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경제1팀] '기업은 망해도 기업주는 산다.'
잘 나가던 기업이 망했다는 소식은 심심찮게 들려온다. 그런데 망한 재벌이 '깡통'을 찼다는 소식은 들어본 적이 없다. IMF 이후 내로라하는 대기업들이 줄줄이 공중분해 됐지만 해당 기업에서 중책을 맡았던 경영진과 그 가족들은 멀쩡히 잘 살고 있다. 미리 '주머니'를 채워놔서일까. <일요시사>가 연속기획으로 잘 먹고 잘 살고 있는 '망한 기업' 수뇌부들의 현주소를 조명해봤다.
1971년 12월25일 오전 9시30분경 서울 충무로 '대연각호텔 화재 사건'. 크리스마스 아침에 일어난 이 불은 166명 사망, 68명 부상의 인명피해를 일으킨 세계 호텔 화재 사상 가장 큰 화재이자 대참사였다. 이날 투숙객들과 종업원들은 불길을 피해 서쪽, 북쪽의 각 층 창가에 매달려 구조를 요청하는 등 아비규환이었고 정부는 이들의 구조를 위해 육군항공대 및 공군 소속 헬기 5대와 미군 헬기 8대, 경찰 헬기 2개 등 항공기까지 동원했으나 강한 바람으로 불과 8명을 구조하는데 그쳤다. 창문으로 뛰어내리다가 사망하거나 방에 갇힌 채 타 죽은 시체도 다수 발견됐다.
경찰청장 출신
거의 폐허가 된 이 대연각호텔을 인수해 떼돈을 번 사람이 바로 고 이강학 고려증권 회장이다. 그의 인생은 한편의 드라마다. 35세의 젊은 나이에 대한민국 치안총수 자리에 올랐으나 3·15부정선거를 주도한 혐의로 사형선고를 받았다. 5·16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 의해 무기로 감형되어 불과 4년 만에 감옥에서 나왔다. 이에 따라 이 회장이 일본대학 출신이라 일본 육사출신 박정희의 덕을 본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이후 이 회장은 동대문시장에서 장사를 배웠으며 원양어업과 부동산 사업의 성공으로 돈을 끌어 모았다. 1966년 해외산업이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세계 각국으로부터 참치를 잡아 일본으로 전량을 수출했다.
사형선고 이후 그가 세상에 다시 알려지기 시작한 때는 대화재를 입은 대연각호텔을 인수하면서부터다. 이때부터 이 회장은 명동의 부동산을 기반으로 1978년 대아증권(고려증권 전신)을 인수하고 83년에는 반도투금(고려종금)을 설립했다. 또 동광약품과 명동 계양빌딩 등을 잇따라 인수해 세인들을 놀라게 했다.
그러나 그는 외환위기 직후인 98년 고려종금과 고려증권, 고려생명 등 주축기업 3인방이 지급여력 부족으로 영업정지 명령을 받으면서 몰락했다. 동광제약 역시 98년 부도를 맞고 99년 화의에 들어갔다가 2006년 졸업한 뒤 경영이 정상화됐다.
이 회장은 이후 2005년 3월 말까지 꼬박꼬박 대연각빌딩 20층 자신의 집무실로 출근하며 재기의 의지를 불태웠다. 외부활동은 줄이고 역대 경찰청장 모임에만 참석했다. 그러나 그의 꿈은 오래가지 못했다. 그는 지난 2006년 5월 숙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대화재' 대연각건물 인수해 승승장구
IMF 직후 몰락…임대업으로 명맥 유지
이 회장과 그의 아들 이창재 동광제약 회장은 부도를 막기 위해 서울 서초동 소재 고려관광차고와 200만평의 목장 등 소유부동산 7건을 내놨다. 회사는 망해도 기업주는 망하지 않는다는 관행을 뒤집는 신선한 충격이라는 호평을 받았다. 회사가 망하는 상황에서 숨겨논 재산을 보전하기 위해 힘쓰는 여타 오너 일가와는 다른 행동이라는 것. 그럼에도 회사는 몰락했고 고려증권 오너 일가는 잘 살고 있다.
이 회장을 있게 한 대연각빌딩은 현재 다수의 기업이 입주한 오피스 빌딩으로 이용되고 있다. 신한은행, 외환은행, 현대해상, 미래에셋생명 등 기업 지점과 대형 휘트니스센터, 그리고 다수의 병·의원들이 입주해 있다.
대연각빌딩은 연면적이 3만4562m²(1만455평)에 달하고 건물이 서있는 중구 충무로1가 25-5의 면적은 1805.7m²에 달하는 대형 빌딩이다. 인근 토지시세는 3.3m²(1평) 당 3억원대. 이를 고려하면 땅값만 1500억원에 이른다.
이 빌딩의 현재 소유주는 고려통상. 1969년 설립된 고려통상은 부동산 임대업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본사는 대연각빌딩에 위치해 있으며 부산 중구 남포동에 임대 빌딩과 제주에 목장을 소유하고 있다.
고려통상의 지분 80.28%는 동광제약이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동광제약의 지분 100%는 고려통상과 특수관계인이 보유하고 있다. 순환출자구조다. 동광제약과 고려통상은 각각 유병길 사장과 최상록 사장 등 전문경영인이 운영하고 있으나 실소유주는 이 회장의 아들 이창재 동광제약 회장이다.
기막힌 인생사
이창재 회장은 70년대 중반부터 아버지 이 회장의 사업에 힘을 보탰다. 78년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졸업하고 그해 고려통상 기획담당 이사로 경영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후 동광제약 부사장, 고려통상 사장, 반도투자금융 회장, 고려증권 회장을 역임한 후 동광제약 회장으로 취임했다. 95년부터 97년까지는 마샬군도 명예총영사를 맡기도 했다.
이창재 회장은 이 회장이 사망한 해인 2006년 11월 국세청의 고액체납자 공개를 통해 300억원대의 국세 체납사실이 세상에 알려졌다. 이 회장이 고려통상 주식을 넘기는 과정에서 증여세 등이 문제가 된 것인데 이 체납사실은 몇 년간 이창재 회장을 따라다녔다.
그러나 현재 이창재 회장은 체납세금을 거의 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로 대연각빌딩을 통해서다. 고려통상은 대연각빌딩을 운영해 지난해 97억원의 매출액과 2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그의 부인 예주희씨는 동광제약 고문과 예술의전당 후원회 이사를 맡고 있다. 동광제약은 지난해 783억원의 매출액과 3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한종해 기자<han1028@ilyosisa.co.kr>
고려증권은?
▲1966년 해외산업 설립
▲1976년 대연각호텔(현 대연각빌딩) 인수
▲1978년 대아증권(고려증권 전신), 동광제약 인수, 반도축산·중앙물산·반도개발 설립
▲1983년 반도투금(고려종금 전신) 설립
▲1998년 고려증권, 고려종금, 고려생명 영업정지 및 해체
▲1999년 동광제약 화의 신청
▲2006년 동광제약 경영 정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