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보다 못한' 막노동 일당 대공개

2016.02.22 10:41:42 호수 0호

물가 뛰는데 몇 년째 그대로

[일요시사 취재1팀] 신승훈 기자 = ‘노가다’의 사전적 의미는 ‘행동과 성질이 거칠고 불량한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과 ‘막일꾼’이라는 두 가지로 나뉜다. 사람들은 노가다라고 하면 험하고 힘든 일을 하는 사람으로 치부하거나 무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들도 엄연한 한 가정의 가장이자 산업역군으로 우리사회에 없어서는 안 될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일요시사>가 이들의 임금상황과 현실적 문제를 추적해봤다.



2016년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보통인부의 일당은 9만4338원이다. 10년 전인 2006년 5만7820원보다 63%가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동안 최저임금은 3100원에서 6030원으로 두 배 가까이 뛰어올랐다. 건설일용직 근로자의 일당이 단순 수치상으로는 63%가 올랐지만 매해 2∼3%가량 오르는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크게 오르지 않은 셈이다.

2월까지 일 없다

먼저 건설일용직근로자 임금의 실거래가를 직종별로 살펴봤다. 고광춘 경기도민간고용서비스단체 회장 겸 직업소개소장은 “보통인부의 경우 평균적으로 10만원을 받는다”며 “우리말로 잡부라고 하는데 보조, 심부름, 청소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고 말했다. 건설협회가 발표한 9만4333원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소개소의 실거래가에 따르면 시멘트, 회반죽 등 미장재료를 이용해 구조물의 내외표면에 바름 작업을 하는 미장공은 16만원에서 17만원의 가격대를 형성했다. 벽돌, 치장벽돌 및 블록을 쌓기 및 해체하는 조적공의 경우 16만원의 일당을 받는다.

높은 곳의 임시 비계에서 각종 작업에 종사하는 비계공의 경우 15만원의 임금을 받는다. 철근의 절단, 가공, 조립, 해체 작업에 종사하는 철근공은 16만원에서 17만원의 임금이 책정된다고 전했다.


구조물의 바닥, 벽체, 지붕 등의 누수방지작업을 하는 방수공의 경우 15만원에서 16만원의 임금을 받는다. 목공의 경우 형틀목공라 불리는 외장목공와 건축목공라 불리는 내장목공로 나뉜다. 각각 17만원, 18만원의 임금을 받는다고 전했다.

석재를 설치 또는 붙이거나 일반 쌓기로 구조물을 축조하는 석공의 경우 20만원을 받는다. 건물 등에서 목재, 철재, 샷시 등으로 된 창 및 문짝을 제작 또는 설치하는 창호공의 경우도 20만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로포장 등 공사에 있어서 표면처리를 하는 포장공은 10만원을 받는다.

직종·지역·연령별로 금액 차이
9만∼17만원…동절기 실업난 심각

건설협회가 발표한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미장공 14만9091원, 조적공 13만5009원, 비계공 16만7860원, 철근공 15만4424원, 방수공 11만271원, 형틀목공 16만431원, 건축목공 14만8851원, 석공 15만1583원,  창호공 13만9607원, 포장공 13만1508원으로 조사됐다.

실 거래가와 통계치를 비교해보면 실거래가가 적게는 1만∼2만원에서 3만∼4만원까지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의 유무에 따라 보통인부와 확연한 임금차이를 보였다.

실거래가와 통계치의 차이에 대해 고 회장은 “지역별로 금액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며 “지방으로 갈수록 전문 기술을 가진 근로자를 구하기 어려워 임금이 올라간다”고 말했다. 건설근로자의 경우 작업환경이 척박하고 어려운 경우가 많다. 단순 수치를 놓고 보면 최저임금을 적용받는 아르바이트생에 비해 많은 금액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건설근로자공제회가 발표한 ‘2015 건설근로자 종합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월평균 근로일수는 14.9일에 불과하고 1일 평균임금은 12만1000원으로 조사됐다. 전 산업 근로자 평균 20.4일보다 5.5일이나 적은 수치다. 이를 월급으로 계산하면 170만여 원에 해당한다. 이같이 근로일수가 짧은 이유는 일용직 근로자 업무의 특성상 매일 일을 하기에 육체적인 한계와 근로일이 불규칙하기 때문이다.
 

고 회장은 “새벽 5시부터 나와서 8시까지 앉아서 기다리다 일이 없으면 그냥 집으로 돌아간다”며 “새벽같이 나오신 분은 찬 바람만 맞고 집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보면 안타깝다”고 말했다. 기술자들은 보통인부에 비해 많게는 2배부터 1.5배의 임금을 받는다. 하지만 매일 같이 본인의 주 기술 업무만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고 회장은 “자기 전공분야 일이 없을 경우에는 잡부를 뛴다”며 “보통 자기분야에서 일을 하지만 비수기에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잡부라도 하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말했다. 건설현장에서 비수기는 겨울철을 말한다.

기술 있으면 많고 
기술 없으면 적어


근로자공제회에 따르면 월별 평균 근로일수에서 5월이 16.3일로 가장 많고, 1월이 13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절기(12∼2월) 월 평균 근로일수는 13.3일에 그친다. 근로계약 유형별로 임금의 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건설근로자공제회에 따르면 서면계약 12만7000원, 구두계약 11만6000원, 근로계약 미체결 시 11만1000원이다. 이는 서면계약 체결이 임금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풀이된다. 정부는 서면계약서 작성 관행의 정착을 위해 ‘건설근로자 표준근로계약서’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연령별 임금의 차이도 나타났다. 40대 근로자가 가장 높은 12만6000원으로 조사됐고, 50대 12만4000원, 60대 12만2000원, 30대 11만9000원, 70대 11만4000원, 20대 10만9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건설협회에 따르면 작업반장은 평균적으로 11만7612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작업반장의 경우 통계상 보통인부와 임금의 차이는 2만3274원에 불과했지만 근로형태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고 회장은 “작업반장은 원청에 소속된 근로자기 때문에 직업소개소에서 따로 임금을 매길 수는 없다”며 “만약 직업소개소를 통해서 작업반장을 고용하면 월 250만원에서 350만원 정도를 받는다”고 말했다.

이진규 건설근로자공제회 이사장은 “옥외 작업이 대부분인 건설업 특성상 동절기 건설근로자들은 일시적 실업상태에 놓여 생계난이 심각하다”며 “임금보전적 수당 지급, 교육훈련을 통한 기능 향상, 훈련수당 지금 등 생계안정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설움 받는 노동자

건설일용직근로자의 현실에 대해 고 회장은 “일용직 근로자들은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대기업 다니는 사람들은 임금인상 파업을 하고, 비정규직들은 정규직으로 해달라고 요청이라도 할 수 있지만 여기 사람들에게 그것은 그림의 떡”이라고 말했다. 이어 “개인사업자도 아니고 현장에 가면 대접도 못 받는 사람들”이라며 “다 감정이 있고 집에 가면 가장들인데 이분들의 설움을 이해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