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승자> 겨우 절반의 성공

2021.12.03 15:25:39 호수 1352호

<개콘>보다 웃기다고 생각해?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공개 코미디를 부활시키고자 개그맨들이 힘을 뭉쳤다. KBS2 <개그콘서트> 폐지 후 1년 반 만이다. KBS2 <개승자>는 ‘개그로 승부하는 자들’에 줄임말로 tvN <코미디 빅리그>의 경연 구조를 흡수했다. 삼삼오오 의기투합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들고 나와 노골적인 평가를 받기로 했다. 다시 콩트의 세계를 열어보자는 간절함이 묻어 있다. 비장한 의지와는 별개로 시작은 절반의 성공에 불과했다. 



KBS2 <개승자>의 팀장급 개그맨들이 한자리에 모여 ‘코미디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여러 의견 속에서 지지를 받은 내용은 ‘개그를 비하로 여기지 말길 바란다’는 의견이었다. 1차원적인 개그를 비롯한 다양한 부분에 지나친 규제로 인해 소재에 대한 고민이 극심해진다는 것. 

웃음을 이끌고

김준호는 KBS1 <TV비평 시청자데스크>에 출연해 개그맨들의 고충을 토로했다. 김준호는 다양한 방귀 소리가 있는데 꼭 귀여운 방귀 소리만 사용해야 한다는 제약 때문에, 방귀 소리가 심의에 걸릴지 안 걸릴지에 고민하는 데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는 부분을 예로 들었다.

김준호를 비롯한 개그맨들의 주장이 꼭 틀린 말은 아니다. KBS2 <개그콘서트>가 방영되던 당시에도 무대 위의 개그를 두고 ‘옳냐 그르냐’에 대한 논쟁이 심했다. 

여성을 놀리는 아이디어를 공개하면 ‘여성 비하’가 됐고, 노인을 소재로 하면 ‘노인 비하’가 됐다. 다소 과격한 언어와 행동이 나오면 아동과 청소년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비판이 나왔다. 손발이 묶인 채로 만드는 무대가 좋을 것이라 기대하는 것도 어쩌면 욕심일 테다.


지나친 심의와 규제를 지적하는 것도 맞지만, 그 전에 개그맨 스스로 시대의 흐름에 맞는 아이디어를 내놨는지도 돌아볼 문제다. 

13개팀이 경연을 벌여 한 팀씩 탈락하는 구조로 돌아가는 <개승자>의 모든 출연팀이 한 바퀴를 돈 가운데, 공개 코미디의 문제점과 희망적인 부분이 모두 드러났다. 시종일관 눈을 뗄 수 없도록 웃음을 끌어내는 팀도 있었지만, 여전히 관성에 의해 코미디를 짜온 팀도 적지 않았다.

잘한 팀보다는 못한 팀이 좀 더 많았던 첫 경연이었다.

먼저 시청자들의 눈을 사로잡은 무대로, 이승윤 팀의 ‘신비한 알고리즘의 세계’(이하 ‘알고리즘’)와 신인팀의 ‘회의 줌 하자’, 변기수 팀의 ‘힙쟁이’가 있다. 세 팀은 새로운 캐릭터를 발굴했을 뿐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발맞춘 소재로 공감을 줬다. 

‘알고리즘’은 유튜브 알고리즘의 특색을 활용해 같은 영상이 다양하게 활용되는 방식이나, 키워드만으로 전혀 다른 형태의 영상이 뜨는 대목을 적절히 배합했다. 아울러 이승윤과 윤택 등 선배 개그맨들의 연기력을 앞세우며 호평을 받았다. 

홍현호가 팀장인 신인팀은 열세 팀 중 가장 기발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코로나19로 늘어난 줌 회의 때 발생할 법한 상황의 디테일을 정확히 살려냈다. 신선한 소재와 아이디어가 눈에 띄었으며 팀원들의 연기력도 안정적이었다. 

빛나는 연기력 섹시한 아이디어
과거에 머물고 있는 안일한 준비

<힙쟁이>는 사실상 변기수의 원맨쇼였다. 래퍼 원썬의 특성을 살려 변썬이라는 캐릭터를 만든 변기수는 힙합 가수들의 특성을 살린 말투와 함께 방송통신위원회의 심의를 풍자하는 요소로 호평받았다. 하지만 변기수 등장 전과 후에 웃음의 크기가 나뉜다는 점에서 불안요소는 존재한다.

이외에도 김원효 팀의 <압수수색>은 현 검사들을 풍자하는 내용으로 관심을 끌었고, 박성광 팀의 <개승자 청문회> 역시 개그맨들의 안일한 태도를 지적하는 풍자로 눈길을 끌었다.

다만 ‘압수수색’은 김원효의 뛰어난 연기력에만 지나치게 의존했으며 <개승자 청문회>는 타 방송의 코너를 그대로 가져온 점과 게스트로 나온 남호연에 기댄 소재였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그럼에도 남호연의 연기는 매우 인상적이었다.


김대희 팀의 ‘D-1’은 소재의 신선함과 더불어 김대희와 박성호의 연기가 빛났으나, 다른 팀의 아이디어를 차용했다는 점에서 몇 주조차 써먹기 버겁다는 단점이 있다. 

김준호 팀의 ‘인류의 마지막 노래’, 윤형빈 팀의 ‘대한 외국인’, 이수근 팀의 ‘아닌 것 같은데’ 역시 일부 아이디어는 빛이 났지만, 기시감이 강했다.

여전히 <개그콘서트> 시절에 머무는 무대도 적지 않았다. 특히 박준형 팀의 ‘국민 남친’은 류근지, 송병철, 서남용이 예전부터 해왔던 무대를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예측이 쉬운 슬랩스틱으로 웃기려 했다는 점에서 가장 안일한 태도를 보인 팀이다. 

김민경 팀의 ‘이별중’이나 오나미 팀의 ‘나미의 세포들’은 <개그콘서트> 막바지에 숱하게 활용된 드라마형 개그인데, 이마저도 아이디어가 빈약했다. 처음 탈락한 유민상 팀의 ‘꼬리에 꼬리를 무는 소꼬리 곰탕’은 아이디어도 연기도, 재미도 떨어졌다.

이런 류의 무대가 지속된다면 <개승자>는 공개 코미디 부활은커녕 <개콘>의 아류에서 벗어나지 못하다는 비판만 받을 테다.

공개 코미디는 대본이 있고, 기획된 유머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같은 소재를 오랫동안 활용하기 어렵다. 어떤 장면에서 웃음을 주려는지 관객이 이미 예상하기 때문에, 이를 뛰어넘는 아이디어가 나와야 한다. 쉬운 미션은 아니나, 코미디의 부활을 위해선 꼭 극복해야 하는 대목이다. 

치열하게 아이디어를 짜고 연기력을 향상하며, 언제나 관객 머리 위에서 놀 줄 알아야 승산이 있다. 새로운 소재의 ‘빠른 회전율’도 필수다. 같은 패턴으로 몇 주만 돌아도 금방 질리는 게 유머의 특성이기 때문이다. 

관성에 찌들고

이승윤은 공개 코미디의 몰락을 두고 ‘자연의 이치’라고 했다. 관객에게 새로움을 주지 못한 무대가 일관되면서 자연스럽게 외면받았다는 의미다. 그는 트로트가 신드롬을 일으켰듯이, 공개 코미디도 부활하길 고대했다. 그의 뜻대로 트로트와 같은 길을 걸을 수 있을까. 중심에 있는 희극인들의 피, 땀, 눈물 없인 불가능해 보인다. 



<intellybeast@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