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기의 시사펀치> 튀르키예 지진 참사, 쿠르드족 분리독립 재조명 계기

  • 김삼기 시인·칼럼니스트
2023.02.21 16:59:47 호수 1415호

지난 6일, 쿠르드족이 많이 살고 있는 튀르키예(터키)와 시리아 접경지역서 7.8 규모의 강진으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한국 정부는 형제국가인 튀르키예에 최대 규모의 긴급구호대를 급파해 구조활동을 펼쳤고, 한국기업들도 복구를 위해 인도적 지원에 앞장섰다. 우리에게 낯선 ‘튀르키예’는 2021년 바뀐 터키의 새 국호다.



한국전쟁(1950년) 참전국 중 튀르키예는 미국, 영국, 캐나다 다음으로 많은 병력(1만4936명)을 파병했다. 당시 국력도 약하고 우리와의 관계도 전무했던 튀르키예가 자국 내 심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왜 많은 병력을 보냈을까?

역사는 “공산세력의 위협에 처해 있는 국가가 자유와 독립을 원한다면 경제적·군사적 원조를 제공하겠다”는 트루먼 독트린(1947년)의 수혜국인 튀르키예가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1952년)이라는 명분을 얻기 위해 한국전쟁에 많은 병력을 파병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전쟁에 파병된 튀르키예 병력 중 60%가 쿠르드족이었다는 사실을 눈여겨봐야 한다. 분리독립을 요구하며 튀르키예 정부와 대치하고 있던 쿠르드족이 한국전쟁에 9000여명이나 참전한 이유는 전쟁에서 성과를 내면 분리독립의 꿈이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었다.

그러나 튀르키예는 인구의 1/5을 차지하고 있는 쿠르드족을 지금까지도 테러집단으로 여기고 분리독립을 절대 용납하지 않고 있다.

쿠르드족은 1차 세계대전 당시 독립국가를 만들어주겠다는 영국을 믿고 오스만 제국을 무너뜨리는 데 협조했다. 그러나 로잔조약으로 뒤통수를 맞고 쿠르드족(3500만명)은 터키(2000만명), 이란(700만명), 이라크(500만명), 시리아(300만명) 접경 산악지대에 뿔뿔이 흩어져 사는 신세가 됐다. 


미·소 냉전시대에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이란과 소련의 지원을 받은 이라크 간 국경분쟁 때도 이라크 내 쿠르드족은 분리독립의 약속을 믿고 미국을 도왔지만, 분쟁이 종료되자 미국으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했다.

미국이 IS를 격퇴할 때도 시리아 내 쿠르드족은 분리독립을 꿈꾸며 미국을 도왔지만, 시리아 북동부 지역에 주둔하며 쿠르드족을 보호해오던 미군이 IS가 사실상 붕괴된 상황에서 주둔 명분을 잃고 철수하게 되자 튀르키예로부터 무참히 공격받았다. 

튀르키예에는 2000만명의 쿠르드족이 살고 있어, 만약 이들이 분리독립할 경우 영토 일부를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에 튀르키예는 이라크와 시리아 내 쿠르드족 정치세력(자치정부)을 계속 배척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1차 세계대전 때도, 한국전쟁 때도, 이란·이라크 국경분쟁 때도, IS 격퇴 때도 쿠르드족은 분리독립의 꿈을 이루기 위해 전쟁에 뛰어들어 공을 세웠지만, 결국 강대국과 주변 국가로부터 매번 외면당했다.

이렇게 외면당하면서도 쿠르드족이 계속 전쟁에 등장했던 이유는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켜 분리독립의 꿈을 기필코 이루겠다는 쿠르드족의 간절한 염원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주권과 영토를 일본에 빼앗기고 국가가 없을 때, 중국과 미국서 광복군과 해방기구를 결성해 독립운동을 도모했다. 그러나 당시 중국 내 광복군의 힘이 일본군보다 약해 도저히 국가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 되자 광복군은 미국을 지지하면서 결국 세계의 이목을 한반도에 집중시켜 국가를 되찾을 수 있었다. 

이스라엘도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시오니즘 열풍이 불면서 고대 로마시대에 유럽 등지로 흩어졌던 유대인들이 다시 모여 1948년에 국가를 재건할 수 있었다. 이는 세계 이목이 시오니즘에 집중됐기 때문에 가능했다.

지난 6일 튀르키예와 시리아 접경지역서 지진이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도 세계 언론들은 두 국가의 피해에만 관심이 있을 뿐, 지진 피해가 가장 심한 튀르키예 동남부와 시리아 동북부 지역에 주로 살고 있는 쿠르드족엔 별 관심이 없어 보인다.

그러나 필자는 초대형 지진 참사 상황이 어느 정도 진정되면 세계의 이목이 피해를 가장 많이 본 쿠르드족에 집중되리라 생각한다. 

이번 지진 참사를 통해 국가 없는 거대 민족 쿠르드족을 더 이상 흩어져 살게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지구촌의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쿠르드족은 이번 지진 참사를 계기로 쿠르드족의 분리독립이 재조명되기를 기대하고 있을 것이다.


우리는 한국전쟁 당시 9000여명의 쿠르드족 병력이 참전했다는 사실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한국이 한국전쟁서 실제 공이 큰 쿠르드족엔 별 관심을 갖지 못했다. 튀르키예가 형제국가라면 쿠르드족은 형제민족이 될 수도 있는데 우리는 미국과 중동 국가들의 눈치만 보느라 쿠르드족을 배척하는 일도 서슴지 않았다.

그나마 우리가 2003년 이라크에 자이툰부대를 파견할 때, 이라크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쿠르드족이 거주하고 있는 이라크 북부지역 아르빌을 택해 4년 동안 의료, 교육사업 및 치안유지 등 인도적 지원활동을 한 게 쿠르드족에게 우호적인 모습을 보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미국으로부터 전투병력이 없는 자이툰부대의 철군을 강요받고도 쿠르드족 자치구 재건을 위해 임기 내내 끝까지 철군하지 않고 버텼다고 한다.

지금도 세계 각국의 독립사를 벤치마킹하면서 제2의 이스라엘 독립사를 쓰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쿠르드족이다. 같은 경험을 했던 우리가 튀르키예와의 형제애를 생각해서라도 쿠르드족의 분리독립을 지지하진 못할망정, 그들의 꿈을 무시하진 말아야 한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