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NET세상> 사람 사는 반지하 설왕설래

2020.02.17 10:24:51 호수 1258호

“땅 밑에서 살고 있다”

[일요시사 취재2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 주는 사람 사는 반지하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 영화 기생충 스틸컷


외신들이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에 등장하는 ‘반지하’에 각별한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BBC는 반지하를 ‘세미-베이스먼트(semi-basement)’ 혹은 우리말을 그대로 옮긴 ‘banjiha’로 표기하면서 실제 반지하서 사는 서울 시민들을 직접 인터뷰했다. 

외신들 관심

BBC는 햇볕이 잘 들어오지 않아 식물도 살기 힘든 서울 반지하서 수많은 사람들이 열심히 일하고, 더 나은 미래를 꿈꾸며 살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의 높은 주택 가격 때문에 반지하집은 가난한 이들에게는 그나마 경제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곳이라는 것이다.  

반지하집에 살고 있는 오모씨는 BBC와의 인터뷰서 “돈을 절약하기 위해 이곳을 택했다. 실제로 많이 절약했는데 사람들은 나를 동정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서 사람들은 좋은 차와 좋은 집을 중요시한다. 반지하는 가난의 상징”이라고 언급했다. 20대 사진작가인 박모씨도 반지하서 산다. BBC는 그곳을 여자친구인 심모씨와 예쁘게 개조한 다음 인터넷에 올려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고 전했다. 

<아사히신문>도 서울의 반지하집을 르포 기사로 다뤘다. 신문은 영화 <기생충>이 서울의 반지하 삶을 반영하면서 빈부격차 문제를 다뤘다고 지적했다. 80대 노인 등 가난한 노년층이 반지하에 산다고도 했다. 최근에는 젊은층도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한국 정부가 과거 북한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신축 시 지하실을 만들게 했다고 전했다. 이후 주택난이 심화되자 이곳이 거주지로 변경돼 사용됐고, 여기서 반지하집이 나오게 됐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반지하집은 반은 지상에, 반은 지하에 위치하고 있는 주거공간이다. 1970년 정부가 건축법을 개정해 전시에 방공호 또는 진지 등 군사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물을 새로 지을 때 지하실을 의무적으로 만들도록 했다.

<기생충> 속 반지하 조명 
가난·빈부격차의 상징

처음엔 창고 용도 등으로만 사용됐고 사람이 거주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급격한 도시화와 서울 지역의 인구집중으로 지방서 상경한 가난한 사람들이 지하에 세 들어 사는 경우가 생겨났다. 서울의 급격한 팽창에 비례한 충분한 주택공급 여력이 없었던 정부는 이를 묵인했고, 현재까지 월세가 저렴해 저소득층 수요가 많다.

사실 <기생충>의 반지하집은 세트다. 고양 아쿠아스튜디오서 기택네 반지하 집과 그가 살고 있는 동네 전체를 정교하게 만들어 촬영이 진행됐다. 최근 고양시는 칸, 아카데미서 주목한 반지하집 세트를 복원하기로 했다.

그렇다면 외신 반응을 접한 네티즌 생각은 어떨까.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기생충은 허구가 아니라 현실임’<chsy****> ‘반지하가 그런 역사적 배경이 있는 줄은 몰랐네’<enor****> ‘우리나라의 슬픈 자화상’<ko22****> ‘가난한 사람이 도덕적으로 선하다는 건 착각이라는 언더도그마’<fore****>
 

▲ 영화 집으로 가는 길 스틸컷

‘이 영화서 가족이 출세하기 위해 하는 행동들이 너무 극단적이지 않은가. 신선한 충격이었다. 봉준호 감독의 통찰력, 예리함은 상 쓸어갈 만했다’<illu****> ‘반지하는 사람이 살 데가 아니다’<drea****> ‘반지하 주택은 사라져야 한다. 건강 해치는 구조로…’<hong****>

방공호 등 군사적 목적
가난한 이들이 세 들어

‘스포츠, 영화, K-pop 등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찬사를 받는데 유독 한국의 정부와 정치는 기득의 고리 안에서 썩은 우물로 남고 있다’<hawk****> ‘나도 신혼 첫 생활을 반지하서 시작했다. 햇빛 잘 들고 통풍 잘 되는 비교적 괜찮은 반지하…거기서 아들 딸 나아 길렀고…시가 처가 어디서도 10원짜리 하나 도움 없이 시작했었다. 반지하는 추억이다’<rho9****>


‘어느 나라나 빈곤층은 있으니 공감한 것임. 근데 세계마다 그 기준이 다를 뿐이다. 서울에선 반지하에 산다고 하면 그런 인식을 갖는 건 사실이니깐’<kar3****> ‘런던, 암스텔담, 뉴욕 어디든 반지하 건축 공간은 있어요. 서로 보는 시각과 활용도는 다르겠지요’<sdd1****>

‘솔직히 어설프다 느꼈다. 식구 넷이 각자 벌어서 월세 분담하면 반지하는 진작 벗어나고도 남지∼ 피자 박스 접는 게 수입의 전부란 건 너무 무기력하고 게으른 거 아닌가?’<asca****>

‘누구나 햇빛 들어오는 집에서 살고 싶어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집값 상승 및 빈부격차가 심한 우리나라, 정부에서 돌이켜 볼 이유가 있다. 반지하에서 생활하고 있는 삶은 우리 현실과 너무나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krkr****> ‘현실은 더 차갑고 냉대하다’<qpje****>

다른 나라는?

‘미국이나 유럽 경우는 주택 수준이 더 낮아지진 않으니 대신 홈리스들이 되는 거죠. 우리나라가 홈리스가 적은 건 주택 질이 굉장히 떨어지는 곳이라도 어쨌든 들어가 살 수 있어서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빈곤층의 주택 질이 낮다고 욕할 거 없고, 홈리스 적다고 더 낫다고 할 것도 없습니다. 어느 나라든 각자의 고충이 있는 상황으로 보이네요’<like****>
 

<pmw@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반지하 허가는?

일반 주택은 5층까지 허가가 나지 않는다. 반지하는 지하로 분류되기 때문에 반지하를 포함하면 총 5개 층을 만들 수 있다. 본래 반지하 방식으로 주거용 건물을 짓는 것은 불법이었으나 1984년 지하층 규정이 완화되면서 반지하 주택이 급증했다. 그러면서 집주인은 월세를 조금이나마 더 받을 수 있게 됐다.

2010년 서울시는 “장기적으로 반지하 비율을 줄여나갈 계획”이라며 신규 건축물에 대해 반지하 신축 금지 정책을 내놨던 바 있다. <민>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