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독백과 내러티브’ 윤미란·윤향로·김지민·김보경

2022.10.21 15:07:09 호수 1397호

네 작가의 4가지 추상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 갤러리도스에서 윤미란·윤향로·김지민·김보경 작가의 단체전 ‘여성, 또 다른 추상’ 전시를 준비했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되는 여성미술가의 추상회화는 개인적인 독백과 내러티브를 담고 있다. 



정연심 홍익대 교수는 갤러리도스에서 진행하는 ‘여성, 또 다른 추상’ 전시에 대해 “일종의 선언문처럼 혹은 여성미술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된 (전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큰 주제에 비해 공간 등이 제한돼있기 때문에 세대별로 여성미술가의 추상화를 추적할 순 없지만 4명의 작가는 추상을 다루는 작가적 ‘특이성’과 ‘독자성’으로 선정됐다”고 덧붙였다. 

특이하고

▲윤미란 = 홍대 서양화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와 버클리의 KALA 인스티튜트를 거쳐 홍대 교수로 재직했다. 윤미란의 작업은 한지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한 물성에의 집착을 특징으로 한다.

한지라는 매체가 지닌 부드러움과 아름다움, 찢어지기 쉬운 연약함, 찢어진 후의 예상치 못한 결과의 대담함 등이 윤미란의 사각공간 안에 담겨있다.  

모시, 삼베, 노방과 같은 천 위에 몇 겹의 한지를 배접한 후 그 위에 한지를 가로지르는 실을 얹어 놓은 뒤 다시 몇 겹의 한지를 실 위에 배접해 바탕을 만들어낸다. 그후 한지와 한지 사이에 놓여있던 실을 앞으로 잡아당겨 뜯어내는데, 이때 한지를 찢고 나온 실의 배열에 따라 여러 겹으로 겹쳐져 있던 한지는 본래의 형태를 잃고 작은 사각형 모양으로 남게 된다.


사각형의 귀퉁이를 핀셋으로 살짝 뜯어내면 작업이 완성된다. 

쉽게 찢어질 수 있는 한지의 특성을 적절히 이용한 작업으로 찢어진 후 한지가 만들어내는 대담한 절단면은 보는 이로 하여금 평온함과 부드러움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격렬함과 파격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격렬함과 파격 양면
매체 간 경계에 주목

정 교수는 “여성 단색화 작가를 발굴해가는 과정에서 윤미란에게 주목하게 됐다”며 “윤미란은 그리드의 구성에 물리적, 심리적 시간성을 더한다”고 설명했다.

▲윤향로 = 동시대 이미징 기술을 기반으로 추상회화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작가다. 대표작 ‘스크린샷’ 시리즈를 ‘유사회화’라는 이름 아래 회화와 인쇄물, 조각, 비디오, 가구, 설치 등 다양한 매체로 변주해 발표했다. 최근에는 미술사 속 작품의 이미지를 여러 층위로 다루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스크린샷 시리즈는 동시대의 풍경화를 만들고 바라보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주목하는 것은 매체 간 경계인데 특히 미술 안에서 서로 다른 매체 간, 다양한 문화 범주 안에서 다른 문화 간에 서로의 형태를 의태하며 생기는 경계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초기 작품에서는 회화를 둘러싼 다양한 미디엄으로 회화 자체를 바라보는 실험을 하고자 했다. 이는 회화 매체와 역사에 대한 관심으로 발전해 현재는 이 부분을 중심으로 현대 이미지의 소비 방식과 나를 둘러싼 세계관, 가치관 등에 저변을 두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 교수는 “윤향로에게 추상은 대중매체와 디지털 문화의 다양한 문맥을 읽어내는 여정이나 해석의 근거로 작용하며 이야기가 있는 회화적 공간, 여성의 목소리를 중첩시키는 사적, 그리고 공적 공간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김지민 = 동서양에서 체화한 삶의 경험을 기저로 문화의 다양성과 그것으로부터 파생한 언어, 철학, 신화 등의 주제의식을 작가 특유의 차분하고 숭고한 조형감각으로 작업의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2019년까지 설치작업을, 2020년 들어 본격적으로 회화를 시작해 현재는 이 두 매체를 병행해 작업하고 있다. 

그의 작업은 명료하게 구성되는데 설치는 ‘Art as Language’ ‘움직이는 샹들리에’ 시리즈로, 회화는 ‘음악적 회화’ ‘침묵의 회화’ 연작으로 나뉜다. 이번 전시 ‘Prototype Temple: At Night’는 설치와 회화의 변주로 동서양의 문화적 융합을 실험해온 연구의 소산이다.


동서양에서 체화한 삶
겹겹이 쌓아올린 한지

움직이는 샹들리에와 침묵의 회화로 조합된 전시는 서구 고전문화를 상징하는 샹들리에와 먹을 사용한 동양적 회화가 어두운 무대에 등장한 것처럼 연출된다. 성가, 성담의 미사, 사찰 소리, 종소리 등의 사운드는 전체 공간을 공명하며 경건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정 교수는 “일종의 템플 구조를 가진 침묵의 선이 만들어내는 회화적 구축물은 김지민의 정신적 위안처이자 도피처”라고 강조했다. 

▲김보경 = 한지를 일정한 크기로 자르고 모래와 안료를 더해 반복적으로 중첩해 불완전함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명상적 행위를 실현하는 작가다. 로드아일랜드 스쿨오브디자인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교육 석사 과정을 졸업했다. 

‘아로새기다, When Light is Put Away’은 한국 전통문화에서 비롯된 자연의 미와 불교 정신에서 비롯된 비영속성, 즉 시간의 흐름 속에서 발견되는 크고 작은 흔적을 투여했다. 자연과 자연스러운 현상을 통해 재탄생되는 것을 아름다움이라 정의하고 이것의 가치를 들여다봤다.

한지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며 겹겹이 쌓고 비워진 부분을 모두 메꾸는 것이 아닌 한지가 중첩돼 표현된 투명과 불투명 그 경계의 상태에 주목했다. 불완전한 상태를 유지해 명상적 수행을 하는 동시에 불완전함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이다. 

정 교수는 “시간성을 겹겹이 쌓아나가는 회화적 행위에는 김보경이 사용하는 물감만큼이나 모래와 같은 다른 재료의 흔적 또한 중요하다”며 “그가 사용하는 모든 색채는 개인적 경험과 자연에 대한 자신의 반응이 체화된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독창적

정 교수는 “4명의 작가 모두 자신의 속한 세대가 다르고 성장한 문화나 장소도 다르지만 자신만의 독특한 반응과 모놀로그가 이들의 회화 작품 안에 가득 차 있다”며 “이미지가 없는 듯, 형상이 없는 듯, 구체적인 대상이 없는 듯 보이지만 각기 다른 4명의 여성미술가가 그어나가는 선과 색채, 공간구조는 자신이 속한 세계에 대한 일기이자 이야기 공간”이라고 전했다. 전시는 다음달 7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