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4 광주 송암동에선 무슨 일이…

2023.05.16 08:42:13 호수 1427호

“또 다른 민간인 학살 있었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탕, 탕, 탕’ 마을의 평화는 총소리에 부서졌다. 이불을 뒤집어쓰고 숨은 마을주민의 어깨가 총소리가 날 때마다 튀어 올랐다. 군인이 쏜 총에 옆에 서 있던 동료가 바닥으로 고꾸라진 순간 ‘삐-’ 긴 이명이 사위를 감쌌다. 1980년 5월24일 광주 송암동서 무슨 일인가 벌어졌다. 



1980년 5월의 광주는 ‘피의 도시’였다. 계엄군의 총에 스러져간 광주시민이 흘린 피, 민주주의를 외치는 시민군의 피 맺힌 목소리가 도시를 에워쌌다. 그로부터 43년이 흘렀지만 광주의 5월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조훈 감독은 전남도청과 금남로를 넘어 송암동으로 눈을 돌렸다. 우리가 눈을 돌린 그곳에 또 다른 진실이 있었다.

그날 그곳

지난 8일 서울 용산CGV서 영화 <송암동> 언론시사회가 열렸다. 오전 10시30분부터 시작된 시사회 객석은 언론 관계자를 비롯한 영화인, 출연 배우 등으로 가득 찼다. 1시간12분의 상영시간이 지나고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가는 동안 박수가 터져 나왔다. 이후 이 감독의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송암동>은 1980년 5월24일 광주 변두리의 송암동에서 일어난 일을 쫓는다. 송암동은 헬기가 날아다니고 계엄군의 발포에 가족을 잃은 시민의 절규로 가득한 전남도청 일대와는 달리 나름의 평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마을 주민은 동네를 자유롭게 활보했고 지나가는 사람의 안부를 물었다. 

평상에 앉아 있던 이들은 광주 시내에 사는 자식에게 줄 음식을 머리에 이고 지나가는 여성에게 우유를 건네고, 여성은 김치를 손수 찢어 맛을 보여준다. 이들은 잠시 뒤 벌어질 비극을 상상조차 못하는 모습이다. 아이들은 개울서 멱을 감고 전쟁놀이를 한다. 형이 사준 고무신을 신고 뛰노는 소년은 천진난만하기만 하다.


송암동 일대서 총소리가 들린다는 제보를 접한 시민군 ‘최진수’는 트럭을 타고 무기 회수를 위해 마을로 향한다. 도로가에 트럭을 세우고 잠시 주변부를 살피던 그 찰나 갑작스레 총격전이 벌어졌다. 총성에 놀란 시민군과 민간인은 혼비백산 한 채로 몸을 숨겼다.

총알이 빗발치는 아비규환의 현장서 이들은 숨을 죽인 채 시간이 가기만을 빌었다.

공수부대·전투교육사령부대 오인교전
무차별 총격에 마을 초토화·아이 사망

송암동 일대를 지나던 공수부대의 무차별 총격에 이 지역 목포방향 도로에 바리케이트를 구축하던 전투교육사령부대가 응사했다. 공수부대가 자신들을 향해 총을 쏜다고 착각해 교전을 벌인 것이다. 이 오인교전 과정서 공수부대원 9명이 사망하고 수십명이 다쳤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동료를 잃은 공수부대원이 민간인을 ‘폭도’로 규정하고 보복학살에 나선 것.

공수부대의 학살은 무자비했다. 어떤 확인 절차도 없이 총을 발포했다. 민가에 숨어 있던 시민군은 그 서슬에 무기를 버리고 ‘투항’한다. 투항하면 목숨만은 살려주겠다는 말도 잠시, 시민군 가운데 1명은 마당에 내려서자마자 머리에 총을 맞고 쓰러졌다.

귀를 찢을 듯한 총성에 곁에 있던 최진수는 이명에 휩싸인 채 넋을 잃었다. 

빗발치는 총알은 아이들의 몸도 꿰뚫었다. 이날 총격으로 최소 2명의 아이가 총에 맞아 사망했다. 아이의 나이는 각각 11세, 12세였다. 소식을 들은 아이의 엄마와 형은 시신을 부여잡고 오열했다. 공수부대는 송암동서 사망한 사람이 6명에 불과하다고 보고했다. 1989년 국회 광주 청문회서도 이 숫자는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영화를 통해 그려진 송암동의 상황은 다르다. 영화 말미에 이르면 마을주민 20여명을 논두렁에 세워놓고 한 공수부대원이 즉결처형 하듯 등 뒤에서 총을 쏴 한 사람씩 사살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 감독은 기자간담회서 “총을 쏜 군인이 현재 살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조심스럽게 언급했다.

당시 상황이 실제 있었던 일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 감독은 2020년 연출한 <광주비디오 : 사라진 4시간>을 다큐멘터리 영화로 만든 것과 달리 <송암동>은 극영화로 제작했다. 1989년 광주 청문회서 시민군 최진수씨가 증언하는 실제 상황이 삽입돼있지만 대부분은 배우가 연기하는 장면으로 구성됐다.

사진·영상 없어 증언으로 제작
조사위원 참여하면서 알게 돼

이 감독에 따르면 출연 배우의 대사와 행동은 90% 이상 당시 피해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했다. 

이 감독은 기자간담회서 송암동에서 일어난 민간인 학살과 관련해 사진이나 영상 등 어떤 자료도 남아있지 않아 극영화로 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위원회)에 합류하면서 송암동 사건에 대해 알게 됐다. 

이 감독은 “2020년 겨울 영화에 등장하는 당시 계엄군 대위의 제보를 받았다. 이듬해 초부터 송암동 피해자와 계엄군 등을 찾아다니며 만났고 지금도 만나고 있다”고 말했다. 어린 시절 광주에 살았던 그는 송암동 사건이 벌어질 당시 초등학교 2학년이었다고 한다.

사건의 전말은 몰랐지만 엄마가 인근에서 형들이 죽었으니 나가지 말고 조심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이 감독은 송암동 사건을 알리고 조사를 독려하기 위해 영화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조사위 활동 기간이 3년인데 운영의 묘를 살리기 어렵다. 정치권서 많은 도움을 줘야 한다”며 “과거사 재단을 출범시키기로 했다가 정권이 바뀌며 무산된 것 같은데 학살의 진상을 밝힐 수 있게 도와주셨으면 한다”고 피력했다. 

무슨 일이?

영화 <송암동>은 송암동 사건 진상규명의 시발점이자 연장선상이다. 이 감독의 생각은 <송암동> 너머로 나아가고 있다. 민간인 20여명을 일렬로 세워놓고 총살하는 장면과 관련해 “이에 대한 조사활동이 다음 작품의 주제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영화 막바지에 짤막하게 언급된 공수부대와 전투교육사령부대의 오인교전에 대한 의혹도 다뤄질 가능성이 높다. 

<jsj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계엄군 성폭행 의혹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부녀자를 성폭행했다는 의혹이 정부 차원의 공식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그동안 성폭행 의혹 제기와 피해 당사자의 진술이 있었지만 정부 기구에 의해 전체 피해건수 등이 파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 따르면 5·18 당시 계엄군의 집단 강간 등 성폭행 사건 51건에 대해 직권조사 등을 벌이고 있다.

2018년 5‧18 계엄군 등 성폭력 공동조사단 등이 조사한 17건, 광주시 보상 심의자료 26건, 자체 제보접수 8건 등이다. <선>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