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를 만나다> 촛불집회 참석하는 민형배 의원

2022.12.06 13:01:23 호수 1404호

“희생자 공개, 할 거면 제대로 하라”

[일요시사 정치팀] 정인균 기자 = 광화문의 촛불은 아직 꺼지지 않았다. 매주 진행되고 있는 ‘이태원 참사 촛불 집회’는 강추위에도 속행되며 빛을 발하고 있다. 정계에서는 해당 집회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정치에 이용하지 말라’부터 ‘수만명이 내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까지 집회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온도 차가 천차만별이다. <일요시사>는 의견 차가 극명한 두 정치인을 만나 보다 자세한 이야기를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무소속 민형배 의원은 지난 19일 ‘이태원 참사 추모 촛불집회’에 참석한 7명의 정치인 중 한 명이다. ‘정치인이 촛불집회에 참석한 것이 부적절하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민 의원은 오히려 ‘안가는 것이 더 이상하다’고 응수했다. <일요시사>가 그를 만나 보다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 민 의원님이 촛불집회에 참석한 경위를 듣고 싶습니다

▲당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이 끝난 후 기자들과 백 브리핑 시간을 가졌는데, 현장에서 어떤 기자가 집회에 갈 거냐고 물어봤어요. 거기에 자연스럽게 ‘아니, 당연히 가봐야 되는 거 아닌가요?’라고 되묻게 된 거죠. 그리고 당일 해당 집회에 참석하게 됐습니다.

-정치인이 참석했다는 소식에 비판 의견도 나오던데?

▲오히려 (정치인이)안 가보는 게 더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정치인이라면 현장에서 무슨 얘기가 들리는지 알아야 할 거 아니에요. 수십명, 수백명도 아니고 수만명, 수십만명이 모여서 뭔가를 외치는데, 정치인이 거길 안 가보는 게 말이 되나요? 무슨 ‘정치적인 의도가 있어서 거기를 가봐야겠다’ 이런 차원이 아니에요.


-참석해보니 집회의 주체가 시민들이던가요? 정치적 구호와 피켓이 등장했다던데?

▲행사를 준비한 단체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그 집회의 주체는 시민들이 맞습니다.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서 집회를 한 거니까요. 준비하는 것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에요. 누가 그것을 들고 누가 그것을 주장하느냐가 핵심이죠. 무슨 인터넷에 떠도는 얘기가 수도 없이 나오는데, 그건 본질에서 벗어난 것이라 생각해요. 

이태원 참사 정치 이용 비판? 
“오히려 안 가는 게 더 이상”

-왜 그렇게 많은 시민이 모였다고 생각하시나요?

▲이렇게 시민들이 대규모로 몰린 것에는 세 가지 이유가 있다고 생각해요. 첫째는 진상규명, 둘째는 사과 요구, 셋째는 책임자 처벌이죠. 우선 사람들이 진상을 몰라요. 왜 희생 됐는지, 누가 희생됐는지, 이걸 밝혀내라는 거에요. 이것이 밝혀지면 이제 유족들에게 사죄해야겠죠.

희생자와 유족들에게 ‘이러이러해서 잘못했다. 미안하다’라고 해야 하는 거에요. 그런데 이 사죄가 책임과 연관돼요. 책임자를 찾아내고 처벌해야죠. 시민들이 이 세 가지를 요구하러 집회에 나오고 계신 거예요.

-현장 연설 중 참사를 ‘관재’라고 표현한 부분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미국 <뉴욕타임스> 표현에 따르면 ‘Official Disaster’라 불리기도 하고 ‘Governmental Disaster’라고 불리기도 했더라고요. 정부 책임을 강조하는 거죠. 정부가 제대로 대응했으면 일어나지 않았을 참사라는 소리입니다. ‘관재’가 벼슬 ‘관’자에 재앙 ‘재’자를 쓰잖아요?

그러니까 ‘책임이 국가에 있다’고 표현하는 겁니다. 우리가 흔히 얘기하잖아요. 시스템이 문제가 아니라 사람이 잘못해서 일어난 것이라고. 이태원 참사는 자연재해 같은 불가항력적인 게 아니었어요. 광장히 사회적인 성격의 재난이죠. 행정 대참사를 표현하기 위해 관재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사람들이 잘못해서 일어난 것일까요?


▲압사사고에 대한 대책이 매뉴얼로 나와 있어요. 이걸 잘 집행했어야 하는 것이 현 집행기관입니다. 우선 기초 지자체장, 행정기관장 등 정부인력들이 책임을 분명히 져야 할 것입니다. 여러 차례 징후가 있었고, 직접적인 신고까지 있었는데 대응을 못한 거에요. 정부가 조금만 신경을 썼으면 얼마든지 사전에 예방할 수 있었던 참사였어요. 

시민들의 자발적인 집회
“진상규명·사과·처벌 원해”

-희생자 명단 공개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희생자 명단 공개’라는 말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봅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이건 정말 정부가 눈 가리고 아웅하는 억지에요. 명단 공개는 이미 모든 유족이 하고 있어요. 장례식 현장 가보면 명단이 다 있습니다. 제가 장례 현장 여섯 군데쯤 가봤는데요. 명단이 모두 다 공개돼있었어요. 애도를 하려면 내 친구가 희생됐는지, 내 가족이 희생됐는지 알아야 해요.

-일부 언론에서 공개했다가 질타를 받고 있다던데?

▲지난번 어떤 언론에서 명단을 공개했다던데, 그게 공개인가요? 누구인지도 알 수 없는데. 그냥 이름만 공개한 걸로 누가 누군지 어떻게 알까요. 저는 오히려 공개하려면 제대로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누가 누군지 알게끔 공개하고, 추모하는 거죠. 김춘수 시인의 시중에 ‘꽃’이라는 시가 있잖아요. 우리가 그분들을 호명했을 때 그게 비로소 추모가 되고, 이웃이 되고 우리 사회 구성원이 되는 겁니다. 

-공개를 원치 않는 유족도 있습니다

▲물론, 내 가족의 죽음을 알리고 싶지 않는 유족분들은 빼야죠. 그러니까 이런 논의를 해야 한다는 겁니다. 지금 정부는 이런 논의조차 막아서고 있어요. 아예 접근 자체가 잘못된 거죠. 희생자 명단을 어떤 방식으로 어디까지 공개해야 할지 유족분들과 건설적인 협의를 해야하는데 아예 막아서고 있는 게 문제라고 봅니다.


<ingyun@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