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대통령의 뒷모습 ㊷공산주의 고통과 모순

  • 김영권 작가
2023.07.24 13:32:20 호수 1437호

김영권의 <대통령의 뒷모습>은 실화 기반의 시사 에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을 다뤘다. 서울 해방촌 무지개 하숙집에 사는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당시의 기억이 생생히 떠오른다. 작가는 무명작가·사이비 교주·모창가수·탈북민 등 우리 사회 낯선 일원의 입을 통해 과거 정권을 비판하고, 그 안에 현 정권의 모습까지 투영한다.



“따봉!” 

그녀가 의기양양하게 외쳤다.

해방촌 하숙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피에로씨가 벌그무레하게 술기 오른 얼굴로 물었다.

“윤 여사, 꽤 매력 있지?” “꽤 표독하던데요.”

내가 대꾸했다.


“무슨 소릴! 좀 독재적이라면 모를까. 왠지 난 그런 여자가 매력적이더라구.”

밤하늘의 반달을 멍하니 쳐다보며 그는 중얼거렸다.

자본주의 대조

메일을 열어 보니 탈북자 수기 파일이 들어 있었다. 상당한 분량이었다. 기대감과 함께 부담감도 느껴졌다. 읽어 내려갈수록 차츰차츰 기대감은 줄어들고 부담감은 늘어났다.

사실 나는 이전에 책으로 만들어져 나온 그들의 체험기를 읽은 적이 있었다. 그런 책들 속 내용보다 특별히 나은 점은 없었다.

물론 출간해서 상업적 성공을 얻기 위해서라거나 혹은 다른 목적으로 편집자들이 많은 첨삭 수정을 가했을 수도 있었다. 이 파일 또한 그런 책처럼 기필해 의도에 따라 환골탈태 시킬 가능성은 충분해 보였다.

모든 책은 그렇게 만들어진다. 소주나 막걸리처럼, 원액에 물이 들어가지 않는 법이 없다.

옛날의 위대한 작가들은 자기 스스로 그걸 다 만들어 조절했건만, 요즘의 속칭 작가들은 편집부의 노예로 변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아마 독자들의 눈이 훨씬 더 순수하고 진실하리라.

나는 일단 수기의 진실성 여부에 마음을 두고 읽어 나갔다.

특히 체험자들이 단체의 윗선으로부터 모종의 지령을 받고 어떤 목적을 위해 쓰지 않았는지 살펴보았다. 북한과 중국에 대한 분노, 남한과 미국 등 자본주의 세계에 대한 동경 혹은 찬양이 극적인 대조를 이루었다.


과장되고 허황된 왜곡뿐 아니라 어떤 사안의 축소와 삭제 또한 문제였다. 만약 작업을 시작한다면 ‘감동적인 휴먼 드라마’를 만들기 전에 그런 점부터 바로잡아야 할 터였다.

그러나 일단 선입관을 접어둔 채 쭉쭉 읽어 내려갔다.

하층민들이 북한 사회에서 겪는 고통, 굶어 죽지 않기 위해 중국 농촌 오지의 홀아비에게 속아 시집 간 여인들이 당하는 짐승보다 비참한 일상, 혹은 지옥경을 탈출하려고 목숨 걸고 차가운 압록강을 건너는 험난한 유량의 길 등은 분명 비극으로서 인간의 원초적인 감정을 자극하는 진실이 깃들어 있었다.

그중 한 편을 뽑아내 시험 삼아 손질을 좀 해보았다.

내가 태어나 자란 곳은 평안북도 운산의 어느 농촌이었다. 봄이 오면 복사꽃과 능금꽃이 만발하는 물 맑고 공기 좋은 아담한 마을이었다.

“사계절이 지옥” 분배원칙 따라 나누면 개죽음
“나라 어렵다”며 희생 강요 3년간 껍데기 등장

부모님은 평범하고 부지런한 농사꾼으로서 1남 3녀를 두셨는데 난 맏딸이었다. 아무래도 부모님은 대를 이을 외아들을 애지중지했고, 암탉이 새벽에 낳은 달걀 중 가장 큰 알을 몰래 먹이곤 했다. 하지만 어려운 시절인지라 식구들은 모두 배를 곯으며 어렵게 살았다.

가난한 마을 사람들은 산에 올라 소나무 껍질을 벗겨내 물에 불려 놓았다가 방망이로 두드려 송기떡을 만들어 먹고, 심지어 쥐와 개구리도 잡아 껍질을 벗겨 먹을 지경이었다. 이곳이 과연 지상천국인가?

봄에는 허리 부러지게 논에 모를 냈고, 여름엔 처녀 손이라 믿기지 않을 정도로 굳은살이 박이도록 호미질을 했고, 가을에는 한 알의 낟알이라도 흘릴세라 정성들여 벼를 베고, 겨울에는 좋은 퇴비를 생산하려고 변소 오줌똥까지 퍼서 뿌렸다. 하지만 공산주의 분배원칙에 따라 우리 앞에 차례진 식량은 정녕 어처구니가 없을 정도였다.


일년 내내 일한 대가란 우리 네 식구가 겨우 먹을 수 있을 만큼 너무 적은 양이었다. 현금으로 나온 분배돈은 바로 통장에 들어간다며 빈껍데기 통장만 주었다. 3년 동안 빈 통장만 받고 나라 사정이 어렵다는 구실로 돈은 일전도 받아보지 못했다.

‘나는 하루 두 끼 겨우 먹으며 한 끼에 삶은 감자 몇 개 먹고 속이 텅 비는 생활을 하며 피땀 흘려 번 돈이건만 왜 이런 거지? 왜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은 점점 더 가난해져 하루하루 먹을 걱정을 해야 되고, 당 간부들은 왜 저렇게 기름이 번지레하게 잘사는 걸까?

하지만 그때까지도 나는 왜 그래야만 하는지 이유를 잘 알 수가 없었다. 세뇌된 뇌로서는 눈앞의 현실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모양이었다.

그저 주위 사람들과 함께 괴로워하며, 어떻게든 어려운 시기를 살아내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다. 나는 고심 끝에 장마당에 나가기로 작정했다.

엄마와 함께 깊은 산속에 들어가 주워 온 도토리로 묵을 만들고 아버지가 틈틈이 엮은 싸리 빗자루를 함께 이고 지고 20리쯤 떨어진 읍내의 장마당으로 걸어갔다.

하지만 그깟 푼돈은 먼 발품 값에도 미치지 못했다. 수많은 사람이 장마당에 나와 살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었다.

역에는 기차를 기다리는 많은 사람으로 붐볐는데, 대합실 앞에서 어떤 꽃제비 둘이 나누는 얘깃소리가 들려왔다.

“형, 우리 여기서 뭐 하려는 거야?”

도적질 일상

“임마! 굶어 죽지 않으려면 도적질이라도 해야지. 내 말 잘 들어. 넌 이 자루를 들고 날 따라와. 내가 앞에 가는 사람의 배낭 밑을 칼로 째고 배낭을 위에서 조금씩 누를 테니 너는 배낭 밑으로 나오는 쌀을 자루로 받으면 돼.”

아, 굶어 죽지 않으려면 그렇게라도 해야 하는가? 잠시 후, 꽃제비가 찢어놓은 여성의 배낭에서는 옥수수가 바닥으로 쏟아졌다. 나는 고함을 치고 싶었으나 놈들이 흉악스레 눈을 부라렸으므로 입을 다물 수밖에 없었다.

역에는 훔칠 물건이 많았다. 기차를 며칠 동안 기다리는 사람들은 지쳐 있다. 그들은 한번 잠이 들면 자신의 짐에 대한 조심성이 점점 떨어진다.

어떤 이는 짐을 안고 자다가도 피곤함에 지쳐 베개 삼아 자기도 하고, 아예 자신의 손발에 짐을 묶어둔 채 자기도 한다. 하지만 도둑놈의 눈에 목표물이 들어오면 그건 잃어버린 물건과 마찬가지였다.


<다음호에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