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NET세상> 베트남 신부의 배신 설왕설래

2025.03.31 07:00:00 호수 1525호

수천 주고 국적 자판기 노릇

[일요시사 취재2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주는 베트남 신부의 배신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A씨 등 7남매를 둔 아버지 B씨는 20여년 전 사별한 뒤 식당을 성공시키고 10년 전 국제결혼 업체를 통해 젊은 베트남 여성을 소개받았다. 아버지는 베트남을 두 번 정도 방문한 뒤 결혼하기로 하고 혼인신고 했으나, 베트남 여성은 아버지의 집에 온 다음 날 사라졌다.

B씨는 베트남 여성을 찾지 못했고, 세월이 흘러 1년 전 암 진단을 받은 뒤 베트남 여성과 이혼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으나 결국 사망했다.

취득용 결혼

최근 한 라디오에 소개된 아버지가 남긴 17억원 유산의 상속 문제를 고민하는 A씨의 사연이다. 이처럼 한국 남성과의 결혼으로 국적을 취득하고, 이혼 후 베트남 남성과 재혼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른바 국적 취득용 위장 결혼이다.

실제 지난해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이혼 증가율이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이혼 건수는 4218건으로 전년(4175건) 대비 1.8% 증가했다.


그중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이혼 건수는 1215건으로, 전년(1122건)보다 8.3% 크게 늘었다. 증가율 8.3%는 2011년(24.4%)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다.

한국 남성의 젊은 베트남 여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가운데, 이들이 결혼으로 한국 국적을 취득한 후 이혼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외국인은 한국인 배우자와 혼인한 상태로 한국에 2년 이상 주소가 있거나, 혼인한 후 3년이 지나고 한국에 1년 이상 주소가 있으면 한국 국적을 취득할 수 있다.

‘국적 먹튀’ 베 여자 가장 많아
한국 여-베트 남 재혼은 증가세

나아가 베트남 여성이 한국 국적을 취득한 후, 다시 베트남 남성과 결혼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한국인 아내와 베트남 남성의 혼인 건수는 총 771건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했다.

혼인 건수가 소폭 줄어들긴 했지만, 중국(905건)에 이은 2위다. 혼인 종류별로 보면 재혼이 728건으로, 전체의 94.4%를 차지했다. 반면 초혼은 43건에 불과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재혼 건수가 주춤했지만, 2022년(전년 대비 32.4% 증가), 2023년(35.3% 증가) 증가분이 커서 기저효과가 있었다”며 “한국 여성과 베트남 남성의 재혼 건수는 꾸준한 상승세”라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인으로 귀화한 베트남 여성이 (베트남 남성과 재혼하는 경우가) 좀 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렇다면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국적법 개정해라’<pres****> ‘국적을 너무 쉽게 준다’<dmsm****> ‘자국 노총각들 국적 세탁에 이용당하게 방치하고 이혼남 만드는 너무 바보 같은 나라’<wkyo****> ‘한국 국적은 결혼 후 출산, 국민연금 및 의료보험 가입 기간이 10년 지난 후 배우자의 동의하에 가능하도록 해라’<park****> ‘이러다 동남아 민족들에게 잠식당한다’<anti****>

이혼 건수 크게 증가
13년 만 최고치 기록


‘입국용 거소권이라도 일단 따려고 들어온 케이스 많다. 6개월 만에 베트남 젊은 놈이랑 집 나가서 안 돌아오고, 경찰 신고해도 못 찾고, 출국 기록은 없고, 진짜 문제다’<knkk****> ‘이혼하면 국적 취소가 정답’<qwe0****> ‘내가 아는 후배도 아내가 한국 국적 취득 후 이혼을 요구했고, 이혼 후 베트남 남자를 한국에 불러 살림을 차렸답니다. 정말 환장할 노릇이지요’<bgyu****>

‘그리고 베트남에 있는 남친을 한국으로 초청해 결혼하면 그놈도 한국 국적’<jnso****> ‘베트남은 국적 주냐?’<secr****> ‘국적은 주지 말고 영주권만 주는 것으로’<sjb8****> ‘외국 여자들 데리고 왔으면 행복하게 해줘야지 국적 자판기가 되면 됩니까?’<mini****> ‘호구 노릇 그만하자’<ytpa****> ‘배은망덕의 표상이다. 한국을 개무시하는 게 아니고 무엇인가?’<yyw0****>

‘다문화에 대한 혜택이 너무 큽니다. 그 재원들이 국민의 세금 아닙니까?’<kimw****> ‘한국에서 돈 벌어 가족에게 송금해 귀족처럼 살던데…’<kimw****> ‘이건 국가적인 문제다’<jung****> ‘50대가 20대랑 결혼하면 도망 안 가는 게 이상한 거 아닌가?’<cha8****> ‘반대로 이혼 안 하는 가정은 92%’<dcc4****>

계획적으로?

‘이게 예측이 안 됐다는 게 신기하다’<mato****> ‘사실상 매매혼을 하면서 이렇게 될 줄 몰랐다니…’<meme****> ‘돈으로 사람 사놓고 사랑을 바라는 게 말이 되냐?’<mint****> ‘영상통화 10분 하고(그것도 통역사 끼고 10분), 베트남 날아가서 얼굴 한 번 확인하고 다음 날 결혼식 합방하는 게 말이 되냐고∼평생의 동반자를 그렇게 선택하는 게…어디서 뭐하던 여자인지 어떻게 알고…’<hr******>  

<pmw@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한국 남성-일본 여성 결혼 급증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의 결혼이 급증하고 있다.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의 결혼은 총 117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840건과 비교해 무려 40%나 폭발적으로 증가한 수치다.

전반적인 국제결혼 비중도 높아졌다. 작년 외국인과 혼인은 2만1000건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한국 남성이 외국인 여성과 혼인한 경우는 6.2%, 한국 여성이 외국인 남성과 혼인한 경우는 2.6% 늘었다.

외국인 아내의 국적은 베트남이 32.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16.7%), 태국(13.7%), 일본(7.5%) 순이다.

외국인 남편의 국적은 미국(28.8%), 중국(17.6%), 베트남(15.0%) 순이었다. <민>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