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커피감정사 스티븐 길

2013.11.19 10:42:13 호수 0호

"한 직업으로 평생 살기엔 아깝죠"

[일요시사=사회팀] 바야흐로 인생 3모작 시대. 한 가지 직업만으로 평생을 살기엔 도전할 일이 정말 많다. 그런 면에서 길성용(42) 한국스페셜티협회 대표는 누구보다 도전적인 삶을 살고 있다.


 



좋은 커피에는 풍부한 맛이 담겨 있다. 한국인들이 즐겨 찾는 믹스 커피처럼 마냥 달기 만한 커피는 좋은 커피라고 할 수 없다. 커피감정사이자 한국스페셜티협회 대표인 길성용씨는 '좋은 커피'처럼 풍부한 인생 경험을 갖고 있다. 좋은 커피를 계속 마셔봐야 그 맛을 아는 것처럼 길씨는 다양한 이력을 통해 인생의 맛을 배웠다.

인생 3모작

길씨는 신문사 기자로 사회에 첫발을 내딛었다. 1998년에는 프로골퍼 박세리 선수의 미국 매니저로 변신했다. 박 선수와 함께 미국 LPGA를 호령했던 길씨는 이후 건설 사업에 뛰어들었다가 지금은 국내 최고의 커피 전문가로 활약하고 있다. 다음은 박 선수가 지난 2007년 본인의 육필일기에 회고한 길씨에 대한 기억이다.

"그는 미국의 한 골프잡지 기자였다. 내가 Q 스쿨 경기를 하고 있을 때 취재를 왔다가 처음 만났다. 내가 매니저를 구하고 있을 때 스티븐(길 대표의 미국 이름)은 '내가 매니저를 해 볼 테니 한 번 맡겨달라'고 말했다. 하루는 '내가 까다롭게 구는데 왜 하루 종일 고생만 하는 이 일을 택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스티븐은 IMG 회장인 마크 맥코맥이 평범한 변호사에서 세계 최고의 매니지먼트사 회장으로 클 수 있었던 이야기를 해주면서 가능성이 있는 선수를 매니지먼트 해야 시장에서 더 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길씨의 매니저 생활은 그리 길지 않았다. 당시 길씨는 박 선수를 따라 미국 곳곳을 다니면서 현지 커피 시장을 눈여겨봤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커피 시장은 마르지 않는 블루 오션이었다. 하지만 길씨는 커피가 아닌 건설 사업에 뛰어들었고, 간혹 사회면 박스기사에 등장했다. 뒤늦게 여유를 찾은 길씨. 그는 2009년 한국에서의 커피 사업을 위해 커피의 맛부터 배워야겠다고 다짐했다.


"제가 교육하고 있는 큐그레이더(Q-Grader)는 커피 품질에 대해 평가하고 등급을 매기는 직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큐그레이더 자격증을 따려 했던 시점엔 국내에 전문가가 딱 1명 있었죠. 그런데 나흘 과정에 300만원이나 할 정도로 교육비가 비쌌어요. 효율도 없었고. 그래서 전 아예 미국 현지로 가서 큐그레이더 과정을 밟았습니다. 다행히 언어의 문제가 없어서 배우는 속도가 빨랐고, 시험 2번 만에 합격했습니다."

이제는 한국의 손꼽히는 커피 전문가가 된 길씨는 세계무대로 진출했다. 동양인 최초의 큐크레이더 감독관, SCAA 미국커피교육 감독자, SCAE 유럽커피교육 감독자, WBC 센서리 국제심사위원, 월드라떼아트 국제심사위원 등 커피와 관련한 거의 모든 경력을 섭렵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에선 카페베네와 같은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의 자문을 해주고 있다.

신문 기자서 박세리 매니저로 LPGA 호령
건설사업 하다 국내 최고 커피전문가로
"비싼 커피보단 좋은 커피"

"전 세계에 큐그레이더가 1900여명 정도 있는데 한국 사람은 400여명입니다. 이중 300여명은 저에게 커피를 배웠던 사람이고요. 카페베네, 던킨도너츠, 스타벅스, 코카콜라 등 내로라한 커피 관련 회사에는 3년 전부터 큐그레이더 교육 과정을 밟은 사람들이 들어가고 있습니다. 요즘은 개인 커피숍을 운영하고 있는 사람들도 큐그레이더 자격증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요."

길씨는 큐그레이더가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성실함을 꼽았다. 길씨에 따르면 오히려 타고난 미각을 가진 사람들이 프로가 되기 더 어렵다고 한다. 이들은 미각적 주관이 뚜렷한 탓에 표준화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 큐그레이더에 걸맞는 미각과 후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은 좋은 것에 익숙해지는 과정이란 설명도 곁들였다.

"주위를 보면 자격증만 따고 끝내는 분들이 있어요. 하지만 미각과 후각은 감각의 영역이기 때문에 훈련을 게을리 하면 그 능력이 떨어집니다. 결국은 좋은 품질의 커피를 개발하기 위한 거잖아요. 비싼 커피를 마시라는 게 아니라 좋은 커피를 마시라는 겁니다. 좋은 커피가 뭔지 알려면 배워야죠."

커피 전도사

'국내 커피시장은 이미 포화상태가 아니냐'는 질문에 길씨는 "아직도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젠 양이 아닌 질로 승부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최근 커피숍이 많아진 건 그만큼 경기가 어렵다는 방증입니다. 경기가 좋으면 어려운 것도 해보겠지만 경제가 어려우니 사람들이 리스크가 큰 사업은 피하고 진입장벽이 낮은 커피숍을 선택하는 거죠. 그런데 여기서 당장의 이익을 추구하면 안 돼요. 100년이 넘은 숍들을 보면 모두 질을 추구했어요. 국내 커피 시장도 좋은 커피들이 유입되면서 질적 성장을 겪고 있습니다. 돈을 더 내더라도 좋은 커피를 찾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아진 거죠. 그리고 전 큐그레이더 1세대인 만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좋은 환경에서 배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큐그레이더가 꼽는 '스페셜티'란?

큐그레이더는 소믈리에(와인감정사)처럼 커피의 향, 맛, 질감까지 포함한 평가를 통해 1점부터 10점까지의 점수를 매긴다. 이중 8점이 넘는 커피는 '스페셜티'로 따로 분류한다.

 

스페셜티는 생두 1㎏당 4000원에서 4만원, 혹은 40만원을 호가하는 등 초고급 커피로 불린다. 커피 애호가들 사이에선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다.

 

그런데 스페셜티는 어떤 면에서 '공정무역 커피'다. 생두값이 비싸질수록 생산자에게 돌아가는 몫도 커지기 때문. 국내 프렌차이즈 커피 업계의 성장률이 주춤한 사이 스페셜티는 국내 커피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석>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