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와유강산’ 후 하이잉

2024.05.01 09:42:11 호수 1477호

흙으로 그린 산과 물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부산 수영구에 위치한 갤러리이배에서 도자회화 작가 후 하이잉의 개인전 ‘臥遊江山(와유강산)’을 준비했다. 후 하이잉은 중국 전통도자기법의 청화안료를 사용해 일상의 풍경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작가다. 



후 하이잉 작가는 이번 개인전 ‘臥遊江山(와유강산)’서 특유의 독특한 표현 방식으로 작업한 ‘Landscape’ 연작을 공개한다.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수묵화나 단색 화풍의 회화적 중국 도자의 색다른 면모를 드러내는 작품이다. 

말리고

2006년 중국 남방(경덕진)으로 생활의 터를 옮긴 후 하이잉은 푸른 풍경과 끝없이 이어지는 산의 매력에 심취하게 됐다. 그곳에서 그는 오랜 시간 깊은 사색에 빠져들었고 당시의 감성적 경험은 작품 탄생의 배경이 됐다. 

후 하이잉이 표현하고자 하는 산수는 물리적 풍경이면서 마음의 풍경이다. 같은 풍경이라도 보는 관점이나 마음에 따라 달라 보인다. 작가는 관람객이 작품을 통해 본인이 의도한 마음뿐 아니라 각자 마음의 풍경을 감상하기를 원한다. 나름대로 보고 느끼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작가와의 교감을 기대하는 것이다.

후 하이잉은 전통을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색하려고 시도했다. 그 결과 산의 형태는 단순화됐고 산수를 표현하면서도 산과 물은 보이지 않는다. 후 하이잉의 산수는 배합비율과 불의 온도, 태토와 유약의 성질 등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지닌 청화안료를 사용해 농담을 정교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전통을 현대적 감성으로
청화안료로 일상의 풍경

자칫 가벼워 보일 수 있는 단순미는 점묘법에 의한 수많은 점과 중첩된 풍부한 색감으로 더욱 가치를 더하고 있다. 색채는 전체적으로 청화안료색인 푸른색으로 통일했으며 가까운 곳은 옅은 초록색과 저녁 석양의 노을빛 색으로 변화를 꾀했다.

후 하이잉은 실제 산수와 같은 공간감을 상상할 수 있도록 작품을 서로 연속해서 이어 긴 그림으로 설치했다. 

전통적인 도자기법을 이용해 백토로 사각의 평판을 만든 후 흙물을 바른 뒤 말리고 다시 바르기를 약 3개월에 걸쳐 100회 이상 반복하면 약 8㎜ 두께의 흙판이 만들어진다. 이후 티끌 높이보다 낮은 두께로 긁어내고 성형을 하면 곡선과 곡면이 주는 입체감이 생겨 표면과 이미지의 경계가 드러난다. 

이미지 부분에 안료로 그림을 그린 후 배경 부분은 흙의 질감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유약을 바르지 않았다. 산의 이미지 부분은 유약을 발라 고전 도자기의 형태를 회화적으로 재현해냈다. 이 과정을 거치면 산의 이미지 부분만 자연스럽게 도드라져 보인다. 바다를 상상하게 하는 유약을 바르지 않은 면과 대비를 이룬다. 

바르고

갤러리이배 관계자는 “유약을 바르지 않은 배경과 재현한 산의 이미지는 이원적인 구분이 불가능하지만 물성 차이는 뚜렷하다. 가까이에서 보면 작품 속 산이나 배경은 두께의 차이만 있을 뿐 모두 평면적이지만 멀리서 보면 영락없이 어우러지는 산수의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전시는 다음 달 18일까지. 

<jsjang@ilyosisa.co.kr>


[후 하이잉은?]

후 하이잉 작가는 1986년 중국 산동성 청도 출생으로 경덕진 도자대학교 도예과와 본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세계적인 도자회화 작가인 이승희의 수하서 10년간 수학했다.


중국도자디자인전시와 경덕진도자비엔날레서 수상했고 항저우국제현대도자전람회, 경덕진국제도자비엔날레 등에 참가했다.

상하이아트페어, 아트베이징, 아부다비아트 등에 참가해 도자회화 작가로 국제적 명성을 쌓았다. 

국내서도 청주공예비엔날레 참가하고 다수의 개인전 및 단체전을 통해 미적 감각과 창의적인 예술작업을 선보였다.

아랍에미리트의 왕실을 비롯해 경덕진도자대학교(중국), Sanbaopeng Art Museum(중국), Executive Affairs Authority(아랍에미리트) 등에 작품이 소장돼있다.

현재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레지던시 작가로 참여하고 있다. <선>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