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세 꺾인 한국맥널티, 왜?

2017.11.22 10:32:47 호수 1141호

정권 바뀌고 제자리걸음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한국맥널티가 성장 가능성에 대한 의문부호를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뛰던 주가는 어느새 원점으로 회귀했고 성장 모멘텀이 사라졌다는 평가가 줄을 잇고 있다. 수장의 행보가 대통령 교체와 맞물려 회사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1997년 설립된 한국맥널티는 커피사업과 제약사업을 영위하는 벤처기업이다. 이 회사가 대중에 본격적으로 각인된 건 불과 2년 전이다. 이 무렵 한국맥널티는 코스닥에 상장됐고 곧바로 화제의 중심에 섰다. 

불과 2년 만에…

2015년 12월23일 코스닥 상장과 함께 한국맥널티 주가는 크게 뛰어올랐다. 상장 18거래일 만에 3배가량 급등했고 지난해 1월22일 3만850원으로 최고점을 찍었다. 상장 첫날 종가 1만3250원에 비해선 2배 이상 오른 가격이다. 공모가 8000원 대비 4배 가까운 폭등이었다. 

증권가에선 중국 시장 진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판단했다. 한국맥널티가 중국 콘텐츠업체 위마오와 업무협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것이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는 분석이 이어졌다. 

그러나 주가 고공행진은 오래가지 않았다. 상장 초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던 주가는 하향세를 타더니 어느새 원점으로 회귀했다. 지난 16일 종가 기준 한국맥널티 주가는 1만3500원으로 상장 첫날 종가 1만3250원과 별반 차이가 없다. 


지난해 실적이 발표될 때까지만 해도 한국맥널티는 순항하는 듯 보였다. 2015년 271억원이던 매출은 지난해 325억원으로 올랐고 영업이익은 27억원에서 37억원으로, 당기순이익은 23억원에서 27억원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여기까지였다. 올 들어 성장세가 한풀 꺾였다. 올해 반기보고서 분석 결과 영업이익은 13억원에 불과했다. 전년 동기는 20억원이었다. 순이익 역시 소폭 감소했고 매출만 겨우 자리보전하는 데 성공했을 뿐이다. 

거듭된 논란이 성장에 발목을 잡은 모양새다. 

최근 한국맥널티는 블루마운틴이라는 명칭이 들어간 제품에 원두 함량 문제로 홍역을 치렀다.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블렌드’ ‘맥널티 블루마운틴 스타일’이란 이름으로 판매되는 제품의 경우 블루마운틴 원두 함량이 0.5%에 불과한 탓이다.

한국맥널티 측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맥널티 관계자는 “블루마운틴이이 워낙 고가여서 적정한 가격에 공급하기는 현실상 불가능하고 최대한 비슷한 맛을 내기 위한 배합비율을 택한 것”이라며 “소비자를 현혹하고 부당한 이익을 취하려는 의도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의약품 관련 소송도 회사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으로 되돌아왔다. 

한국맥널티는 커피 사업과 함께 의약품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2월 삼천당제약, 안국약품, 유니온제약, 인트로팜텍, 풍림무약, 한국휴텍스제약, 한국맥널티 등이 태준제약의 큐레틴정(성분명 빌베리건조엑스) 조성물특허를 침해했다는 판결을 내렸다.

불붙었던 주가…지금은?
대표에 붙은 ‘친박’ 꼬리표 

이런 가운데 최근 한국맥널티의 지지부진한 행보를 이은정 한국맥널티 대표와 연결짓는 시선이 부쩍 많아졌다. 이 대표는 한국맥널티 지분 35.18%(175만주)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2대주주는 외국인으로 알려진 고한준씨(33.6%, 1,67만1500주)다. 


이 대표와 고씨는 2014년까지만 해도 회사 지분을 정확히 50%씩 보유했지만 한국맥널티가 상장하는 과정서 지분율이 희석됐다. 그럼에도 이 대표의 경영권은 굳건하다.  

이 대표에게 여성 벤처사업가 출신 ‘친박’이라는 독특한 이력이 따라붙는다. 이 대표는 박근혜정부 때 여성벤처협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미국, 중국 등 상당수 해외 순방 시 경제사절단으로 포함돼 박근혜 전 대통령 수혜주로 화제도 되기도 했다. 
 

2015년에 한국맥널티가 상장할 당시 한국거래소가 여성 CEO 기업의 상장을 독려한 지 2년만에 일군 첫 성과로 이목을 끌기도 했다. 

더욱이 이 대표는 지난해 8월 제16기 민주평통 청년분과위원장을 맡으면서 “민주평통 의장이신 박근혜 대통령께서 단호하고 의연한 모습으로 북한 문제를 현명하게 풀어나가고 있는 상황서 청년분과위원장이라는 중책을 맡게 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히기도 했다.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가 발생하기 직전 일이다. 

끈 떨어졌나

증권업계 관계자는 “한국맥널티는 상장 이전 박근혜정부 때 정책 등의 도움으로 코스닥 상장에 성공했다”며 “다만 상장 후 대표의 외부활동 집중을 비롯한 복합적인 여건이 맞물려 경영 성과는 미비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한국맥널티-다단계 애터미, 어떤 관계?

한국맥널티는 다단계업체인 애터미에 매출의 상당부분을 의존하고 있다. 


2014년 9월부터 시작된 애터미와 거래 관계는 꽤나 돈독하다. 2가지 품목만 거래하면서도 한국맥널티 전체 커피매출의 25%가 애터미서 파생되는 구조다. 이렇게 되자 애터미에 대한 한국맥널티의 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지적도 나온다.

애터미와 협력 관계는 지분 구조에서도 드러난다. 한국맥널티 3대주주는 박한길 애터미 회장의 아들이자 애터미 지분 25%의 소유주인 박한결씨다. 한결씨의 한국맥널티 지분율은 2.51%(12만5000주)다. 또한 4대주주인 애터미는 지분율 1.26%(6만2500주)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맥널티에게 애터미는 최대 거래처이자 투자자인 셈이다. <주>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