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운의 삼성가 3세’ 이재관 전 새한그룹 부회장 59년 인생사

2022.06.23 15:00:36 호수 1380호

버려진 금수저, 외롭게 떠나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이재관 전 새한그룹 부회장이 향년 59세로 세상을 떠났다. 재계 조문행렬이 이어졌고, 특히 범 삼성가에서 이 전 부회장의 마지막 가는 길을 챙겼다. 사촌동생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도 출장 중 조화를 보냈다. ‘비운의 삼성가 3세’로 알려진 이 전 부회장의 생애는 어땠을까.



지난 11일 별세한 이재관 전 새한그룹 부회장은 미국 LA에서 거주하다 지난해 귀국한 이후 우울증, 고관절 수술, 체중 감소 등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확한 사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룹 승계 
경쟁서 밀려

재계에서는 잇딴 조문행렬이 이어졌다. 특히 범 삼성가에서 이 전 부회장의 마지막 가는 길을 챙기는 모습을 보였다.

범 삼성가 친인척 중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가장 먼저 장례식장을 찾았다. 부인 한지희씨와 장례식장을 찾은 정 부회장은 “재관 형님은 저와 추억이 많은 형이고 존경하는 분”이라며 “갑작스러운 비보를 듣게 돼 참담하고 황망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네덜란드 출장 관계로 빈소에 방문하지 않고 조화를 보냈다. 이재현 CJ그룹 회장, 손경식 CJ 회장, 조동길 한솔그룹 회장, 허영인 SPC그룹 회장 등도 모두 조화를 보내 조의를 표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미경 CJ그룹 부회장, 구지은 아워홈 부회장, 정재은 신세계 명예회장 등은 직접 빈소를 방문해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을 조문했다. 

이 전 부회장의 조문에 범 삼성가가 집결하면서 2세들의 승계 다툼 봉합 후 본격적인 화해모드로 접어든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우울증 시달리다 별세… 정확한 사인은 불명
‘범 삼성가’애도…유럽 출장 간 이재용 조화

이 전 부회장은 삼성가 3세로, 삼성그룹 창업주 고 이병철 회장의 차남인 고 이창희 회장의 장남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는 사촌지간이다. 새한그룹은 창업주 고 이창희 회장이 과거 삼성그룹 승계 경쟁에서 밀려났던 만큼 ‘비운의 삼성가’로 언급된다. 

이창희 회장은 1964년 일본 와세다대 졸업 후 삼성그룹에 입사해 한국비료 이사, 제일모직 이사, 삼성물산 이사 등을 거쳤다. 하지만 1996년 사카린밀수사건으로 수감되면서 아버지이자 삼성그룹 창업주 고 이병철 회장의 눈 밖에 나게 된다. 

삼성가를 떠난 이창희 회장은 1973년 미국 마그네틱미디어(Magnetic Media)와 합작으로 마그네틱미디어코리아를 설립했다. 1977년 새한전자를 인수하고 1979년 마그네틱미디어 지분을 추가로 확보하기도 했다. 

1980년대 들어서는 본격적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카세트테이프, 비디오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등 기록매체 중심의 사업으로 단장하며 새한미디어로 발전시키기도 했다.

회장님 눈 밖에
가까스로 성장

1985년 당시 공기업이었던 한국종합화학으로부터 충주 비료공장을 인수했고 옥사이드공장으로 재구축해 화학사업에 뛰어들었다. 1989년 새한이동통신을 세워 무선호출 사업에, 1994년 황성통운 인수로 물류업까지 사업영역을 넓히며 재계에서 꽤 영향력 있는 사업가로 인정받았다. 

이 전 부회장이 새한그룹의 경영 전면에 나선 것은 1991년부터다. 이창희 회장이 혈액암 판정 4개월 만에 58세 일기로 사망하자 그의 아내인 이영자씨가 회장으로, 이 전 부회장은 새한미디어 부사장직에 올랐다. 


1995년 삼성그룹으로부터 제일합섬을 넘겨받은 새한미디어는 1997년 조사화합 및 새 영문 CI를 선포하며 새한그룹을 출범시켰다. 이듬해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지정되며 재계 서열 20위권까지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1987년 미국 터프츠대를 졸업한 그는 씨티은행에서 3년간 근무하다가 1990년 새한미디어 이사를 맡아 오너 경영인 대열에 합류했다. 모친 이영자씨가 새한그룹 회장을 맡아왔지만 대표이사로서 경영 일선을 지휘한 것은 이 전 부회장이었다.

하지만 회사는 당시 이미 쇠퇴하고 있던 비디오테이프와 섬유산업에 대대적으로 투자하며 경영난에 휩싸였다. 새한은 1990년대 중반부터 1조원이 넘는 시설투자에 나섰다가 경기 침체로 금융비용이 크게 늘어나자 1999년 섬유·필름 부문을 분리해 일본 도레이(TORAY)와 합작법인 도레이새한을 세워 다각적인 기업 경영에 나섰다. 

고군분투
결국 부도

그러나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한 채 결국 2000년 계열사 전체가 워크아웃(Workout)에 들어갔다. 이 전 부회장은 작은아버지인 이건희 회장의 지원을 기대했으나, 오히려 삼성의 금융 계열사들이 다른 곳보다 먼저 자금 회수를 하는 바람에 최악의 상황에 몰렸다. 

당시 이재관 부회장은 이태원동 자택을 포함해 247억원 상당의 개인 자산을 회사에 출연하기도 했다. 이후 결국 새한그룹 경영에서 완전 손을 뗐다. 새한이 그룹 형태를 갖추고 아들 형제가 경영을 맡은 지 5년 만이었다.

(주)새한(구 제일합섬)은 웅진그룹에 넘어가면서 웅진케미칼로, 도레이새한은 도레이첨단소재로, 새한미디어는 코스모스신소재로 사명을 바꿨다. 

새한 오너 형제들의 불운은 그룹 해체와 경영권 상실로 끝나지 않았다. 이 전 부회장은 워크아웃 직전 분식회계를 통해 대규모 불법 대출을 받은 혐의로 2003년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의 실형을 받았다. 이재찬 사장은 연예·엔터테인먼트 사업에 관심을 갖고 ‘디지털미디어’라는 계열사를 통해 드라마·음반 제작 사업을 벌였으나 회사 경영권을 잃었다. 

재계서열 20위 등극…잇단 실패 나락으로
모임·대외활동 자제…지금까지 운둔생활


이 전 부회장이 언론에 노출된 것은 2010년 동생 이재찬 사장의 사망 소식 때문이었다. 이 전 부회장의 구속과 동생의 사망 소식이 알려지며 ‘비운의 삼성가’로 소개되기도 했다. 이재찬 사장 사망 당시 이건희 회장 부부와 이재용 당시 부사장, 이부진 호텔신라 전무 등은 싱가포르 출장으로 국내에 없었다. 

동생 사망 이후 이 전 부회장이 공식적인 목소리를 낸 것은 삼성가의 상속 소송이 불거졌던 2012년이다. 당시 이재찬 사장의 유족이 이건희 회장을 상대로 상속 소송을 냈는데 이 전 부회장 측은 “과거 상속 문제가 전부 정리됐기 때문에 향후 어떤 방식으로든 소송이나 기타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법률 대리인을 통해 입장을 표시했다.

해당 사건 후 이 전 부회장은 2015년 고 이맹희 CJ그룹 명예회장의 별세 당시 빈소를 찾은 것 외엔 언론에 노출되지 않았다.

한 재계 관계자는 “워크아웃 뒤 국내·외를 왔다 갔다 했다는 것만 풍문으로 들었다”며 “그 이후 사업이나 대외활동 없이 조용히 지냈던 것으로만 안다”고 말했다.

새한 해체 후
대외활동 접어

이들 형제는 새한그룹이 해체된 뒤 삼성·CJ·신세계·한솔 등 범 삼성가 모임에도 잘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가의 한 관계자는 “이들은 가족모임에도 잘 나오지 않고 은둔에 가까운 생활을 했다”고 전했다.


<ktikti@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