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선감도 ⑭껍질도 못 깬 병아리들

  • 김영권 작가
2024.08.05 04:00:00 호수 1491호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분수대 앞에서는 엄마 아빠 손을 잡은 어린 아이 둘이 사진을 찍고 있었다. 고운 옷을 차려 입은 그들은 해맑은 미소를 지으며 비둘기에게 과자를 던져 주었다. 

저쪽에서는 어떤 남자가 백발의 할머니를 등에 업고 둥개둥개를 하면서 노래하듯 중얼거리고 있었다.

배고픈 중생

“장난 삼아 엄마를 등에 업었는데…… 너무 가벼워서 눈물이 나 세 걸음도 못 가고…….”

용운은 울컥 울음을 터뜨릴 것만 같았다. 그는 힘없는 모습으로 남산을 자꾸 뒤돌아보며 내려갔다. 


기슭을 돌아 큰 길을 건너 내려가자 시장 초입이었다. 허름한 주막의 좌판 앞에 늙수그레한 서너 사람이 앉아 떠들고 있었다. 좌판 위엔 소주병과 막걸리 그리고 그릇에 담긴 달걀 따위가 놓여 있었다.

지켜보던 용운의 뱃속에서 꼬르륵 소리가 났다. 

한 노인네가 소주를 한 잔 마시고 나서 달걀을 들고 까기 시작했다. 용운은 예전에 엄마가 삶아서 까주던 하얗고 매끄러운 달걀을 상상하곤 군침을 꼴깍 삼켰다. 그런데 노인의 손에 들린 달걀 껍질 속에서는 전혀 다른 것이 나오고 있었다.

노르스름한 털뿐만 아니라 감은 눈과 분홍색 부리까지 달린 병아리였다. 

노인은 무슨 말 끝에 실없이 허허 웃으며 그 죽은 병아리를 슬슬 뜯어먹었다. 알 껍질을 깨고 나와 날개를 펴고 울어 보지도 못한 채 삶겨 버린 그것은 ‘곤달걀’이라고 하여 보양식으로 많이 먹었다. 

용운의 머릿속엔 옛날에 폐병을 앓던 아버지가 뱀이나 지네 따위를 고아 약이라며 먹던 모습이 떠올랐다. 심지어 아버지는 쥐도 잡아 먹었다. 약탕기 속에 들어가지 않으려고 꿈틀거리던 뱀의 눈을 보며 용운은 몸서리를 쳤었다.

병아리 살은 뜯어먹고 털은 뱉어 버리는 노인을 바라보면서 용운은 또 몸을 떨었지만 빈 뱃속에서는 다시 꼬르륵 하는 소리가 났다. 입을 다시는 용운을 바라보던 어떤 아저씨가 그릇에서 곤달걀 한 개를 집더니 휙 던져 주었다. 

“옛다, 배고픈 중생에 보시하누먼, 하하.”

용운은 땅에 떨어져 병아리의 모습이 반쯤 드러난 곤달걀을 보며 망설이고 있었다. 마침 좌판 밑에 웅크리고 있던 발바리가 기어나와 달걀 냄새를 맡으려 했다.

용운이 저도 모르게 몸을 숙여 달걀을 집으려는 순간 발바리 놈이 낼름 물곤 좌판 밑으로 들어가 버렸다. 


용운은 침을 찍 뱉곤 남대문 시장 안으로 걸음을 옮겼다. 멀리 서울역 쪽에서 기적 소리가 들려왔다. 남대문 시장 안은 북새통이었다.

떡 목판을 앞에 놓고 앉은 아줌마를 비롯하여 풀빵 장수, 팥죽과 수제비 장수, 김밥 장수 등이 쭉 늘어서 있었다. 인절미를 사러 간다던 엄마 생각이 났다. 

왼편으로 국수를 삶아 파는 노점들이 줄지어 있었다. 손님 대부분이 그 주변의 짐꾼들로 여기저기 지게가 세워져 있었다. 주인 아줌마가 솥뚜껑을 열자 안개 같은 김과 함께 구수한 멸치 국물 냄새가 물씬 피어올랐다. 용운은 정신이 혼미해진 채 저도 모르게 침을 꿀꺽 삼켰다. 

한 짐꾼에게서 돈을 받던 아줌마가 넋을 놓고 서 있는 용운을 힐끗 바라보더니 대번에 눈초리가 샐쭉해졌다.

물 한 방울 못 찍어 발라
넓은 풀밭서 좁쌀 찾기

“야, 니 뭐꼬?”

용운이 멈칫거리자 여자는 냉큼 물바가지를 움켜잡았다.

“저 문디 같은 자슥아, 물벼락 맞기 싫거덩 빨랑 꺼지라카이!”

문득 용운은 양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았다. 그는 그제야 며칠 동안을 흙바닥에서 뒹군데다 먼지와 눈물로 범벅된 얼굴에 물 한 방울 찍어 바르지 못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더구나 구겨질 대로 구겨지고 더러워진 옷에 검정 고무신……. 그야말로 거지나 다름없었다.

비척거리며 그곳을 빠져나가려는데 누군가 용운을 불렀다. 

“얘, 꼬마야.”

돌아보니 풀빵 장수였다. 아까부터 눈여겨보고 있었던 모양으로 그는 풀빵을 하나 집어주었다. 용운은 황급히 받아들고 그곳을 빠져나와 허겁지겁 먹었다. 꿀맛이 따로 없었다.

간에 기별도 안 갔지만 그나마 먹고 나니 살 것 같았다.

이젠 엄마를 찾아봐야 할 일이었다. 서울 시내를 쉬지 않고 헤매며 행인들의 얼굴을 살폈다. 검정 치마를 입었거나 뒷머리 모습이 엄마와 흡사하다 싶으면 급히 앞질러 가서 얼굴을 확인했다.

마치 넓은 풀밭에서 좁쌀을 찾는 것만큼이나 막연했지만 그것말곤 다른 방법이 없었다. 그나마 서울역에서 헤어졌으니 그 주변 어딘가에 틀림없이 엄마가 있으리라는 생각이었다.

어린 소년의 머릿속에 부산, 대전, 제주도…… 하는 식의 광범위한 지역은 안개 속 같았고, 따라서 어머니가 멀리 떠났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엔 상상이 미치지도 않았다.

그는 뱃속이 찰랑거리도록 물배를 채워가며 거리를 헤맸다. 번화가나 주택가는 물론 정류장도 빠짐없이 뒤졌으나 허사였다.

어쩌다 엄마와 닮은 여인이 얼굴도 미처 확인하기 전에 전차에 올라타 사라지기라도 하면 그 미련이란 두고두고 떨쳐버릴 수 없었다. 

수용소 아침

신새벽이었다.

모두들 세상 모르게 잠들어 있을 때였다. 감각을 잊은 고막을 강제로 마구 헤집고 들려오는 소리가 있었다.

“기상!”

복도가 온통 우렁우렁 울렸다. 새벽잠을 깬 군상들이 희미한 어둠 속에서 이리저리 꿈틀거렸다. 눈을 겨우 뜬 용운은 천장을 멍하니 쳐다보았다. 순간 그는 잠자리가 예전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쓰레기 하치장이나 다리 밑, 혹은 처마 밑에서 잔뜩 웅크린 서글픔도 없었고, 노숙자의 스산함도 느낄 수 없었던 것이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