 CP나 회사채를 과도하게 발행한 것도 아니라는 얘기다.

위험군 기업들

금융당국 또한 '제2의 동양'을 걱정할 단계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최근 시장에서 여러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이름이 거론되는 기업 가운데도 사정이 그렇게까지 어렵지 않은 기업이 많다"며 "크게 우려할 단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들 기업의 상황이 낙관적이지만은 않다고 지적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재무안정성 악화로 인해 제2의 동양이 될 수 있다고 거론되는 몇몇 그룹들은 저마다 취약점을 갖고 있다"며 "언제든 상황이 심각해질 수 있는 위험군으로 분류돼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들 기업은 동양그룹 보다 규모가 큰 기업이기에 자체적인 재무구조 개선 노력과 금융당국의 사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종해 기자<han1028@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