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이 띄운' 1000만 탈모시장 현주소

2022.01.10 14:43:13 호수 1357호

머리카락만 난다면…먹고 바르고 두드린다

[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탈모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 이전만 해도 탈모는 남들에게 말하지 못할 고민이었다. 최근 탈밍 아웃(탈모 고민이거나 극복한 경험을 공개하는 행위)을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1000만 인구 탈모 시장이 점점 커지는 추세다. 



탈모인들을 설레게 하는 공약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탈모약에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대선 공약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 민주당은 지난 5일 서울 마포구 민주당 미래당사 ‘블루소다’에서 ‘청년 탈모 비상대책위원회’ 주최 간담회까지 열었다.

뜨거운 반응

언론을 통해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2030세대가 즐겨 이용하는 커뮤니티 사이트 디씨인사이드 ‘탈모 갤러리’를 중심으로 반응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재명을 뽑지 않고 심는다’는 밈이 빠르게 확산했다. 민주당도 온라인소통본부를 중심으로 여론을 공유하며 기민하게 대응했다. 

이 후보가 출연해 머리를 만지며 “이재명은 심는 겁니다”라고 말하는 ‘디씨 헌정 영상’을 당일 제작해 온라인 민심에 즉각적으로 반응했다. 

온라인소통본부장인 김남국 의원은 탈모 갤러리에 직접 글을 올리며 정책 의견 수렴에 나섰고 김원이·박주민 의원 등 공약 지지 의사를 밝히는 민주당 의원들의 이른바 ‘모’해성사도 이어졌다. 


선대위 정책본부 관계자는 “디씨인사이드·에펨코리아 등을 매일 분석하는 팀이 따로 있어서 여론이 어떤지, 뭘 필요로 하는지 정밀 분석해서 보고서를 올린다. 이런 분석이 있었기에 곧바로 온라인 여론에 대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탈모 치료는 모발 이식, 복용약, 바르는 약, 두피 관리 샴푸 등으로 크게 분류된다. 바르거나 복용하는 약물치료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한계가 있다. 탈모치료를 위해 대다수 사람은 안드로겐(5α 환원효소)을 활성화하는 피나스테라이드를 복용하거나 바르는 약물인 미녹시딜을 사용한다. 

모발 이식 또한 탈모 진행을 막지만 기존 모발의 성장을 위해 시술 후에도 피나스테라이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이렇게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인 이유로 약물 또는 모발이식을 적용하기 힘든 탈모인을 겨냥해 2008년부터 탈모샴푸가 우후죽순처럼 출시되고 있다. 

2008년부터 탈모샴푸 출시
20·30대 여성 큰손 고객

최근 탈모 시장은 점점 젊어지고 있다. 해당 업계에 따르면 국내 탈모 시장은 규모는 4조원 대다. 탈모샴푸 시장은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8000억원대로 추산된다. 국내 탈모 인구는 1000만명에 이른다. 과거 탈모는 중년·노년층한테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고 있었다.

유전적인 요인으로 나이가 들면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으로 인식돼왔지만 최근 들어 탈모를 마주한 나이대가 점점 젊어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탈모 진료를 받은 환자는 23만4780명. 이 중 20~30대가 10만2812명으로 44%를 차지했다. 취업난과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젊은 층에도 탈모를 고민하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른바 ‘영(young) 탈모’ 증가 현상이다. 

CJ 올리브영에 따르면 탈모 관련 제품 매출도 매년 40%씩 치솟고 있다. 최근 추세로만 보면 20대 여성 고객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30대 여성과 20대 남성 구매 연령층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젊은 탈모 환자가 늘자 탈모샴푸 모델부터 젊어졌다. 국내 탈모샴푸 시장점유율 1위인 TS트릴리온은 가수 지드래곤을 모델로 내세웠다. 축구선수 손흥민, 전 피겨스케이팅 선수 김연아에 이어 30대를 잇달아 모델로 발탁했다.

애경산업은 탈모샴푸 브랜드 ‘동의홍삼’ 모델로 가수 수지를, LG생활건강은 ‘엘라스틴’ 탈모 케어 제품 모델로 배우 전지현을 기용했다.


여기에다 탈모샴푸의 향도 달라졌다. 한방 향이나 남성 화장품 스킨 향에서 탈피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의 ‘닥터그루트’는 명품 향료 제조사로부터 천연 아로마블렌딩을 공급받아 명품 향수 향을 구현했다. 탈모 방지 기능성 샴푸에 갓 익은 배, 프리지아 꽃, 라임바질, 만다린 향 등을 첨가한 게 특징이다.

2017년 출시 이후 4년 만에 누적 판매량 1300만개를 돌파했다.

샴푸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제약업계에서도 탈모 시장을 노리는 모양새다. 국내 탈모약 시장은 약 13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피나스테라이드 성분 의약품이 1000억원에 이른다. 먹는 치료제가 아닌 바르는 외용제 미녹시딜 의약품은 100억원 규모다.

연 100억원 매출을 올리고 있는 프로페시아 제네릭 JW신약의 ‘모나드’를 포함해 한미약품, 동아ST, 동국제약, 종근당, 유유제약, 휴온스, 현대약품, 하나제약, 동구바이오제약, HK이노엔, 셀트리온제약 등에서 출시하고 있다. 

꾸준한 성장이 전망되는 만큼 국내에서도 부작용이 적은 탈모치료 신약을 개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대웅제약은 탈모치료 장기 지속형 주사제를 개발하고 있다. 1개월 또는 최대 3개월에 한 번만 맞아도 되도록 개발에 성공하면 매일 약을 먹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다. JW중외제약은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과 함께 탈모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들 제품을 소비자가 한 달간 복용하는 데 각각 5만~6만원, 3만~4만원이 든다. 

셀프 처방

제약업계 관계자는 “예전에는 의사가 처방하는 대로 약을 타서 먹는 탈모 환자가 많았다면 요즘에는 본인이 직접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검색해보고 선택한 약을 처방해 달라고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며 “부작용이 혹시 있더라도 보다 강력한 효과를 원하는 환자가 많아지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9do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