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 1팀] 김서정 기자 = 대한민국의 기성세대는 ‘공존’ 문화가 익숙하다. 서러운 ‘꼰대’로 이뤄진 그들은 여전히 공존 속 안정감을 느낀다. 반면 코로나19로 단체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MZ세대들은 대면이 불편하다.
2년 전 한양대학교에 입학한 대학생 A씨는 줌(zoom)을 통해 수업에 참석하고 있다. 과제 역시 온라인으로 제출한다. 코로나19가 불어닥친 이후로 입학 후 축제와 MT, 동아리 행사 등 모든 공식 일정도 취소됐다. 그는 현재 같은 학과 친구들의 얼굴도 모른 채 졸업 준비를 시작했다. 경영학 전공인 그는 금융권 입성을 목표로 하지만, 막상 사람을 대면하는 것에 대한 막연한 공포심이 생긴 지 오래다.
친구 몰라
대학 입학과 동시에 코로나19 확진을 막으려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 수업’의 장기화를 겪은 이들을 ‘코로나 대학생’으로 일컫는다. 단체생활을 중시하는 기존 세대와는 달리 이들은 동기, 선·후배를 비대면으로 보는 게 익숙하다. 학창 시절 꿈꾸던 ‘캠퍼스 라이프’는 아직도 꿈일 뿐이다.
이러한 사태가 지속되면서 사회관계 형성과 문화 체득 기회가 박탈되고, 향후 새로운 세대격차 문제가 초래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연세대학교 서울캠퍼스에 재학 중인 대학교 3학년 B씨는 음악을 전공한다. 그는 코로나19 사태가 일어나기 전이 별로 그립지 않다. 동기, 선후배와 어울리는 단체생활로 지장받던 자기계발을 할 시간이 더 많아졌기 때문이다.
그는 매일 혼자 연습실에 가고, 저녁엔 좋아하는 오페라 영상을 보며 하루를 마무리한다. 불편하고 과음하는 사람들과 술자리를 하기보다는 음악에 빠져 홀짝이는 맥주 한 캔이 주는 평화를 계속 이어나가고 싶다.
일각에선 속칭 ‘코로나 대학생’이 사회에 나왔을 때 생길 세대 간 격차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비대면 수업으로 관계 형성과 사회문화 체득 기회를 박탈당한 이들이 사회로 진출할 경우 새로운 사회문제가 대두될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전 대학가 풍경은 지금과 사뭇 달랐다. ‘MT 성지’인 대성리로 가는 ITX청춘 열차는 설레는 마음이 가득한 대학생으로 붐볐다. 대학가는 선·후배, 동기가 모여 술잔을 부딪히는 소리가 밤낮 없이 이어졌다.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문화를 접하며 자연스레 ‘성인’의 사회문화를 배울 수 있던 것이 ‘대학생활’이었다.
코로나가 불러온 관계절벽
공존 문화 완전히 사라지나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이어진 비대면 기조는 모든 것을 바꿔놨다. 지난해 입학해 이제 곧 3학년을 앞두고 있지만 대학 캠퍼스가 어떻게 생겼는지조차 모르는 이가 많다.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고 첫 새내기가 된 20학번들은 비대면 수업으로 인생에 가장 중요하고 한 번 뿐인 기회를 박탈당했다고 입을 모은다.
군 복무 중 입시를 준비해 꿈꾸던 대학에 입학한 C씨는 “늦은 나이에 입학한 만큼 내년 조기졸업을 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이러다가는 대학가 한 번 못 가보고 졸업하게 생겼다”며 “새로운 사람과 교류하고 새로운 환경을 접한 게 언젠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 이대로 사회에 나가서 적응을 잘 할 수 있을까 걱정이 많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사립대 교수는 지난 1학기 기말고사 때 처음으로 학생들을 만나 큰 충격을 받았다. 학생들이 제출한 답안지에 교수 이름을 적는 칸을 아예 비워둔 학생들이 절반가량이나 됐던 것이다.
그는 “주변 교수들에게 말하니 이번 학기에 교수 이름을 아예 틀리게 적는 학생도 많다면서 제대로 모르면 아예 빈칸으로 남겨두는 게 배려일 것이란 얘기를 들었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재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속칭 ‘코로나 대학생’으로 지칭되는 20대 초반 대학생들이 지속적 불안감을 느끼며 ‘비대면 수업’ 등으로 폐쇄된 사회관계 속에서 이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정서적 교류 축소는 곧 우울감, 분노 등으로 표출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들이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진출하게 될 때 생길 문제가 우려된다. ‘대학생활’은 실수해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마지막 시기”라며 “제때 성인으로서 사회문제를 체득하지 못하면 기존 세대들과 잦은 갈등을 빚을 텐데 정서적 불안정성이 큰 코로나 대학생 세대가 이를 현명히 헤쳐 나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덧붙였다.
실제 우울함을 호소하는 대학생도 대폭 증가했다. 대학생 익명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이 지난 8월16일부터 같은 달 25일까지 대학생 376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1년 1학기 대학생 비대면 수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우울감이나 정신건강 문제가 걱정돼 관련 정보를 검색하거나 자가진단을 해봤다’는 응답이 30.9%에 달했다.
7.2%는 ‘전문가의 상담 또는 치료를 받았다’은 것으로 조사됐다.
너도나도 우울감 호소
대면 확대 전망은 글쎄
지난달 2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찬민 의원이 분석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연도별 연령대별 우울증 환자 현황’에 따르면 늘어난 우울증 환자 중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대는 20대였다. 2016년 6만4497명에서 지난해 14만6977명으로 2.28배 많아졌다.
이에 정부도 대책을 내놓기 시작했다. 교육부는 지난 2월 비대면 수업 지속으로 대학생들이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이른바 ‘코로나 우울(코로나 블루)’ 현상이 확산되자 대학생들을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대학생 마음건강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은 ‘모든 대학에 학생 상담센터 설치’와 ‘대학생 마음 건강 지원 관련 정책을 논의하기 위한 위원회 운영’ ‘대학 평가에 학생 마음 건강 지원 현황 반영’ 등이다.
지난달 24일에는 코로나19로 인한 학생들의 심리·정서 회복을 위해 정신건강 전문가 맞춤형 의료서비스 등을 강화해 지원한다고 밝혔다. 서비스는 코로나19로 인한 우울, 불안 등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심리·정서 회복을 위한 치료비를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보다 본질적인 타개책을 마련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성동구 소재의 한 정신건강 전문의는 “이미 부분적으로 대면 강의가 실시되고 있다”며 “하루 빨리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면서 대면 수업과 사회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사회에선?
현재 교육부는 대학에 전 국민 백신 접종률 70% 달성에 따른 대면 수업 확대 권고를 내렸다. 이에 각 대학은 대면 수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는 이달부터 대면 수업을 점진적 이행하고 오는 18일부터 대학별 가용 자원 범위 내 대면 수업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