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 갤러리마리서 기획전시 ‘Beyond Genre 장르탈출Ⅱ’를 준비했다. 2022년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하는 ‘장르탈출’전은 새로운 시선으로 경계와 울타리를 허무는 작가와 작품을 조명하는 전시다. 시대의 양상과 우리 삶의 모습을 자신의 직업과 연결하고 이를 반영하는 과정서 기존에 보여주지 못한 새로움으로 장르 간 경계를 무화시키는 작가들이 함께했다.
2022년 11월 갤러리마리는 ‘장르탈출Ⅰ’을 통해 김원규·김펄·김현숙·만욱·모지선·베리캄·여동현·잠산·큐락 등 작가 9인의 작업을 선보인 바 있다. 2회째를 맞은 이번 ‘장르탈출Ⅱ’전에는 고은주·박종화·오윤석·임진성·정창기·최은정·추영애 등 7인의 작가가 참여했다.
규범 탈피
종류 또는 유형을 뜻하는 프랑스어 ‘장르(genre)’는 문학과 음악,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서 작품을 구분하거나 분류할 때 폭넓게 이용되는 단어다. 하지만 관습적인 장르 구분은 현대미술에 있어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오히려 예술의 양식적 규범을 탈피하려는 시도와 실험이 작가에게 피할 수 없는 일이 되는 분위기다.
장르를 넘어선다는 것은 자유롭게 경계를 넘나드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익숙한 형식과 한정된 재료에 얽매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내용이나 소재, 나아가 자신이 거둔 성과나 외부의 평가에 매몰되지 않으려는 작가적 태도 또한 ‘장르탈출’ 전시가 지향하는 지점이다.
고은주는 현대인이 가진 ‘불안’이라는 정서에 주목해 이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전통적 기원 문화를 예술적 도구로 차용해 표현했다. 길상의 의미를 지닌 화려한 도상이 좌우대칭의 구도로 조화롭게 자리 잡은 그의 작업은 행운부, 애정부, 재물부 등의 제목을 붙여 현대적이면서 색다른 부적의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위안과 희망을 전하고자 하는 작가의 바람이 담긴 작업은 자신을 비롯해 마음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우리 모두에게 건네는 공감의 선물이다.
박종화가 만든 화면에는 여러 장면이 감각적으로 뒤섞여 있다. 스쳐 간 영화의 한 컷, 명화 속 인물이나 사물, 유명한 화가의 이미지 등을 모티브로 퍼즐을 맞추듯 즉흥적으로 조합해 나간다. 작가의 생각과 현실적인 이야기를 가미해 색다르게 변주된 이미지를 전달한다.
한 화면 속에 다중적 세계와 시간이 중첩된 듯한 박종화의 작업은 유머러스한 장면 연출에 대사나 독백 같은 한 줄의 제목이 더해지면서 호기심을 자극하고 혼재된 맥락을 하나의 서사로 담아낸다.
오윤석은 동양적 사유와 현대미술의 조우를 실험한다. 예술적 치유와 현대적 샤머니즘이 반영된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칼로 종이를 도려내거나 도려낸 종이 끝을 뾰족하게 말아 올리는 등 예민한 신체적 몰입이 요구되는 이 작업은 고문서나 경전의 문자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형상화한다.
2022년 이어 두 번째
장르 간 경계 허물다
그가 구현하는 최종적인 이미지는 고요한 평면처럼 보이지만 실은 염원과 기원을 담은 반복적인 행위와 과정에 방점을 둔 작업이다. 내면 깊숙한 곳에 감춰진 무의식을 드러내는 일이다.
임진성은 ‘살아있는 모든 것은 쉼이 없다’는 뜻의 생생불식(生生不息)을 주제로 신비롭고 어스름한 푸른 빛을 화면 가득 펼쳐놨다. 가까이에서는 선명하고 또렷한 댓잎을 볼 수 있지만 조금만 거리를 두면 어둠에 묻히듯 형체가 흐려진다.
작가는 “화선지 위에 푸른 아크릴 물감을 사용해 여러 번의 붓질로 만든 일종의 착시며 눈의 속임수”라고 말했다. 2m 높이의 각기 다른 대나무 일곱 폭 사이를 천천히 가로지르면 새벽녘 달빛을 반사한 것처럼 댓잎의 푸른 빛이 반짝이고 멀어지기를 반복한다.
정창기는 프랑스 파리에 정착해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촬영하는 대상에 내면을 투영하고 찬미하며 교감을 나누는 시인이다. 이번 전시서 돌과 숯, 과일과 채소, 꽃이 중력을 거스르고 수직으로 맞물린 채 연결돼있는 정물 사진 ‘Vertical’ 시리즈를 선보인다.
‘Vertical Conversation’ ‘Vertical Meditation’ ‘Vertical Contemplation’ 등으로 표현된 사진 속 오브제는 세부 묘사가 생략된 인간의 형상을 드러낸다. 마음과 마음, 인간과 자연, 그 사이서 일어나는 리얼한 대화를 한 컷에 담고자 했다. 기하학적이고 절대적인 조화 속에 깃든 고요를 선사한다.
최은정은 평면 위에 한지를 촘촘이 쌓아가며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자연의 색과 미감을 입체적으로 표현했다. 색 한지를 물에 풀어 반죽하고 말린 후 작게 잘라낸 종잇조각을 하나하나 이어 붙이는 지난한 수공 작업 속에서도 미묘한 색의 조합을 감각적으로 선택했다.
묵직한 여운을 남기는 최은정의 부조 작업은 오랜 시간 한지의 물성을 연구하고 종이가 조각의 재료가 될 수 있도록 반복해 실험하면서 만들어졌다. 과정 자체가 의미 있는 결과로 존재한다는 평이다.
섬유미술을 전공한 추영애는 천과 실, 기계 바느질을 이용한 직물 회화를 선보여왔다. 여러 종류의 조각 천을 오려 붙여서 실로 꿰매는 아플리케 기법에 반복적인 스티치 드로잉으로 마치 그림처럼 자연스러운 음영을 표현했다.
소파와 쿠션, 화분과 탁자 등 실내 공간을 구성하는 익숙한 요소는 대부분 낡고 바랜 헌 옷을 오리고 조합해 완성한 것이다. 저마다 삶과 사연이 담긴 옷의 조각을 연결해 만들어내는 따뜻하고 심미적인 공간서 우리의 일상은 더 진지하고 특별해진다.
실험 도전
갤러리마리 관계자는 “수많은 미술의 형태와 다양성 속에서 꾸준한 노력과 성실함으로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한 이들 7명의 작가가 큰 응원과 지지를 받길 바란다”며 “‘장르탈출’전이 좀 더 색다른 시선으로 현대미술을 경험하고 감상하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다음 달 10일까지.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