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지법 난동’ 피의자들에 영치금 전달한 김용현, 왜?

2025.02.05 16:56:28 호수 0호

변호인단 통해 옥중 서신도 공개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12·3 비상계엄 사태’를 주도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로 구속된 이들에게 영치금을 보냈다.



5일 김 전 장관 측 변호인단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전날 서부지법 사태로 구속된 피의자들의 30여개 계좌에 영치금을 입금했다.

변호인단은 “김 전 장관은 ‘법원의 잘못된 판결로 촉발된 사태에 분노한 애국청년들의 구국정신에 뜻을 같이 한다’고 말씀하셨다”면서 “김 전 장관이 입금한 영치금은 국민께서 김 전 장관에게 보내주신 영치금과 개인 사비를 모아 보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변호인단은 김 전 장관의 옥중 서신도 공개했다. 해당 서신서 그는 서부지법 난동 피의자들을 ‘애국전사’로 칭했다.

김 전 장관은 “애국청년들에게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고자 애국 국민께서 보내주신 소중한 영치금을 이분들과 나누고자 한다”며 “부디 60여분의 애국 전사들이 조속히 풀려나서 애국 국민의 구국 대열에 함께할 수 있도록 많은 기도와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김 전 장관의 영치금 지원과 ‘애국 전사’ 칭호 부여는 이들의 범죄 행위를 미화하고 정당화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일부 정치권에선 최근 2030세대를 중심으로 여권 및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에 대한 지지율이 높아지자, 해당 지지층 결의를 높여 향후 내란 주도 혐의 재판서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기 위함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야권 관계자는 “김 전 장관의 행보는 단순한 동정심이나 우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며 “‘애국 청년’ ‘애국 전사’라는 표현까지 사용한 건 오히려 젊은 지지층을 결집시키고, 자신의 재판에 대한 여론을 유리하게 조성하기 위한 철저히 계산된 행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서부지법 난동 피의자들을 옹호하는 듯한 메시지는 이전에도 여권 인사들 사이에서 나오면서 논란이 된 바 있다.

김재원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지난달 19일 페이스북을 통해 “윤 대통령의 외롭고도 힘든 성전에 참전하는 아스팔트의 십자군들은 창대한 군사를 일으켰다”고 밝혔다. 이후 논란이 일자, “서부지법 폭력 사태를 옹호할 생각은 전혀 없다. 그런 뜻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같은 날 황교안 전 국무총리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각 경찰서를 돌며 (윤석열)대통령을 지키려다가 어제·오늘 체포된 분들을 면회하고 있다”며 “무료 변론을 제공하겠다. 어떻게든 도와야 한다”고 적었다.

지난달 19일 오전 3시경 차은경 서부지법 부장판사가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하자, 인근서 시위를 벌이던 지지자들 100여명은 법원 후문서 경찰 저지선을 뚫고 안으로 난입했다. 이들은 소화기와 경찰로부터 뺏은 방패 등을 던지며 법원 유리창과 집기 등을 부수고 제지하던 경찰과 취재 기자를 폭행하기도 했다.

경찰은 서부지법 월담자 등을 포함한 폭력 난동자 100여명을 검거한 후 65명은 구속시켰다.

<jungwon933@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