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온라인팀] 검찰총장 후보 4인, 리더십·중립성이 관건일 듯
검찰총장 후보 4인 명단이 발표되면서 차기 검찰총장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빈 자리를 채울 새 검찰총장으로 김진태(61·14기) 전 대검차장, 길태기(55·15기) 대검차장, 소병철(55·15기) 법무연수원장, 한명관(54·15기) 전 수원지검장 등 4명이 추천됐다.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는 24일 김 전 차장 등 4명을 황교안 법무부장관에게 검찰총장후보로 추천했는데, 당락은 리더십과 중립성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황 장관은 국정원 정치개입 사건 수사와 관련한 논란으로 위기에 빠진 검찰 조직을 신속히 안정시키기 위해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이들 중 1명을 대통령에게 임명 제청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총장 후보 물망에 올랐던 김 전 차장은 지난해 말 사상 초유의 검란(檢亂) 사태로 사퇴한 한상대 전 검찰총장의 공석을 직무대행하며 흔들리던 조직을 잘 추스렸다는 평을 받았다.
최근 국정원 정치개입 사건과 관련해 수사팀과 지휘부 사이의 갈등으로 조직 전체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김 전 차장의 안정적인 조직 운용은 상당한 장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경남 사천 출신으로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뒤 24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광주지검 순천지청 검사로 법조계에 첫 발을 들였다.
이후 서울지검과 부산지검 특수부, 대검 검찰연구관, 광주·서울·부산지검 검사를 거쳐 대검 중수2과장, 인천지검 2차장 등을 지냈다. 이어 서울북부지검장과 대구지검장, 대전고검장, 서울고검장 등 기관장을 주로 역임했다.
김 전 차장은 한보그룹 비리 사건 등 중량감 있는 수사를 맡아온 '특수통'으로 분류되며 1995년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사건 수사 때에는 노 전 대통령과 이건희 삼성회장, 엄삼탁 전 병무청장 등 거물급 인사들을 노련하게 수사해 숨겨놓은 돈의 흐름을 찾아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길 차장은 채 전 총장이 사퇴한 직후 지금까지 총장 직무대행을 맡아 흔들리는 조직 안정에 힘써왔다.
길 차장은 자상하지만 엄격한 지휘를 통해 후배 검사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매사에 솔선수범하고 업무처리가 꼼꼼한 반면 자신이 한 일은 드러내지 않는 겸손한 성품이어서 '숨어있는 능력자'라는 평을 받고 있다.
서울 출신으로 고려대 법대를 졸업한 뒤 서울지검 부부장을 거쳐 대구 강력·특수부장, 대검 형사과장, 서울중앙 공판2부장을 지냈다.
이후 법무부 공보관과 광주지검 차장, 대검 공판송무부장, 사법연수원 부원장, 광주지검장, 서울남부지검장, 법무부 차관 등을 역임했다.
소 원장은 김 전 차장과 함께 지난 검찰총장후보 추천 대상자로 선정됐을 만큼 능력을 인정받은 검찰 내 기획통이다.
특히 법무부 검찰 1·2과장, 정책기획단장, 기획조정실장, 범죄예방정책국장 등 기획 부서에 있으면서 분석력과 상황판단력이 정확하다는 호평을 받았다.
이명박 정부 출범할 당시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을 지내면서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이례적으로 칭찬을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전남 순천 출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정권 편중인사라는 비판에서 보다 자유로울 것으로 보인다.
그는 광주일고와 서울대 법대 졸업하고 대검 연구관, 여주지청장, 법무부 정책기획단장을 역임했다. 이어 대검 범죄정보기획관, 대전지검 차장, 법무부 기조실장·범죄예방정책국장을 거쳐 대검 형사부장,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 대전지검장 등을 지냈다.
한 전 지검장은 충남 연기 출신으로 성동고와 서울대를 졸업한 후 25회 사법시험을 거쳐 검사로 입문했다.
그는 대검 연구관, 대검 공안3과장, 대검 기획과장, 서울중앙지검 형사7부장, 수원지검 2차장, 서울동부지검 차장, 광주지검 차장, 대검 기획조정부장 등을 거치며 수사와 기획, 법리에 두루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대전지검장과 법무부 법무실장을 거쳐 수원지검장, 대검찰청 형사부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한 전 지검장은 대검 형사부장 시절인 지난해 9월 김병화 대법관 후보의 자진사퇴로 공석이 된 대법관 후보 중 한 명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는 지난 4월 채 전 총장이 총장 후보로 최종 낙점되자 최교일 전 서울중앙지검장 등 일부 15기 동기들과 함께 자진 사퇴한 바 있다.
김해웅 기자 <haewoo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