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자하미술관이 박영균 작가의 개인전 ‘꽃밭의 역사’를 소개한다. 코로나19로 문을 닫은 지 3개월 만에 관람객들과 다시 만나는 자리다. 이번 전시서 박영균은 표현주의 회화 47점을 선보인다.
박영균 작가는 지난해 7월 고 노회찬 전 정의당 의원의 추모미술전에 참가했다. 2018년 7월 스스로 목숨을 끊은 노 전 의원의 1주기 추모행사였다. 박영균은 2010년 서울시청 앞 광장서 열린 노동자대회 포토뉴스가 나온 작업실 모니터를 그린 구작을 살펴보다가 흐릿한 모습의 노 전 의원의 모습을 발견하고 그의 모습을 다시 손질해 출품작으로 내놨다.
과거의 작품
지난 2016년에는 경기문화재단 문예진흥사업 중 시각예술 분야에 지원하는 ‘생생화화’의 일환으로 열린 전시 ‘산책자의 시선’ 전에 참여해 세월호 참사·재개발 등 사회의 어두운 부분을 조명했다.
당시 전시장 들머리에 놓인 박영균의 회화작품은 전시의 지배적인 이미지를 상징했다. 보랏빛으로 채색된 화면은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한 아이의 방을 그린 것으로, 공중에는 노란색 비닐봉지와 세월호 팔찌가 떠있다.
코로나 19 로 닫았던 미술관
‘꽃밭의 역사’로 다시 열어
화면 가운데 보이는 그림은 1987년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된 이한열 열사의 운동화를 바라보는 여성을 그린 작품이다. 박영균은 30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부유하고 있는 투쟁의 상처를 이미지로 구현했다.
박영균의 개인전 ‘꽃밭의 역사’ 전은 1990년대 투쟁적이었던 벽화활동 이후, 예술가로서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며 그렸던 소파 연작, 일상적 풍경에 색상의 변조를 더해 사회 비판적 시각 내지 세대적 경험을 드러내고자 했던 표현주의 회화들로 구성됐다.
박영균은 “화가는 지나온 시간에 대한 기억들을 그림으로 그려 저장한다”며 “옛날에 그린 작품을 추려서 하는 전시라 그때 기억들이 어제의 일처럼 생생하다”고 말했다.
박영균은 대학 졸업 후 소집단 미술운동 단체인 ‘가는 패’에 들어갔다. 가는 패는 서울 민족 민중미술 운동연합(이하 서미련)으로 확대 개편됐다. 서미련은 이적단체로 지목됐고 12명의 예술가들이 구속됐다. 그는 이 사건 이후 분하고 억울한 감정을 기록한 그림 몇 작품을 이번 전시에 내보였다. 작품 속 모델은 당시 미술활동을 함께 했던 친구들이다.
1990년대 들어서는 북한 미술이 청년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박영균은 “그 미학에 동의하지는 않았지만 그동안 사회와 동떨어진 예술 지상주의 미술교육과 미술풍토 때문에 남한 미술에 대한 반발이 컸다”며 “북쪽의 민족적 형식을 차용한 조선화의 리얼리즘 형식이 당시 나와 미술운동을 하는 청년들에게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또 “임수경 학생이 방북 동안 보여준 발랄한 모습은 남북 냉전에 경직된 사람들에게 신선한 파열음을 줬다”며 “임수경 학생의 방북 기록화가 남쪽에 소개되면서 맑고 밝은 것을 좋아하는 대중적 기호에 영향을 받았던 그 시절의 그림들도 모았다. 전통 수묵화 기법의 유화로 실험하며 형식을 고민했던 작품들”이라고 덧붙였다.
현장 미술운동에 투신
회화작품 47점 선보여
1990년대 문민정부 들어서 박영균은 황지우의 ‘살찐 소파’처럼 소파에 누워 애국가가 끝날 때까지 TV를 보았다고 한다. 꺼진 TV, 캄캄한 거실 창문을 넘어 어슴푸레 새벽빛이 올라오면 잠들곤 했던 시절을 담은 작품이 ‘김대리’ 시리즈다.
심심할 때 혼잣말처럼 자신과 대화하며 그렸다는 자화상도 몇 작품 선보인다. 박영균은 “슬플 때나 기쁠 때 작업실에서 거울을 보며 그렸던 자화상 속 표정과 색 표현을 보니 그때의 감정과 이야기가 튀어나오는 듯하다”고 말했다.
박영균은 2007년 대추리 미군기지 확장 반대 예술 행동 활동도 했다. 그러면서 “동아시아서 미군의 문제가 우리 한반도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아시아와 종으로 횡으로 연결돼있다는 것을 느꼈다”며 “한반도 문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는 사실을 동아시아 예술가들과의 연대 속에서 느낀다”고 전했다. 이어 “지금은 콘크리트로 덮여 사라진 구럼비 바위서 대추리, 오키나와로 연결된 동아시아 평화의 실오라기를 붙들고 싶다”고 밝혔다.
그때의 기억
자하미술관 관계자는 “7m 폭의 대형 회화작 ‘꽃밭의 역사, 강정’을 통해서 각박했던 현장 미술운동 이후 세상을 느긋하게 바라보게 된 작가의 시선을 느낄 수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전시는 오는 31일까지.
<jsjang@ilyosisa.co.kr>
[박영균은?]
▲학력
경희대 미술교육학과 졸업
경희대 대학원 회화과 졸업
▲개인전
함평군립미술관초대전(2018)
‘그곳에서 이곳으로’ 공간41(2018)
‘레이어의 겹’ 관훈갤러리(2015)
‘공주가 없는 공주 금강에서’ 갤러리이레(2010)
‘밝은 사회 Bright Society’ 오페라 갤러리(2009)
‘분홍 밤’ 부산아트센터 아트포럼 리(2009)
‘빨강강풍경과 노랑풍경을 지나서’ 신세계갤러리(2008)
‘의무를 넘어’ 문화일보 갤러리(2006)
‘저 푸른 초원 위에’ 문화일보 갤러리(2004)
‘86학번 김대리’ Hello Art Gallery(2002)
‘그해 여름’ 부천 문예전시관(1999)
이십일세기 화랑(1997)