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뒷담화> 골초 총수 4인방 '골 때리는 에피소드'

2015.01.19 10:18:11 호수 0호

'때와 장소 안 가리고' 너구리 잡는 회장님

[일요시사 경제팀] 김성수 기자 = 금연이 대세인 요즘 애연가를 고집하는 오너들이 있어 시선을 모은다. 평소 담배를 즐겨 피우는 회장들은 항상 당당하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담배를 꺼내 문다. 거의 대부분의 오너들이 금연한다는 점에서 ‘골초 오너’들은 눈길을 끌 수밖에 없다.

 


연초 화두는 단연 ‘담배’다. 담뱃값이 2000원 더 올라 서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보통 4500원. 웬만한 밥 한 끼 값이다. 돈 때문에라도 담배를 끊어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금연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하루 2갑 줄담배
 
‘삼성, SK, 포스코, 한진, 금호아시아나, 효성, 신세계, 롯데…’
 
이들 대기업의 공통점은 강력한 금연운동을 벌이고 있다는 것이다. 사옥엔 담배 연기가 사라진지 오래. 임직원들의 금연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자발적인 방식에서 인사상 불이익을 주는 강제적인 방법으로 금연을 의무화한 결과다. 담배를 피우는 임직원은 더 이상 성공하기 어려운 시대가 온 셈이다.
 
‘흡연 제로’대기업들의 또 다른 공통점은 오너부터 담배를 끊었다는 점이다. 임직원에게 특명을 내리기 전 오너가 솔선수범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얘기다. 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주요 대기업 오너 10명 중 9명가량이 처음부터 담배를 피우지 않거나 한때 피우다 완전히 금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금연하는 오너가 화제가 됐었다. 지금은 다르다. 재계에 금연 열풍이 확산되고 있어 오히려 여전히 애연가를 고집하는 오너들이 시선을 끌고 있다. 애연 총수들의 대기업들은 별다른 금연 방침 없이 자율적으로 권고하는 수준에서 임직원들의 흡연을 눈감아 주고 있다.
 
 
A회장은 하루에 한두 갑 이상 ‘줄담배’를 피운다. 짬짬이 틈을 내 불을 댕기는 것이 아니라 뭘 하든 상관없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담배를 꺼내 문다. 20∼30분이 걸리는 언론과의 인터뷰 도중 족히 3개비 이상 태우는가 하면 사옥 주변 흡연 공간에도 가끔씩 나타나 직원들에게 “한대 주라”며 담배를 나눠 피우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예의에 벗어난 흡연은 용납하지 않는다. 한 임원회의 때 계열사 사장이 담배를 물자 재떨이를 집어던진 일화는 유명하다. 또 어느 날 신입사원이 A회장에게 멋모르고 담배 연기를 내뿜자 “어디서 어른 앞에서 이런 버릇을 배웠냐”며 따귀를 때렸다는 후문도 들린다.
 
B회장도 평소 담배를 즐겨 피운다. 특히 술자리에선 더하다. 이는 “남자는 술도 마시고, 담배도 피워봐야 한다”는 선대회장의 지론과 무관치 않다.
 
담뱃값 인상 금연열풍 ‘딴나라 얘기’
시간·장소 불문 “거침없이 불 댕겨”
 
B회장은 과거 건강이 좋지 않을 당시 잠시 금연했지만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완치 후 병원에서 퇴원하자마자 담배를 찾았다고 한다. 담배를 워낙 자주 찾다보니 보좌진은 항상 주머니에 담배와 라이터를 갖고 다닌다. B회장이 언제 어디서 손가락을 내밀지 몰라서다. B회장의 담배 사랑에 얽힌 에피소드 한 토막.
 
B회장이 지방 한 사업장에 들렀다. 곳곳을 둘러보던 B회장은 갑자기 담배를 찾았고, 미처 준비 못한 사업장은 난리가 났다. 해당 사업장은 그 뒤로 B회장이 피우는 담배를 365일 구비해 뒀다.
 
하지만 B회장이 또다시 사업장을 방문했을 때에도 똑같은 난리가 났었다. 그동안 B회장의 애용품이 바뀐 탓이다. 어김없이 담배를 찾은 B회장에게 지역 임원이 준비한 담배를 내밀었으나 “이거 뭐야”란 핀잔 아닌 핀잔만 들었다. 이후 그룹 비서실은 B회장이 담배를 바꾸면 각 사업장에 이를 알려 ‘사고(?)’를 미리 방지하고 있다고 한다.
 
C회장도 골초다. 회장실 재떨이에 항상 꽁초가 수북하다는 게 그룹 관계자의 전언이다. 그룹 측은 C회장이 하루 반갑 정도 피운다고 전했지만, 대외용 멘트일 뿐 실제 흡연량은 이보다 훨씬 많다. 
 

C회장과 관련된 흡연 일화도 꽤 있다. 그중 공개석상에서 니코틴 중독을 이기지 못해 망신을 당한 일이 두고두고 회자되고 있다. 장소는 한국 재계를 대표하는 전경련 사옥. C회장은 당시 전경련 회장단 회의에 참석했었다. 여느 때와 달리 회의 분위기는 심각했고, 그만큼 예정된 시간을 넘겼다.
 
 
재계 총수들 사이에서 서열이 낮은 C회장은 흡연 욕구를 주체하지 못해 몰래 회의실을 빠져나왔다. 자리를 오래 비울 수 없었던 C회장은 복도 한편에 마련된 총수 전용 화장실로 들어가 문을 걸어 잠그고 담배를 피웠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마침 복도를 지나던 관리인이 담배 냄새를 맡고 화장실의 잠긴 문을 두드렸다. “거기서 담배 태우시면 안 됩니다. 빨리 나오세요”란 몇 차례 경고 끝에 나온 C회장은 멋쩍은 웃음을 보이며 연신 “죄송합니다”라고 고개를 숙였다고 한다.

흡연에 얽힌 일화
 
마찬가지로 ‘골초파’였던 D회장은 금연 스토리로 화제가 됐었다. 하루에 담배 한 갑은 우스웠는데, 드디어 금연에 성공했다는 소식이었다. D회장은 담배를 끊고 나서 부쩍 몸이 달라지고 있다는 얘기를 주변에 자랑스럽게 하고 다녔다.
 
하지만 이도 잠시. 최근 이런저런 내외부에 신경 쓸 일들이 많아지자 D회장은 다시 담배를 문 것으로 알려졌다. 이유야 어떻든 금연에 실패한 것이다. 그룹 측은 이 사실이 외부에 알려질까 쉬쉬하고 있다.
 
 
<kimss@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최고의 금연 방법은?
 
직장인들의 금연을 유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일까. 이와 관련해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금연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상학 가톨릭대 성바오로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에 따르면 이 병원 직원 가운데 흡연자 28명과 이들이 소속된 6개 부서에 금연 시 금전적 인센티브를 제공한 결과 흡연자의 3개월 후 금연 성공률이 61%, 6개월 후에는 54%, 1년 뒤에도 50%를 유지했다. 약물치료와 행동보조요법을 함께 실시했을 때 1년 뒤 금연 성공률이 15∼30%, 흡연 폐해 등에 대한 정보만 제공했을 때 1년 뒤 금연 성공률이 5% 내외란 결과와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다. 
 
이 교수팀은 금연 1주일이 지나면 한 사람당 5만원, 1개월 후 5만원, 3개월 후 10만원, 또다시 6개월 후 10만원을 금연 성공비용으로 제시했다. 그 이후에는 일절 금전적 지원이 없었는데도 1년 후 성공률이 50%까지 유지됐다. 
 
원래 담배를 피우지 않던 사람은 인센티브를 받을 기회를 갖지 못하는 등 형평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보상금은 개인이 아닌 집단(부서)에 지급했다. 이 교수는 “직장 동료들의 관심과 압력이 작용해 금연 성공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수>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