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거지 세계가 모두 그렇게 화기애애한 건 아니었다. 청계천 식구들이야 텁석부리 왕초가 통솔을 잘 하니까 그렇지 물 건너 남대문 패들이나 명동 패들의 짓거리는 구역질이 날 정도였다.
남의 집 앞에 쭈그리고 앉아 씨부렁대며 이를 잡는 것은 예사였고, 빈집에 넘어 들어가 맘대로 뒤져 먹곤 정원에 드러누워 코를 고는 축들도 있었다.
그러다가 주인이 돌아와 악다구니를 쓰면 적반하장으로 트집을 부리기도 했다.
이판사판
“배가 워낙 고파 실례 좀 했기로서니 너무 그러지 마쇼. 같이 먹고 살아야 할 것 아니요.”
“아니, 뭐 이따위가 다 있어. 저게 사람이야 짐승이야?”
“흐흐, 짐승이래도 먹은 밥을 이제 어쩌란 거요? 거지도 사람인데 너무 괄시하지 말란 말요.”
그러면 집주인은 세상이 무너진 것보다 더 팔팔 뛰었다.
“그래, 거기 그대로 있어. 경찰을 부를 테니.”
“우리 같은 신세야 여기 있으나 유치장에 있으나 마찬가지요. 흐흐…….”
그런 이판사판인 거지들인지라 깡패나 건달들과 패싸움이라도 하게 되면 누구도 감히 손을 쓰지 못했다. 거지들의 동류 의식은 무서운 것이어서 그땐 평소에 구역 다툼을 하던 이웃 거지들까지 달려와 합세를 했다.
그러고는 돌이며 몽둥이며 닥치는 대로 집어들고 달려들어 상대방의 머리통을 깨부쉈다. 제 머리가 깨지는 것도 상관하지 않았다.
어차피 버려진 몸, 천 갈래 만 갈래로 찢겨도 억울할 게 없다는 투였다. 그런 거지패였지만 한편으로 나름의 풍류와 낭만도 없지 않았다.
가끔 동네에 길흉사라도 있는 날이면 깡통을 두드리며 한바탕 신명을 떨어댔다.
얼씨구씨구~ 들어간다
절씨구씨구~ 들어간다
작년에 왔던 각설이가 죽지도 않고 또 왔네
어화 이놈이 이래봬도 정승판서의 자제로서
부귀영화 마다하고 돈 한푼에 팔려서 각설이로 나섰네
얼씨구씨구 들어간다 절씨구씨구 들어간다
네 선생이 누구신지 나보다도 잘 돈다
어차피 버려진 거지 신세
나름대로 구걸 방법 개발
일자나 한 장 들고 보니
일락서산 해가 지니 엄마 찾는 송아지 울음소리 애절쿠나
이자 한 장 들고 보니
이슬 맞은 수선화야 네 모습이 청초롭다
삼자나 한 자 들고나 보니
삼월이라 삼짓날에 제비 한쌍이 날아든다
품파바 품파바 들어간다
품품파바 품품파바 들어간다
씨구씨구씨구 들어간다
고마운 분…… 한푼 줍쇼~ 예에~
어느덧 용운도 처음 구걸을 할 때 느꼈던 알량한 부끄러움은 사라지고 없었다. 노인의 뒤를 몇 달 동안 따라다니는 동안 서울 지리를 손바닥 보듯 환하게 익히게 되었고 나름대로 독립심도 생겨 혼자 시내를 슬슬 다니게끔 되었다.
허름한 바지의 한쪽 가랑이를 걷어올리고 다리를 드러낸 채 다녔다. 사람들로 하여금 측은한 감정을 유발시키려는 것이었지만 한편으론 걷는 데 편리한 점도 있었다.
게다가 어느새 자기 나름대로 구걸 방법도 개발했다. 그 방법은 끈기 하나면 되었다. 굶을 때까지 굶다가 정 참기 힘들 때 인정 있어 뵈는 가게집 앞에 끈질기게 죽치고 서 있었다.
침울한 표정으로 그 가게만 뚫어지게 바라보고 있으면, 어린 거지 애가 부끄러워 달라는 소리를 못하는구나 싶어선지 빵 한 개쯤 집어주었다.
그 방법이 매번 성공하는 건 아니었다. 때로는 재수없다며 빗자루를 들고 뛰어나오는 주인도 있었다. 그렇게 허탕을 쳤을 때는 쓰레기통을 뒤졌다.
쉬어빠진 보리밥이며 곰팡이 슨 떡조각 따위를 주워 먹고 물배를 채운 다음 이곳저곳 거닐었다.
한번은 주택가에서 각설이 타령을 하자 꼬마아이들이 몰려들어 구경을 했다.
얼마 후 어떤 젊은 아주머니가 뛰어오더니 아이의 팔목을 잡아 끌며 소리쳤다.
“이 녀석아! 저게 뭔 볼거리라고 정신없이 쳐다보고 있니, 응? 어서 가서 밥이나 먹고 공부해! 알았어?”
아이가 버티자 아줌마는 아이의 등짝을 사정없이 철썩철썩 갈기며 집으로 끌고 갔다. 저렇게 야단을 맞더라도 엄마의 손은 얼마나 따스할까?
용운은 너무나 부러워서 가슴속이 싸하게 쓰려 오는 표정이었다. 그러더니 문득 눈물 한 방울이 돋아났다.
용산역 엄마
하루는 용산역 앞을 지나가는데 길 건너편에서 엄마의 모습과 흡사한 여자가 눈에 띄었다. 장바구니를 들고 골목으로 꺾어 들어가는 그 뒷모습은 머리 모양으로 보나 걸음걸이로 보나 분명히 어머니였다.
소리내어 불러 보려 했으나, 행인들이 너무 많은데다 그 여인은 이미 골목 안으로 사라진 뒤였다.
양쪽에서 빠르게 좁혀 오는 전차를 무시한 채 용운은 도로를 뛰어 달렸다. 그리고 여러 갈래로 뻗은 골목길을 이리저리 뒤지던 끝에, 아차 하면 놓칠 뻔했던 그 뒷모습을 잡을 수가 있었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