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 조롱·인종차별” 도 넘은 SNL 한강·하니 패러디 뭇매

2024.10.21 15:58:33 호수 1502호

누리꾼들 “선 넘었네” 등 비판 쇄도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표현의 자유’라는 말로 예능프로그램서의 모든 패러디 행위를 용인해도 될까?



쿠팡플레이 <SNL 코리아 시즌6>(이하 SNL)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와 국회 국정감사에 참석한 뉴진스 멤버 하니 조롱 논란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논란이 된 건 지난 19일 공개된 SNL에서 한강 작가와 하니를 패러디한 콩트 장면이다.

공개된 영상에서는 배우 김아영이 한강 작가의 특징을 잡아 실눈을 뜨고 팔짱을 낀 채 나긋한 말투로 “수상을 알리는 연락을 받고는 처음엔 놀랐고 전화를 끊고 나서는 현실감과 감동이 느껴졌어요”라며 수상 소감을 따라 했다.

해당 장면을 두고 누리꾼 사이에서는 한강 작가의 외모적 특성을 희화화해 웃음 소재로 삼았다는 비판이 일었다.

국정감사에 출석한 하니를 패러디한 장면도 논란이 됐다.


하니를 패러디한 배우 지예은은 영상서 “제가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해 (국회에)출석하게 됐다”며 우는 연기를 선보였다.

문제가 된 것은 지예은의 말투였다. 베트남계 호주인인 하니의 다소 어눌한 한국어 발음을 재현해 인종차별 논란까지 불러일으킨 것이다. 누리꾼들은 타국서 외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발음을 어설프게 묘사해 코미디 소재로 삼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영미권 국가에서는 비영어권 출신 외국인이나 이민자의 발음을 지적하거나 무시하는 행위가 전형적인 인종차별로 간주된다.

영상이 공개된 후,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잇따랐다.

이들은 “조롱과 풍자를 모르고 선을 넘었으니 욕먹는 거지” “약자를 희화화하는 건 하나도 안 웃기다. 그냥 괴롭힘이잖아” “풍자가 아니라 외모 조롱”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한강 같은 경우는 언행이나 그런 게 밈화된 적도 없고 해서 그런가… 개인적으로 풍자한 결과물이 썩 재밌지 않긴 했다”며 “개그 코너서 당연히 자유롭게 풍자할 수 있지. 근데 굳이? 싶은 느낌”이라며 불편함을 내비쳤다.

또 다른 누리꾼은 “개그 없이 외적인 모습을 보고 조롱하는 게 이상한 것”이라며 “정치인을 풍자해서 개그한 것도 아니고 한강 표정이랑 자세가 웃긴 일인가?”라고 지적했다.

패러디는 기존에 잘 알려진 대상을 유머러스하게 또는 비꼬는 방식으로 재해석하는 표현 기법이다. 주로 정치인이나 연예인처럼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인물들이 패러디의 소재가 되는데, 이들은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비판적인 의견을 직접적으로 표출하기 어려운 상황서 패러디는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는 창구 역할을 한다. 대중은 패러디를 통해 즐거움을 얻고, 당사자조차 부정적 이미지를 완화하거나, 때로는 역이용해 이미지 변신을 시도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강 작가와 하니의 경우, 안티를 형성할 만한 논란이나 행동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런 연유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익살적 표현은 조롱이나 희화화로 받아들여져 많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SNL은 과거에도 일부 콘텐츠가 패러디를 넘어 조롱이나 선을 넘었다는 비판을 받았던 바 있다.

최근엔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 여성 BJ 과즙세연의 만남을 다룬 패러디서도 방 의장의 이름은 언급하지 않고 여성 BJ에게만 ‘육즙수지’라는 별명을 붙여 조롱했다.

지난해에는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를 패러디했다가 실제 고데기 사건 피해자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개그 소재로 쓰이면서 시청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기도 했다.

SNL 프로그램 소개에는 ‘브레이크 없는 고품격 풍자’라고 돼있다. 하지만, 프로그램 의도와는 달리 정작 품격은 찾아보기 힘든 게 현실이다. 같은 이유로 여러 번 비난받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는 법인데, 브레이크 없이 질주만 하다 보니 자주 사고가 나는 것이다.

<jungwon933@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