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호 교수의 대중범죄학> 언론·SNS, 폭력 범죄의 공범인가?

  • 이윤호 교수
2023.10.27 14:34:05 호수 1451호

얼마 전 ‘살인’이나 ‘흉기 난동’을 예고하는 다수의 글이 SNS를 통해 퍼지면서 우리 사회를 불안에 떨게 했다. 당시 글을 게시한 사람들 대다수가 청소년이었다는 점과 그들의 활동 무대가 주로 SNS였다는 점이 부각됐다.



해당 사건은 비단 국내로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수년 전 미국에서는 10살이 채 되지 않았던 두 어린이가 친구를 숲속으로 유인해 흉기로 19회나 찌른 사건이 발생해 논란이 된 적 있다. 그 이유를 묻자 이들은 ‘인터넷 밈(Meme)’인 ‘슬렌더맨(Slenderman, 가공의 호러 캐릭터)’이 그렇게 하도록 만들었다고 진술했다.

그들 말대로라면 인터넷이 범행을 교사한 공범이라고 봐야 할까? 그들의 온라인 활동이 살인 미수의 범행을 하도록 현실과 허구의 구분을 흐리게 했다고 보는 게 타당한가?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언론폭력에 노출된 환경이 소비자의 폭력 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느냐다.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미국 심리학회는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폭력적 비디오 게임 노출과 현실 세계 폭력 행동의 잠재적 관계의 존재를 재검토했다.

검토 결과 폭력적 비디오 게임은 공격 행위의 증대, 복합 공격성 점수의 증가, 공격적 인지의 증대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폭력적 비디오 게임 이용과 비행이나 범죄 행위와의 잠재적 관계를 검증할 충분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결론 내렸다.

지금까지는 절대 다수의 연구가 폭력적 언론 노출이 장·단기적으로 공격적 행위의 가능성을 높이고, 적대적 인식과 태도를 증가시키며 폭력적 콘텐트에 둔감하게 만든다고 결론 내리고는 있지만, 언론과 폭력 범죄의 직접적이고 인과적인 관계는 아직도 불가해한 영역으로 남아있다.


이처럼 충분한 연구도 확실한 증거도 부족하지만, 어떤 유형의 인터넷 활용과 증대된 공격적 행위가 연결돼있다는 문헌은 존재하지 않는다.

온라인 노출의 ‘질(quality)’이 한 요인이 될 수도 있는데, 중대범죄를 범한 청소년이 폭력적 온라인 콘텐트를 봤을 개연성이 훨씬 더 높았고, 극단적 선택에 대한 언론 보도가 ‘모방 자살(copycat suicide)’에 대한 전염성으로 작용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일부 다중 살상도 직전의 다른 폭력 행동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지금처럼 폭력적 보도의 범람이 모방 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노출과 잠재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노출되는 보도의 폭력성 정도, 즉 질적인 문제뿐 아니라 노출의 양, 즉 노출 시간도 기여 요소가 된다는 사실이 연구 결과로 확인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언론의 물리적 공격성 묘사를 통한 노출과 실제 폭력 행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대체로 성인층에서는 “그렇다”고 답할 개연성이 더 높을 수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서 언론폭력 묘사에 노출되지만, 절대 다수가 결코 폭력적이지 않다는 점은 이를 반증한다.

결국, 언론의 폭력 묘사가 시청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또 폭력적·범죄적 성향이나 기질을 가진 사람이 언론 폭력에 노출됐을 경우, 실제 폭력 행위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을 것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폭력적 언론 보도의 영향은 미묘하며, 누적적이고, 간접적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기 트라우마와 폭력적 경험과 같은 다른 요인을 가진 사람이 언론폭력에 다수 노출될 경우, 그 영향은 그만큼 더 커질 수밖에 없으며 1회 흡연으로 폐암에 걸리지는 않는 것처럼 그 영향은 누적된 집합적 결과라는 것이다.

언론의 과도한 폭력 묘사와 실제 폭력 행위의 연관성을 들여다보는 데는 그만한 이론적 근거가 있다. 언론폭력 과다 노출의 상관관계로 가장 잘 알려진 ‘잔인한 세계’ 증후군이 바로 그것이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잔인하고 위험한 세상, 세계’라는 인상을 구축하는 경향이 있다는 이론이다.

이런 사람들은 폭력의 피해자가 될 위험성을 과대평가해 자신이 세상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고 한다. 또 다른 주장은 지나친 언론폭력 노출은 시청자로 하여금 폭력에 둔감하게 만들어 실제 폭력에 심리적으로, 감정적으로 감각이 무뎌지고, 공감적이지 않게 돼 스스로 폭력에 가담하기가 더 쉬워진다는 것이다.

[이윤호는?]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명예교수
고려사이버대 경찰학과 석좌교수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